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6 Download: 0

영아의 성 및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수행에 대한 귀인,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및 양육지식

Title
영아의 성 및 연령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수행에 대한 귀인,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및 양육지식
Other Titles
A study on maternal attributions,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and parenting knowledge of infants' mothers
Authors
박수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수행에 대한 귀인,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및 양육지식과 관계된 변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신도시에 거주하는 만 36개월 이하의 영아 251명(남아 123명, 여아 128명)의 어머니로 하였다.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양육수행에 대한 귀인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The Parent Attributions Questionnaire(PAQ; MacPhee, Seybold, & Fritz, 1989)를 사용하였고,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MacPhee, Benson과 Bullock(1986)의 Self-Perceptions of the Parental Role(SPPR)을 사용하였다. 또한 양육지식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The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KIDI; MacPhee, 1981) 중 객관식 7문항을 제외한 68문항을 사용하였으며, 세 가지 척도 모두 미국 NICHD(The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에서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본 연구자가 이해하기 쉬운 문항으로 다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2.0 Program을 사용하였고, 기초분석을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Cronbach' α계수를 사용하였다. 또한 Pearson 적률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변인들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를 밝히기 위하여 반복측정 공분산분석 및 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모든 유의도는 p<.05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수행에 대한 어머니의 귀인은 양육행동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우와 성공적으로 수행하지 못한 경우 모두에서 주효과가 나타나, 어머니는 양육수행에 대하여 외적 귀인(과제의 난이도, 영아의 행동)보다는 내적 귀인(어머니의 능력, 노력)을 더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어머니의 귀인에 대한 영아의 성 및 연령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아, 영아의 성 및 연령에 따라 어머니의 귀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부모역할과 그 이외의 역할 간에 느끼는 균형감에 대한 영아 연령의 주효과가 나타나, 영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어머니가 느끼는 균형감은 점차 감소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어머니가 느끼는 균형감에 대한 영아의 성의 주효과와 영아의 성 및 연령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어머니로서의 유능감과 양육 만족감에 대한 영아의 성 및 연령의 주효과와 상호작요효과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지식에 대한 영아의 성, 연령 및 출생순위의 주효과 및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영아의 성, 연령 및 출생순위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지식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어머니의 연령, 교육수준 및 취업여부는 양육지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양육지식의 하위 요인들과 어머니의 연령, 교육수준 및 취업여부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머니의 교육수준은 발달과정에 관한 지식과 낮은 수준의 상관을 나타내어,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발달과정에 관한 지식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육수행에 대한 어머니의 귀인은 영아의 성 및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은 부모역할과 그 외의 다른 역할 간에 느끼는 균형감만이 영아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지식은 영아의 성, 연령 및 출생순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발달과정에 관한 지식만이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연구는 양육인지를 설명하는 측면인 양육수행에 대한 귀인,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 및 양육지식이 영아의 성, 연령, 출생순위 및 어머니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적 수준에서 살펴봄으로써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인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mothers' parenting cognitions (maternal attributions,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and parenting knowledge) as a function of sex and age of infants. The relations between mothers' age, educational level, and employment status and parenting knowledge were also examined. A total of 251 mothers who have young children(123 boys and 128 girls) under age of three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completed questionnaires, such as Parental Attributions Questionnaire, Self-Perceptions of the Parental Role, and Knowledge of Infant Development Inventory. Pearson's correlation, repeated measures ANCOVA, Three-way ANOVA, and Sheffe' post hoc test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type of maternal attributions in successful and unsuccessful situations; that is, mother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internal causal attributions than external causal attributions in both situations. But, neither the main effect of sex of infants no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x and age of infants was significant in both successful and unsuccessful situation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main effect of age of infants on self-perceived role balance. As the age of infants increased, mothers' self- perceived role balance scores became higher. Third, mothers' parenting knowledg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sex age, and birth order of infants. However, mothers' educational level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knowledge of developmental process.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