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7 Download: 0

중환자실 환자의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

Title
중환자실 환자의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
Authors
최화숙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간호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은 기도 삽관 및 기계 환기와 관련해서 발생하며 중환자실의 주된 사망의 원인이기도 하다(김준명, 2002).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으로 무균적인 인공호흡기 회로, 가습기, 분무기 등의 관리가 강조되고 있으며,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은 미국 질병관리센터(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의 관리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광범위함으로 인해 각 병원마다 관리 기준이 달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을 예방하기 위한 표준화되고 구체적인 관리 지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을 조사하는 전향적 연구로서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 현상을 파악하여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간호전략을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02년 8월 26일부터 11월 22일(90일간)까지 A대학 병원 중환자실에 입실하여 인공호흡기를 적용받은 26명을 대상으로 조사표를 이용하여 일반적 사항 및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의 위험요인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미생물 배양을 통해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와 대상자의 호흡기계 감염에 대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실수와 백분율, x²-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 대상자는 실험군이 13명, 대조군이 13명으로 총 26명이었다. 대상자들의 성별 중 남성은 실험군이 9명(69.2%), 대조군이 10명(77.0%)이었고, 평균 연령은 실험군이 61.9세, 대조군이 64.9세였다. 입실경로는 응급실을 통한 입실이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9명(69.2%)이었고, 중환자실 평균 재원일수는 실험군이 8.2일, 대조군이 41일이었다. 인공호흡기 적용 후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와 연구 대상자의 호흡기계로부터 검체 채취는 실험군이 평균 4.5일째, 대조군이 4.4일째에 시행하였다. APACHE(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Ⅲ 점수 평균은 실험군이 64.5점, 대조군이 59.0점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차이 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인공호흡기의 가습기 및 대상자의 호흡기계 감염율은 다음과 같다. 인공호흡기 관리 방법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가습기 감염율을 보면 실험군은 균이 분리되지 않았고 대조군은 1예(7.7%)에서 균이 분리되었다. 대상자의 호흡기계 감염율을 보면 실험군은 8예(61.5%)에서, 대조군은 11예(84.6%)에서 균이 분리되었으며, 실험군에서는 8예 모두에서 한 종류의 균이 분리되었고, 대조군에서는 11예 중 1예(7.7%)에서 2종류의 균이 동시에 분리되었다. 3.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의 감염균 및 비율은 다음과 같다. 인공호흡기의 가습기의 감염균 및 비율을 보면 실험군은 균이 분리되지 않았고 대조군은 1예(7.7%)에서 그람 음성 간균인 Pseudomonas aeruginosa가 분리되었다. 4. 대상자의 호흡기계의 감염균 및 비율은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호흡기계 분비물의 감염균 및 비율을 보면 전체 26예에서 분리된 균검출 횟수는 20회였으며 이중 그람 양성균이 4회(19.1%), 그람 음성균이 15회(76.1%), Un - identification Yeast like organism이 1회(4.8%) 분리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된 균 중 그람 양성균으로는 Staphylococcus aureus(19.1%)가 분리되었고, 그람 음성균으로는 Acinectobacter baumannii(47.6%)가 가장 많이 분리되었다. 5. 항생제에 대한 내성은 다음과 같다. 세균배양에서 분리된 균주가 가장 많았던 Acinectobacter baumannii는 17가지 항생제 중 9가지 항생제에 전 예가 내성을 나타냈다. Staphylococcus aureus는 11가지 항생제 중 6종류의 항생제에 전 예가 내성을 나타냈으며, Imipenem, cilastatin sodium에는 전 예가 민감반응을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인공호흡기 회로 관리 방법에 따른 감염 발생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본수를 증가시켜 반복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2) 인공호흡기 적용 후 시간 간격을 두고 실시할 것과 인공호흡기 회로의 여러 부위에서 미생물 배양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인공호흡기 관리 방법에 따른 인공호흡기의 회로 감염과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발생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시행될 것을 제언한다. ; The pneumonia may be contracted at the intensive care unit due to a wrong insertion of a tube into the airway or poor ventilation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Pneumonia is the primary cause of death at the intensive care unit. (Kim Joon-myeong, 2002). In order to prevent pneumonia related with use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it is necessary to correctly manage the circuit, humidifier and spray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he US Centers for Disease Control (CDC) has arranged some criteria for managemen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but since the criteria are too comprehensive, it is required of each hospital to arrange their own standards and specific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was aimed at surveying the infection due to mis-management of the circui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nd thereby, providing for some nursing strategies to prevent pneumonia related with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o this end, 26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t a university hospital for 90 days from August 26 to November 22, 2002 were sampled. Then, a checklist was used to collect the data regarding the risk of pneumonia related with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s well as patients demographic variables. Thereupon, the data regarding the infection due to the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were analyzed by means of micro-organism culturing.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real numbers, percentages and chi-squa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nfection ratio due to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ection ratio due to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here was found no germs separated in the test group, while the germs were separated in example 1 (7.7%). In terms of the airway infection ratio, germs were separated in example 8 (61.5%) of the test group and example 11 (84.6%) of the control group. To be more specific, a germ at least was separated in all of example 8 of the test group, while two germs were simultaneously separated in example 1 (7.7%) of the control group. 2. Infected germs and their ratio due to humidifier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There was no germ separated in the test group, while the gram negative liver germ Pseudomonas aeruginosa was separated in example 1 (7.7%) of the control group. 3. Infected germs and their ratio in patients airway Germs were separated 20 times in the entire 26 examples; 4 times (19.1%) in case of gram positive germs, 15 times (76.1%) in case of gram negative germs, and once (4.8%) in case of Un-identification Yeast like organism. The gram positive germ separated most in this study was Staphylococcus aureus (19.1%), while the gram negative germ separated most in this study was Acinectobacter baumannii (47.6%). 4. Anti-biotic resistance Acinectobacter baumannii which was most frequently separated in germ culturing was found to resist 9 anti-biotics among 17 ones. Staphylococcus aureus was found to resist 6 anti-biotics among 11 ones, and in all examples, it reacted sensitively to imipenem, cilastatin and sodium.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put forwards; 1) Future studies need to increase the number of sample in order to confirm through repeated testings the infection due to mis-management of the circui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2) It is necessary for future studies to set some intervals of time after application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while check various parts of the circuit of the artificial respiratory aid by means of micro- organism culturing test. It is further necessary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infection due to artificial respiratory aid circuit and pneumonia. 3) It is hoped that diverse future studies will be conducted in consideration of the risk factors of artificial respiratory aid affecting pneumon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보건융합대학원 > 임상간호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