View : 457 Download: 0

인간의 감성을 통한 도자 조형 연구

Title
인간의 감성을 통한 도자 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Human Figure as a Method of Expressing the Human Consciousness in Ceramic Art
Authors
김지정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Publisher
공예학부
Degree
Master
Abstract
The main focal subject of this study is on the human figure and emotion, portraying the inner psychology of human mentality and consciousness. Since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the human body has been an infinite source of inspiration in art and it is regarded as the space where the inner emotions are kept intact. In particular, the human body has remained as an important motif in projecting human artistic desires. In this respect, it has been represented comprehensively through simplification and different transformations in its form with reference to psychology, social issues and metaphysical tendencies of a period. Today in these contemporary times, the human body on its own, becomes a medium in contemporary art while also coexisting as a development in artistic abstraction simultaneously as being dissolved in many different methods. The human body continues to be a major field of study in all art genres particularly in painting and sculpture where the subject incessantly recurs. This is no different in ceramic art. The influence is universal and the same art tendencies are also relevant to ceramic art as we are living in an era where art is crossing boundaries to extend into unknown possibilities. The boundaries which used to differentiate the different genres in art no longer seem to apply. Today they seem to reciprocally invade one other and purest in art seem to be caught in a stagnant point. As a result the line that used to draw sculpture from ceramic art, no longer seem to appear definite. The human body is expressed with a new conception in visual acceptance and ground while extending its boundaries at the same time. Today expressions in art rely more on the artist's subjective view point, method and projection. The study examines the dual aspects of human beings in terms of human psyche and materialism. If the confrontation in selecting between the two occurs, the artist, as a human being, will inevitably express such dualism simultaneously through his or her artistic act and also through the art work. The study aims to concentrate on these factors through a subjective interpretation to create human figurative forms that possess liveliness and sensitivity. At the same time the creative work also attempts to present the inherent nature of clay as a medium for artistic expression. For background research, the study has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beings and formative art in order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ntality of humans beings within a social space. Through this, the artistic features and human figurative expressions relating to the different stages of research have been observed diversely as a source of inspiration. Also, the study devotes to the sensibility and sensitivity in the different figurative expressions in art to obtain an objective view point on the inner emotions of some art works. Consequently, figurative works of many artists have been carefully examined while taking the main formative principles in art into consideration. The works created for this study are a subjec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human figure in association with the social conditions of the period we are living today. Some works are more objective with kinetic and rhythmic movement. There is also exaggeration and emphasis put on some in addition to abstract transformation in visual expressions. With some of the delicate pieces have been made by mixing nylon fibers of 1.2 cm into the clay body. Many pieces were coiled and press-molded to retain the natural sensitivity of the material. The surfaces where mainly decorated using green, red and brown glazes to enhance a more three dimensional visual space effect. For a more brighter tone, slips were applied to the surfaces. The primary