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64 Download: 0

아동방임유형별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아동방임유형별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Risk Factors by Child Neglect Types
Authors
박미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노충래
Abstract
2000년 아동복지법이 개정되고 전국에 아동학대예방센터가 문을 열어 학대받는 아동을 돕기 위한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재 꾸준히 학대받는 아동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학대유형 중 방임아동의 발생비율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그에 따른 적절한 초기개입과 치료를 하는데 있어서는 많은 한계를 느낀다. 또한 아동양육의 최소한의 기준이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아동방임에 대한 기준을 정하고, 개입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방임의 실태와 각 유형별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을 파악하여 방임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임유형은 크게 세가지 신체방임, 정서방임, 교육방임으로 구분하였고, 그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들은 아동요인, 부모요인, 가족요인, 사회문화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원주시관내의 20개 중학교 중 5개 중학교를 무작위로 추출·선정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380부가 회수되었으나 응답내용이 불성실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하고 375부가 최종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방임 유형별 경험실태를 조사한 결과 최근 1년동안 한달에 1-2회이상 신체방임을 1번이라도 경험한 아동은 54.9%, 정서방임은 39.5%, 교육방임은 28.8%를 차지하였다. 신체방임 중 1년에 1회 이상 의생활과 관련된 방임비율은 약 10%정도, 식생활과 관련된 방임비율은 21%, 의료관련 방임율은 10.8%를 나타내었다. 신체방임 중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낸 것은 부모님이 외출하여 혼자 집을 보는 비율(78.7%)이었고, 정서방임 중에서는 약속시간을 잊거나 거의 무관심 한 경우(35.3%), 교육방임 중에서는 학교준비물이나 숙제를 했는지 관심이 없음(32.6%)로 나타났다. 둘째, 방임유형별 아동, 부모, 가족, 사회문화적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신체방임과 정서방임에 상관을 보인 변인은 성적, 공격성, 비행, 부부불화, 가족형태,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로 비교적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교육방임과 상관을 보인 변인은 성적, 비행, 모음주, 부모교육수준, 가족형태, 소득,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로 비교적 높은 정도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아동방임은 아동의 비행행동이 많을수록, 성적이 낮을수록, 공격성이 많이 표출 될수록, 부부불화가 많을수록, 가족, 친구, 교사의 지지가 낮을수록 더 많이 노출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아동·부모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아동방임유형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아동의 성적이 59점미만인 집단과, 부부불화가 한달에 1-2회 이상인 집단이 신체, 정서, 교육방임에 더 많이 노출되었으며, 부모의 취업여부에 따라서는 어머니가 취업한 집단이 신체방임과 정서방임 비율이 높았고, 교육방임과 관련해서는 어머니가 중졸이하의 교육수준인 집단과, 한부모 가정인 집단의 방임비율이 높았다. 넷째, 아동방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을 예측해 본 결과 신체방임은 아동의 비행문제가 많을수록 가족지지가 약할수록 신체방임에 노출될 위험요인이 높았고, 정서방임은 아동의 공격성이 높을수록, 비행문제가 많을수록, 어머니가 취업한 경우와 부부불화가 잦은 경우, 가족지지가 약할수록 정서방임에 노출될 위험요인이 높았다. 마지막으로 교육방임은 아동의 비행문제가 많을수록 가족지지가 약할수록 교육방임에 노출 될 위험요인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복지의 정책적·임상적 실천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방임이라는 단일주제를 통해 방임내의 유형들에 대한 세부적인 정의가 이루어졌고, 그에 따른 방임기준이 마련되어져 방임의 유형별 분류나 개입에 있어 전문가들이 활용할 수 있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둘째, 실천현장에서는 아동의 방임율과 유형별 방임실태를 토대로 방임아동의 개입 범위를 정하고, 계획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아동방임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변수로 아동요인, 부모요인, 가족요인, 사회문화적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그간의 아동학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아동요인, 부모요인, 가족요인들에 편중되어 있던 연구(김혜영·장화장, 2002; 이주희·이양희, 2000; 오승환, 2001, 2002)들과 달리 아동을 복잡한 생태학적 체계의 한 구성요소로 보아서 다양한 체계들간의 상호관계를 끌어냈다는 강점이 있다. 넷째, 아동의 비행문제가 많은 집단일수록 신체, 정서, 교육방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아동의 비행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치료하기 위한 개입들이 현장에서 이루어지기 위해 학교차원의 상담전문인력의 확보 및 채용과 비행이나 아동문제를 다루는 기존의 전문상담기관들의 전문성향상 노력,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기초 작업들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다섯째, 가족내지지가 약한 집단일수록 신체, 정서, 교육방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이 높다는 결과를 통해 일반 부모를 대상으로 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빈곤이나 실직과 같은 심각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 있는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위기가정지원서비스의 활성화 사업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취업한 어머니가 있는 경우 신체, 정서방임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만큼 취업모를 대상으로 직장내 아동방임교육 및 정부차원의 가족지원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진다. 여섯째, 아동방임에 있어 친구나 교사의 지지가 약한 경우 아동방임에 노출 될 수 있음이 지적되었듯이 아동에게 있어 학교라는 환경은 가족이외의 영역에서 더욱 확장된 개념의 활동영역으로 아동의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아동이 속해있는 학교환경을 적절히 활용하여 아동의 적극적인 친구관계 형성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캠프, 친구멘토프로그램 등의 적극적인 활용과 교사·아동 관계형성프로그램 등의 도입이 학교내에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일곱째, 부부불화나 가정내 불화가 있는 집단이 신체, 정서, 교육방임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통해 가정내 폭력이나 불화문제를 해결하는 기관(가정폭력상담소)과 아동학대예방센터가 연계하여 아동방임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들을 함께 논의하고, 실무자간 문제의 공유와 실무교육의 연계를 통하여 가정내 문제를 함께 풀어나가는 작업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Despite the revision of the Child Welfare Law in 2000 and the government's positive efforts to help abused children by operating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s all over the country, there is now a steady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subjected to abuse. While the occurrence rate of neglect among abuse types increases steadily, there are many limitations felt in providing proper early intervention and treatment. With the minimum standard for child-rearing not established, there is difficulty in setting standards for child neglect and in making interv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actual conditions of child neglect and at identifying risk factors by neglect types to discover neglected children at the early stage and to assist them in getting treatment. Neglect types were largely divided into physical, emotional, and educational neglect and risk factors affecting those types were classified into child, parent, family, and socio-cultural factors to carry out an analysis. For this purpose, five out of 20 middle schools in Wonju were randomly sampled and selected to distribute questionnaires; of 380 copies collected, 37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ing 5 with insincere