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인영-
dc.contributor.author오정하-
dc.creator오정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60-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edical institutes mapped out a discharge plan for the mentally disabled, how the types of hospitals affected discharge planning and what should be done to improve it. It's ultimately meant to facilitate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mentally disabled, to minimize the recurrence of their disease, and to help mental health care institutes come up with more efficient discharge plans. After theories of discharge planning were reviewe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gather data, which were prepared based on earlier studies to cover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state of discharge planning and relevant work.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who worked at medical institutes equipped with a psychiatric war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he medical institutes investigated carried out a discharge plan when patients were scheduled to leave the hospitals. Patients who were to leave the hospital were selected at the request of their attending physicians, and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had the biggest impact on carrying out a discharge plan. In most of the medical institutes,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llected information on local rehabilitation centers available by making a phone call in light of the needs and residential areas of patients. And then they provided them with the information and let them visit a local rehabilitation center. They connected patients to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e most, which were followed by mental health centers and hospitals. A mean of 12 patients were discharged from the 85 psychiatric wards investigated every month, but just a mean of 2.4 patients were connected to local rehabilitation centers a month. As for the extent of fulfilling discharge plans for the mentally disabled, 52.6 percent of the respondents, who numbered 91, answered that discharge plans weren't carried out properly, and the poor awareness of other medical personnels was cited as the biggest reason, which was followed by inadequate system and improper law. Every mental health social worker investigated, who numbered 173, felt the need for discharge plans, and they considered discharge plans to contribute to accelerating the social adaptation of discharged mentally disabled people. As a result of checking how many times they spent a week on evaluating, coordinating, recording, counseling and connecting patients to local rehabilitation centers, the largest percentage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spent one time or more on each of all the segments, though they agreed to the necessity of those segments and had a high opinion about the effectiveness of them. And the second largest group didn't implement any of them. Besides, the weight of discharge-related work was the smallest among the multiple duties of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Concerning connections between the type of hospitals and discharge plans, the smaller-sized psychiatric clinics allowed the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to be more involved in selecting patients to be discharged by taking a team-based approach, but the mental hospitals and larger medical institutes let them take less part. As for relations between discharge plan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education about that, those who received education about that connected a mean of 1.04 more patients to local rehabilitation centers than the others who didn't. Regarding relations between discharge plan and the way of selecting patients to be discharged, whether patients to be discharge were selected at the request of attending physician or by case conference among medical personnels or by spontaneous application by patients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Patients who were discharged at the request of their attending physicians were most frequently connected to local rehabilitation centers, and the reason seemed that patients to be discharged were selected mainly at the request of their attending physician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discharge