bisque firing was conducted in a 1.5㎥ gas kiln. The temperature for this reached 900℃ and the bisque firing prolonged for 8 hours. The glaze firings were conducted both in oxidation and reduction conditions reaching a temperature of 1280℃. The glaze firing took approximately 10 hours. Some of the works required a third firing and this was done using the raku and pit firing methods. The human body which has been a recurring research subject in art both externally and internally, appears to be an important and serious source of inspiration. Consequently, it was possible to conduct a study focused in particular, on the sensibility and sensitivity of the human figure to create formative work using clay. The study has examined how the human figure was expressed in the ancient times until now to portray essential beauty of the highest standard. It has encouraged an in depth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to portray inner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Clay proved to be a liberated flexible material apt for creating works with organic linear features. Evidently clay as a medium has aided in creating interesting figurative work and thus the study hopes for more development in this field. Furthermore art works should not remain as a purely subjective expression but as a communicative channel between the artist and the spectator.; 인체는 인류의 탄생 이래 끊임없는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예술소재이며 인간의 감정과 내면세계를 담고 있는 본체로 여겨져 왔다. 특히, 예술의 표현대상으로의 인체는 인간의 창작 의지를 표출시키는 중요한 모티브로 존재해왔고, 심리적, 사회적, 형이상학적 측면을 포괄한 표현의도에 따라 단순, 변형의 방법을 통해 제시되어 왔다. 21세기에는 현대미술에서 인체는 그 자체가 재료가 되기도 하고, 예술적 추상과정으로 존재하기도 하며, 여러 가지 양상으로 해체가 되기도 한다. 미술사를 통해, 특히 회화나 조각에서는 인체를 소재로 예술작품이 끊임없이 나오고 있으며, 도자예술 역시 세계적인 양상으로 흐르고 있다. 즉 미술 각 장르간의 구분이 없어지고 상호 영역이 침투하는 탈장르 현상으로 조각과의 구분이 불분명한 순수한 조형적 탐구가 더욱 진전된 상황에 있다. 따라서 인체 표현에 있어서도 새로운 개념의 시각적 수용과 정착이 이루어져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주관적이고 개성이 중시되는 작가 중심적 표현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인간이 정신과 물질이라는 이중 구조 속에서 예술가 는 그의 예술행위 및 작품표현에 있어서 이러한 이중성을 어떤식으로 나타냈는지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인간의 감성 발현과정과 연상과정을 본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으로 다양하고 생동감 있는 인간 이미지 표현에 역점을 두며, 인간과 감성을 흙의 느낌과 물성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도자 조형물을 예술로 표현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인간과 조형예술의 관계를 통한 사회속의 인간성 발현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각 과정의 특징에 따른 예술의 특징과 인체조형물을 조사하여 예술소재로의 인체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문헌을 통해 살펴보았다. 인체표현의 연구과정으로, 인체의 감성과 감각을 통해서 인체의 내면세계에 대한 객관적 설명에 충실하였고 표현방식의 다양성을 위하여 조형의 원리를 연구하고, 기존 작가들의 작품 사례를 통하여 인체표현의 다양성과 더불어 독창적 작품제작이 되도록 하였다. 작품의 조형 과정에서는 인간의 인체와 감성의 관계를 연구자의 주관적인 심성에 의해 조형화 하였다. 창의적 표현과 인체의 동세와 유동적인 형태, 인체의 부분을 강조하고 추상적 변형과 조형의 요소와 원리에 의한 시각으로의 인체이미지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작품 제작 시 작품의 성격에 따라 균열방지와 성형 강도를 높이기 위해 석기질 점토에 1.2 cm길이의 나일론 섬유를 소량 섞어 사용하였다. 성형방법으로는 조형적 형상을 위한 코일링 기법과 자연스러운 형태와 반복을 나타내기 위해 가압기법을 병행하였다. 유약은 녹색, 붉은색, 갈색계열을 주로 사용하여 3차원적 공간과 시각적 효과를 표현하려고 노력하였다. 일부 기물에 유약의 발색을 높이기 위하여 화장토를 바르기도 하였다. 소성은 1.5m³ 도염식 가스 가마에서 마침 온도 90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은 마침 온도 1,280℃ 로 10시간 동안 <작품 1, 2-1, 2-2, 5, 6, 8>를 산화염 소성, <작품 3, 7, 9, 10>를 환원염 소성하였다. <작품 4>는 특수한 효과를 위해 라쿠소성을 하였다. 조형적 연구의 끊임없는 연구대상이 되어 온 인체는 외부/내부, 시공간을 초월한 깊이 있는 예술소재이며, 이에 본 연구자는 특히 인체의 감성과 감각적 특성에 중점을 두어 조형적인 인체미가 돋보이는 도자 작품을 제작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과거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 존속되어지는 인체의 자연 본성적 아름다움을 접합시키면서 부각되는 인체의 깊이 있는 내면세계를 알아가는 과정이었다. 본 연구자가 작업을 하며 느끼게 된 점은 인간의 내면세계와 외면세계라는 이중구조를 한 공간에 표현하기에 인간의 태초 이전에 존재했을 점토라는 소재가 얼마나 적절하게 사용되었는지에 관한 것이다. 다른 미술 분야와의 차별성을 갖는 흙의 자유롭고 유기적인 표현성과 조형성을 강조하는 점토이기에 인간의 감성을 통한 주제가 설득력이 더욱 강해졌음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내부와 외부를 잇는 연결고리로서 인체를 해석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연구자의 감성과 감각의 측면에서 10개의 작품으로 다양한 시도를 보였다. 더불어 기존의 고정관념으로 인한 제한 요소는 거듭되는 실험으로 수정, 개선시켜야 할 것이며, 내용면에서 단순히 자기 고백적인 개인적 경험의 세계 뿐 만이 아닌 관람자와 공감 할 수 있는 넓은 영역의 작품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