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레지나-
dc.creator오레지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8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수행 및 무용창작물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속성 변인 및 그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의 무용창의성 본질 구명(究明)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으로 일반 창의성의 개념 및 구성요소를 4P(process, product, person, press) 즉, 창의적인 과정(creative process), 창의적인 산출물(creative product), 창의적인 인물(creative person, personality), 창의적인 환경(creative press, environment)의 네 가지의 준거로 기술하고, 예술창의성 및 무용창의성에 대해 서술하였다. 연구Ⅰ에서는 무용창의성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하여, 뛰어난 무용가들 중에 창의적인 무용가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전제로 뛰어난 무용수와 안무자에 대한 평가기준과 인성적 특성, 상황 맥락 등의 내용을 질문하였다. 비구조화된 개방형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뛰어난 무용수와 안무가로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어떤 능력을 갖추고 있는가?, 어떤 조건에서 만들어 지는가?, 어떤 행동 특징을 갖고 있는가?’의 네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무용경력 10년 이상의 전문가 및 무용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빈도 분석하여 무용창의성의 구성요인 11개(움직임감각 · 심미적 감각 · 무용기술력 · 무용표현력 · 무용사고력 · 무용작품구성력 · 지식 · 무용태도 · 무용동기 · 경험 · 환경)를 추출하였으며, 그 각각의 하위요인을 69개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또한 뛰어난 무용가의 속성요인으로 무용신체성 · 무용동작성 · 무용창의성을 구조화 할 수 있었다. 연구Ⅱ에서는 무용창의성의 구성요인을 탐색 ·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Ⅰ의 결과를 토대로, 4점으로 척도(scale)화 된 설문을 56문항으로 구성하여, 무용경력 10년 이상의 무용전문가 및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의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무용창의성의 구성요인은 6개 즉, 움직임감각 · 무용사고력 · 심미적 감각 · 무용작품구성력 · 무용태도 · 예술체험으로 구조화 되었다. 또한 움직임감각의 하위요인으로는 동작감각 · 동작수용력, 무용사고력의 하위요인으로는 아이디어 · 분석력 · 관점 · 상상력 · 통찰력 · 유창성, 심미적 감각의 하위요인으로는 감수성 · 정서, 무용작품구성력의 하위요인으로는 구성력 · 무대구성능력 · 작품전개능력, 무용태도의 하위요인으로는 자기훈련 · 자기관리, 예술체험의 하위요인으로는 예술경험, 창작경험 등이 구조화 되었다. 또한 무용수의 무용창의성 구성요인(하위요인)은 움직임감각(동작감각 · 동작수용력), 무용사고력(분석력 · 상상력 · 통찰력 · 유창성), 무용태도(자기관리 · 자기훈련), 예술체험(예술경험 · 창작경험)으로, 안무가의 무용창의성 구성요인(하위요인)은 움직임감각(동작감각 · 동작수용력), 심미적 감각(감수성 · 정서), 무용사고력(아이디어 · 분석력 · 관점 · 상상력), 무용작품구성력(구성력 · 무대구성능력 · 작품전개능력), 예술체험(예술경험 · 창작경험)으로 탐색 ·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살펴볼 때, 무용창의성은 새로운 무용이미지를 만들고 가치를 부여하는 능력과 태도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인 무용수는 다양한 예술체험을 바탕으로 끊임없는 자기관리를 통해 움직임감각을 개발하고 상상적 사고를 통해 창의적으로 무용수행을 하는 사람이며, 창의적인 안무가는 다양한 예술체험을 통해 무용감각과 사고능력을 키우며 움직임감각을 기초로 상상적 사고를 하면서 심미적 감각을 기준으로 무용작품구성능력을 통해 창의적인 산출물을 만들어 내는 사람이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무용수와 안무가의 속성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무용창의성의 본질을 탐색하고 연구하며, 무용창의성 교수-학습방법을 연구하는 데에도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론적으로는 무용수의 창의적인 무용수행, 안무가의 창의적인 무용작품구성 · 표현에 대한 이해 및 설명의 근거를 마련하고, 응용적으로는 무용교육 및 무용영재교육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무용창의성 신장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에 기초가 될 것이다. 본 연구를 근간으로 무용창의성의 구성요인 및 그 하위요인의 구조와 이론을 검증할 수 있는 보다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와, 무용교육과 무용영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과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제안한다.;Creativity is a unique quality appearing in the performative actions by human and their results. Based on the concept of creativity, this dissertation, in terms of dance educational psycholog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of the personal qualities that influence dance performance and the essence of dance-creativity that influences these "qualiti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defines the elements of general creativity as 4P (process, product, person, and press), that is, creative process, creative product, creative person or personality, and creative press