respons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for experiences by child neglect types, 54.9 percent of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physical neglect once or more a month for the recent one year, followed by emotional neglect (39.5%) and educational neglect (28.8%). As for physical neglect, about 10 percent experienced neglect related to clothing habits once or more in a year; 21 percent that related to eating habits; and 10.8 percent that related to health care. Being left alone at home while parents went out showed the highest rate for physical neglect (78.7%); forgetting or being almost indifferent to a promise (35.3%) for emotional neglect; and being indifferent to school preparations or homeworks (32.6%) for educational neglect. Second, after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child, parent, family, and socio-cultural factors by neglect types, physical and emotional neglect had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 with such variables as school performances, aggression, delinquency, marital troubles, family types,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Educational neglect had relatively strong correlation with school performances, delinquency, drinking, parents' educational level, family types, income, friend support, family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s a result, children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neglect if they have more wrong behaviors, obtain lower grades, or express greater aggression and if there are more marital troubles and lower family, friend, and teacher support. Third, after analyzing differences in child neglect types by demographic propertie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children whose school performance was less than 59 points and who experienced marital troubles once or more a month were more exposed to physical, emotional, and educational neglect; those whose mother was employed showed a higher rate of physical and emotional neglect; educational neglect was higher in children whose mother possessed attainments equal to or low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graduates and who has only one parent. Fourth, after predicting risk factors affecting child neglect, the more delinquency problems and the weaker family support children had, the more likely they were to be exposed to physical neglect while they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emotional neglect when they had greater aggression or more delinquency problems, if their mother was employed, if there were frequent marital troubles, or if family support was weaker. Finally, children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educational neglect if they had more delinquency problems or if family support was weaker.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olicies and clinical practices of social welfare. First, this study formulated an in-depth definition of neglect types through a single theme of neglect and could provide data which experts might use in type-based neglect classification or intervention by setting the standards for neglect. Second, it will be possible to define the extent of intervention for neglected children and to make a plan on the basis of the child neglect rate and the actual conditions of neglect by types in practice. Third, this study classified risk factor variables affecting child neglect types into child, parent, family, and socio-cultural factors to carry out an analysis. Contrary to the prior studies on factors affecting child abuse, which were focused on child, parent, and family factors (Kim and Jang, 2002; Lee and Lee, 2000; Oh, 2001, 2002),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rew out correlation between many systems by seeing children as a component of a complicated ecological system. Fourth, as children with more delinquency problems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ll of physical, emotional, and educational neglect, it is first of all necessary for schools to secure and employ manpower specializing in counseling and for the existing professional counseling centers dealing with delinquency or child problems to make efforts to improve specialty and to implement basic tasks to cultivate professional manpower in order to perform intervention for discovering and treating children's delinquency at the early stage. Fifth, children receiving weaker support from family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ll of physical, emotional, and educational neglect;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perform projects to activate at-risk home support service to solve family problems under seriously stressful situations such as poverty and unemployment and to activate education programs for general parents. In addition, as children whose mother was employed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physical and emotional neglec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bout child neglect for employed mothers within a workplace and for the government to reinforce a family support system. Sixth, as it was indicated that children receiving weaker support from a friend or from a teacher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neglect, the school environment has the extended concept of the extra-family area, thus exerting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adjustment. It is therefore necessary for a school to make a good use of the school environment to which children belong through group programs to form positive friendship, camps, and friend mentor programs and to introduce teacher-child relationship formation programs. Seventh, as children with marital troubles or intra-home conflicts we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all of physical, emotional, and educational neglect, it is necessary to associate centers (e.g. home violence counseling centers) to resolve home violence or troubles with child abuse prevention centers in order to discuss how to prevent child abuse and for those in charge to share practical issues and associate practical training in order to perform tasks to solve intra-home problems toge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