plans carried out by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First, medical teams should be involved in discharge planning. Second, discharge planning should be formalized. Third, a discharge plan should be prepared as early as possible. Fourth,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be provided in relation to discharge planning. Fifth, the government should offer incentives for medical institutes to improve their discharge planning and post-management for discharged mentally disabled people.;본 연구는 퇴원하는 정신장애인의 사회적응과 재발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의료기관에서 정신장애인의 퇴원계획이 얼마나 이루어지고 있으며, 병원유형별 퇴원계획 실태는 어떠한지, 퇴원계획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를 살펴봄으로써 정신의료기관에서의 퇴원계획을 활성화 시키고, 향후 보다 효과적인 퇴원계획방안을 모색하는데 있어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퇴원계획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퇴원계획실태를 묻는 설문문항 그리고 퇴원계획 업무의 현황을 중점으로 설문지를 구성 하여 정신과 입원병동이 있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의료기관에서는 퇴원계획을 퇴원이 예정 될 때 실시하고 있으며, 퇴원계획 실행 시 주치의 의뢰로 대상자를 선정하고 실시하는 과정에서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가장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대부분에 정신의료기관에서는 퇴원계획 실행 과정 중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환자의 욕구와 거주지를 고려하여 전화로 지역사회재활기관의 정보를 수집 한 후 정신장애인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방문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연계를 하고 있으며 사회복귀시설, 정신보건센터, 낮 병원 순으로 기관연계를 많이 하고 있다. 조사된 85개 정신과 입원병동의 월 평균 퇴원하는 환자 수는 평균 12명인데 반해 퇴원환자 중 월 평균 지역사회연계를 실시한 정신장애인 수는 평균 2.4명으로 조사되었다. 정신장애인에게 퇴원계획을 실행하는 정도는 응답자의 52.6%(91명)가 근무지에서 퇴원계획이 잘 실행되지 않고 있다는 부정적인 답변을 하였다. 이와 같이 의료기관에서 정신장애인에게 퇴원계획이 잘 실행되지 않고 있는 이유로는 타 치료진들의 인식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제도적/법적 미비를 들었다. 응답자인 정신보건사회복지사 100%(173명)가 의료기관에서의 퇴원계획이 필요하며, 정신장애인이 퇴원 후 지역사회에서 적응하며 생활하도록 돕는 것에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다. 하지만, 퇴원계획 업무를 세부적으로 평가, 조정, 기록, 상담, 연결로 나누어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이 의료기관에서 주당 실시한 시간을 보면 필요성과 효과성을 인식한 것과는 달리 실행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평가, 조정, 기록, 상담, 연결 모두 “1시간 이상”을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다음으로 “실시하지 않는다”라는 응답도 다수를 차지하였다. 또한 업무 비중도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업무 중 가장 적게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병원 유형에 따른 퇴원계획 실태는 개인정신과의원이면서 병상수가 적을수록 정신장애인이 퇴원계획 시 팀 접근으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개입이 많으나 전문정신병원이고 병상수가 많을수록 퇴원계획 시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개입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퇴원계획과 관련 된 항목으로 퇴원계획에 관한 교육을 받은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평균 1.04명을 더 연계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방법과의 관계는 주치의 의뢰와 치료진의 사례회의/환자 및 가족의 자발적 신청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치의 의뢰가 가장 연계한 환자 수가 많았다. 이는 현재 퇴원계획 대상자 선정 방법으로 주로 주치의 의뢰방법을 실시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실행 하는 퇴원계획이 활성화되기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퇴원계획에 대한 치료팀 차원의 접근이 필요하다. 둘째, 퇴원계획 업무의 공식화가 필요 하다. 셋째, 초기에 퇴원계획 개입이 필요하다. 넷째, 퇴원계획에 대한 교육과 훈련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의료기관에서 퇴원계획이 활성화되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제도적으로 퇴원계획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의료기관에서 퇴원하는 정신장애인의 사후관리 차원에서의 계획 된 퇴원이 가능하도록 책임을 질 수 있는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 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퇴원계획의 이론적 근거 = 5 1. 생태체계이론 = 5 2. 스트레스-극복능력 이론 = 6 B. 정신장애인과 퇴원계획 = 8 1. 정신장애인의 개념과 특성 = 8 2. 정신장애인의 퇴원계획 = 11 C. 퇴원계획 = 12 1. 퇴원계획의 개념 = 12 2. 퇴원계획의 필요성 = 13 D. 정신보건기관 = 19 1. 정신의료기관의 역할 = 20 2. 지역사회 재활기관의 역할 = 20 E. 퇴원계획에 있어서의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 = 22 Ⅲ. 연구 방법 = 25 A. 조작적 정의 = 25 B. 연구 대상 = 26 C. 조사방법 = 27 D. 설문 문항 = 27 E. 자료분석방법 = 29 Ⅳ. 연구결과 = 30 A.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0 B. 연구 대상자의 근무 환경 특성 = 32 C. 퇴원계획 실태 = 34 D. 병원유형에 따른 퇴원계획 실태 = 49 E. 퇴원계획과 관련된 항목 = 53 Ⅴ.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 55 B. 제언 = 59 참고문헌 = 63 부록 = 69 ABSTRACT = 7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234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퇴원계획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ischarge Planning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dc.creator.othernameOh, Jeong-Ha-
dc.format.pageviii, 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