or environment. On these basic concepts, this study describes "artistic creativity" and "dance-creativity." For Study Ⅰ, assuming that there is creative dance-person among the successful persons in dance field,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o the "experts" who were in dance field for over ten years and the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questions asking the criteria to judge an individual as an excellent dancer or choreographer and some other questions, such as if there are certain special qualities in the excellent dancer's or the excellent choreographer's personality and if environment is important to make a good dancer or a good choreographer, etc. After the answers of the questionnaire had been analyzed, the eleven factors of dance-creativity (movement-sense, aesthetic sensibility, dance skill, dance-expressiveness, dance-intellectuality, dance-working composition ability, knowledge, dance-attitude, dance-motivation, experience, and environment) and their sub-factors were extracted. Also, the researcher structured the concepts of "dance-physicality," "dance-movementality," and "dance- reativity" as the factors of excellent dancer or choreographer. In Study Ⅱ, based on the result of "Study Ⅰ," a questionnaire survey asking fifty-six questions with four scales to the "experts" and the "students" was conducted. This questionnaire asked the essence of dance-creativity. In order to analyze the answers, the SPSS for Windows 10.0 was used fo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AMOS 4.0 for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the analysis, this study crystallize the six components of dance-creativity, such as "movement-sense, dance-intellectuality, aesthetic sensibility, choreographic ability, dance-attitude and artistic experience,"and found the sub-factors of those components, such as movement-sense (kinetic sense and kinetic receptive capacity), dance-intellectuality (idea, analysis ability, point of view, imagination, insight, and proficiency), aesthetic sensibility (sensibility and emotion), dance- working composition ability (synthetic ability, stage-composition ability, and logical- working ability), dance-attitude (self-training and self-control), and artistic experience (aesthetic experience and dance-creating experience). Examining the structure of dance-creativity, this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explaining the essence of creative dancer's performance and creative choreographer's work and specifies the area of dance educational psychology on theoretical level. At the same time, on practical level,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curriculum to increase the students' creativity in dance education and the education for the dance-gif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I. 서 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4 C. 연구가설 = 4 D. 연구의 제한점 = 5 E. 용어의 정의 = 5 II. 무용창의성의 이론적 근거 = 6 A. 창의성 = 6 1. 창의성의 개념 = 6 2. 창의성의 이론 = 7 3. 창의성의 구성요소 = 13 B. 무용창의성 = 17 1. 예술창의성 = 17 2. 무용창의성의 개념 = 20 3. 무용창의성의 이론 = 21 Ⅲ. 무용창의성의 경험적 탐색 = 24 A. 연구Ⅰ : 무용창의성의 요인추출 = 24 1. 연구대상 = 24 2. 연구도구 = 25 3. 연구절차 = 26 4. 자료분석 = 26 5. 연구결과 = 27 B. 연구Ⅱ : 무용창의성 구성요인의 구조 검증 = 37 1. 연구대상 = 37 2. 연구도구 = 37 3. 연구절차 = 38 4. 자료분석 = 39 5. 연구결과 = 40 Ⅳ. 종합논의 및 결론 = 59 A. 종합논의 = 59 B. 결론 = 65 참고문헌 = 67 부록 = 77 ABSTRACT = 8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450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무용창의성의 본질에 대한 이론적.경험적 탐색-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A Theoretical and Empirical Exploration into the Nature of Dance Creativity-
dc.creator.othernameOh, Regina-
dc.format.pagevi, 83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