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9 Download: 0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Title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Authors
임숙현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아동은 질병과 그에 따른 입원으로 신체적인 긴장, 통증, 운동의 제한 뿐 아니라 정서적인 불안, 공포를 경험한다. 입원한 아동이 불안, 공포감을 갖게되면 의료 팀과 환아 간의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지 못하고 병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입원기간이 지연될 뿐 아니라 퇴원 후에도 정서적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특히 입원아동 어머니의 역할 수행에 대한 죄의식, 예후에 대한 불안으로 인한 어머니의 정서 및 감정은 아동에게 큰 영향을 주고, 어머니의 불안 및 공포감이 자녀에게 전달되는(Marlow, 1988) 부정적 영향을 초래하여 어머니로서 간호능력이 저해되고, 입원아동의 건강회복에 나쁜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김선구, 1999; 이현성, 1988). 이에 본 연구는 아동이 입원 및 치료과정과 관련하여 경험하는 공포의 정도를 확인하고, 나아가 입원 아동의 병원관련 공포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규명해 봄으로써, 향후 질병으로 입원한 아동의 병원관련 공포를 감소시키고, 병원생활의 적응을 향상시키며, 질병의 회복을 촉진하고 나아가 아동 어머니의 참여 및 부모 교육을 통해 입원아동의 적응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과 경기도에 소재한 총 4개 병원에 입원한 6세~12세 아동 174명과 이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2002년 10월 1일부터 2002년 10월 31일 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형 질문지를 통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도구로서 병원관련 공포는 학령기 입원아동을 대상으로 문영임(1991)이 개발한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 측정도구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이진희(1998)가 사용한 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등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 정도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 정도는 3점 만점에서 최저 1.04점, 최고 2.52점으로 평균 1.61이었다. 입원아동의 병원관련공포에 대한 문항별 공포를 보면 수술하는 것 , 수술실 , 의사가 내 병이 심하다고 하는 말 순으로 나타났으며, 문항별 결과를 요인별로 분류해 볼 때 병원관련 공포는 수술 , 가족과의 분리 , 질병경과 , 주사 , 신체손상 순으로 나타났다. 2. 입원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 입원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는 4점 만점에서 최저 1.42점, 최고 3.70점으로, 평균 2.89였다. 입원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는 애정적 태도와 관련된 자녀양육태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수용적 태도, 긍정적 평가 태도, 독립심 권장태도의 순이었으며, 자율적 태도와 관련한 자녀양육태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의 차이 입원 아동의 일반적 특성 중 아동연령(F=12.16, p=.000), 학년(F=12.87, p=.000), 입원기간(F=3.05, p=.030), 입원 횟수(F=3.05, p=.050), 아버지 연령(t=2.95, p=.004), 아버지 학력(F=4.11, p=.008), 부모 결혼 상태(t=2.37, p=.019), 수입상태(t=2.09, p=.038)는 병원관련 공포의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입원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의 차이 입원아동 부모의 일반적 특성 중 어머니의 종교는 자녀 양육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69, p=.008). 5.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와 입원아동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간의 관계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r=-.067, p=.377). 그러나 입원아동의 요인별 병원관련 공포와 어머니의 자녀양육태도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입원 아동의 질병경과 와 관련한 병원관련 공포와 입원아동 어머니의 애정적 태도 와 관련한 자녀양육태도 사이에 약한 음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r=-1.54, p=0.043), 입원 아동의 약 과 관련한 병원관련 공포와 어머니의 자율적 양육태도 와 관련한 자녀양육태도 사이에 약한 음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179, p=.018). 본 연구의 결과가 나타내는 것은 실무에 종사하는 간호사들이 입원 아동의 간호를 수행할 때, 아동의 특성과 관련한 병원관련 공포의 정도와 영향요인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 실무적 측면에서 입원아동의 수술과 관련한 병원관련 공포를 감소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간호중재법 개발을 시도해야 할 것이며, 간호 교육적 측면에서 어머니들이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에 대해 관심과 이해를 가질 수 있도록 병원시설과 일상적인 병원생활 그리고 치료과정과 관련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추후 연구에서는 오늘날 가족 구성원이 핵가족화 되면서 아버지의 역할이 어머니 못지 않게 중요 시 되고 있는 실정이므로 아버지의 양육태도와 아울러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일치정도와 입원아동의 병원관련 공포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When hospitalized due to some diseases, children may experience not only physical tension, pain and limited activities but also some emotional fear or terror. If a hospitalized child is subject to fear or terror, he or she would not maintain a smooth human relationship with medical staff or other children hospitalized. Then, he or she may not adapt himself or herself to the hospital life, and the period of his or her hospitalization may be extended, and even worse, he or she may suffer from some emotional difficulty after de-hospitalization. In particular, mothers may suffer from a sense of guilt, while being fearful of her child s prognosis. Then, her emotion or sentiment may affect her child. In a nut-shell, mother s fear or terror may be empathize into