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6 Download: 0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 개발 및 검증

Title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 개발 및 검증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Golf Spectator Behavior Structuaral Model
Authors
신규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관람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된 관여도, 정체성 현출성, 관람만족의 측정도구 개발 및 검증 작업을 거쳐 이들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통한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골프 관람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연구모형 설정, 연구모형에 포함된 주요 변수의 측정도구 개발 및 적합도 검증,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의 추정 및 적합도 검증, 경쟁모형 비교를 통한 최종 모형 선택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05년 남ㆍ여 프로골프경기를 직접 관람하러 온 남·여 관람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측정도구 개발 및 검증 과정에 총 841명[골프 관람만족 척도 개발 과정(총 657명)-개방형 설문; 76명, 탐색적 요인분석; 302명, 확인적 요인분석; 279명 /기타 측정도구 검증 과정(총 184명)],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 검증 과정에 총 292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을 위한 주요 통계기법으로는 단순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과 AMOS 4.0 프로그램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은 1개의 외생 잠재변수(골프 관여도)와 3개의 내생 잠재변수(골프정체성 현출성, 골프 관람만족, 직·간접적 골프 참가의도)로 구성되며, 이들 4개의 잠재변수에 대한 측정 모형을 평가한 결과 문항내적 일관성 신뢰도(Cronbach's α= .763~.930)가 확인되었고, 모형의 적합도 지수도 모두 양호하여 [CFI= .929~.999, NFI= .893~.995, TLI= .913~.998, RMSEA=.024~.079] 척도에 대한 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둘째,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 추정 및 적합도 평가 결과, 적합도 지수들은 [CFI= .956, NFI= .928, TLI= .939, RMSEA= .070]로 비교적 양호하게 나타났으나 초기에 설정한 가설 경로 중 골프 관여도에서 직·간접적 골프 참가의도와 골프 관여도에서 골프 관람만족의 2개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경쟁모형 1과 경쟁모형 2를 설정한 후이들 모형 간 비교를 통하여 최종 골프 관람행동 구조모형[CFI= .955, NFI= .925, TLI= .940, RMSEA= .069]이 채택되었다. 셋째, 골프 관여도는 골프 관람객의 골프정체성 현출성에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골프정체성 현출성은 골프 관람객의 골프 관람만족 및 직·간접적 골프 참가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다섯째, 골프 관람만족은 골프 관람객의 직·간접적 골프 참가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연구자가 개발한 골프 관람행동 모형이 표본자료에 잘 부합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추정치들도 전반적으로 이론적·통계적 논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이 모형을 통하여 골프 관람객의 관람행동을 설명하는 데 무리가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odel presumed to explain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golf spectator variables of involvement, identity, satisfact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Prior to model verification, the researcher developed golf spectatorship scale that measured sport spectator's aforementioned three major variables. In order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onducted series of statistical analyses on following sequence. These were theoretical model proposal of golf spectatorship, measurement scale development and statistical verification, estim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golf spectatorship, and selection of the model after a model comparison with competitive mode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ose analyses were 657 respondents for the measurement item development and 184 subjects for the test of overall fit of structural model estimation. To analyze data, frequency, correlation, cronbach's α,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e equation modeling analysis were used as statistic analysis techniques. Within its limitations, the researcher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Golf spectator behavior structural model had one exogenous variable, 3 endogenous variables, namely, golf involvement, golf identity salience, direct/indirect golf participation intention. The evaluation results of measurement model showed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 .763~.930) overall fit of the model were satisfactory [CFI= .929~.999, NFI= .893~.995, TLI= .913~.998, RMSEA= .024~.079].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the validity of the scale tightly secured. Second, the estimation of golf spectator behavior structural model and overall fit appeared to be fairly satisfactory [CFI= .956, NFI= .928, TLI= .939, RMSEA= .070]. However, two initial research hypothesis that hypothesized as golf involvement → direct/indirect golf participation intention and golf involvement → golf spectator satisfaction were no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Thus, the researcher set up comparative model 1 and model 2 and did a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models and came to draw a final golf spectator behavior model [CFI=.955, NFI= .925, TLI= .940, RMSEA= .069]. Third, golf identity salience influenced golf spectators' golf spectator satisfaction. Fourth, golf identity salience influenced golf spectators' direct/indirect golf participation intention. Firth, Spectator satisfaction influenced on direct/indirect golf participation intention. Based upon the results of analysis,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newly developed golf spectator behavior model were well fit in samples, estimation values were also acceptable in both theory and statistics. It was also concluded that the newly developed Korean version of GSSS can explain golf spectator's spectator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