her child (Marlow, 1988), and in such a case, the result may be much negative. Thus, mothers cannot well nurse their children, while children s recovery may be impeded. (Kim Seon-gu, 1999; Lee Hyeon-seong, 1988). With such basic conceptions in mind,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children s fear of being hospitalized or treated, and thereupon,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fear of hospital and mothers rearing attitudes in order to help children relieved of their fear and adapt themselves more to hospital life, and thereby, recover from the disease, and ultimately, providing some basic data useful to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hospitalized children through mothers participation and education. To this end, 174 children aged between 6 and 12 who were hospitalized in 4 hospitals in Seoul and Kyonggi-do were sampled together with their mothers to be subject to a structured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from October 1 to 31, 2002. In order to measure children s fear of hospital, a "Fear Scale" developed by Moon Young-im (1991)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mothers rearing attitudes, a scale developed by Lee Jin-hee (1998) was modified for this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PC program for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standard deviations, T-test, ANOVA, and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Hospitalized children s fear of hospital Children s fear level (5-point) scored minimum 1.04 and maximum 2.52, and 1.61 on average. The most fearful object was surgery , followed by operation room and doctor s negative comment in their order. When the factors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children were most fearful of surgery , followed by separation from their families , condition of their disease , injection and physical damage in their order. 2. Mothers rearing attitudes When mothers rearing attitudes were measured with the 4-point scale, it was found that the minimum value was 1.42, the maximum value 3.70 and the average value was 2.89. The most conspicuous rearing attitude was affectionate attitude , followed by accommodating attitude , positive assessment and encouragement of an independent life in their order. The least conspicuous rearing attitude was autonomic . 3. Differences of children s fea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Children s demographic variables fou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fear were age (F=12.16, p=.000), grade (F=12.87, p=.000), period of hospitalization (F=3.05, p=.030),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F=3.05, p=.050), fathers age (t=2.95, p=.004), fathers academic backgrounds (F=4.11, p=.008), parents marital status (t=2.37, p=.019) and families income level (t=2.09, p=.038). 4. Differences of mothers rearing attitudes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variables Among mothers demographic variables, religion was fou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rearing attitude. (t=2.69, p=.008). 5.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s fear and mothers rearing attitude There was fou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ildren s fear and mothers rearing attitude. (r=-.067, p=.0377). However, there was found som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ir some sub-factors. Namely, children s fear of their condition of disease was correlated slightly negatively with mothers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 (r=-1.54, p=.043), and children s fear of medicine was correlated slightly negatively with mother s autonomic rearing attitude. (r=-.179, p=.018). In all, the above findings suggest that nurses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children s fear of hospital and mothers rearing attitudes. Thus, it is deemed necessary to develop a practical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designed to relieve children s fear of surgery, while developing an education program to help mothers understand their children s fear of hospital better. The latter program need to link hospital facilities with children s ordinary hospital life and treatment processe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ized children s fear of hospital and parents rearing attitudes, because fathers role becomes as much important as mothers in nuclear famili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