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도현심-
dc.contributor.author이수하-
dc.creator이수하-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40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46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K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중인 남녀합반 13학급의 299명의 남녀 학생들(남: 11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학교생활적응은 임정순의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검사지’와 전호택의 ‘학교생활 검사지’를 참고로 하여 유윤희(1994)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주현정(1998)이 사용한 척도를, 부모애착은 Armsden과 동료들(1991)이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부모 및 또래에 대한 애착척도 개정본(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R) 가운데 부모에 대한 애착척도를, 또래애착은 Armsden과 Greenberg(1987)이 개발하고 김지연이(1995)이 번안하고 수정한 애착척도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애착, 또래애착 및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서의 성차를 알아본 결과,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 및 학교규칙에서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에 비해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른 요인들에서는 유의한 성차가 보고되지 않았다. 둘째,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녀 청소년 모두 학교생활적응 요인중 학교규칙을 제외하고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단 학교규칙은 여자 청소년만이 어머니 애착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높을수록 여자 청소년들은 학교규칙을 잘 지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녀 청소년 모두 또래애착이 높을수록 교사관계와 교우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애착은 수업태도와는 여자 청소년만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학교규칙과는 남녀 청소년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또래애착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남자 청소년의 경우만 양자간에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어, 부모애착이 높을수록 또래애착은 높게 나타났다. 여자 청소년은 양자간에 유의한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교사관계는 여자 청소년만이 부모애착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는 남녀 청소년 모두 부모애착보다 또래애착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수업태도는 부모애착의 영향을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규칙은 여자 청소년만이 어머니 애착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This study examined relations with the adolescents' school life adjustment of their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nd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ir parent attachment as well as peer attachment up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The subjects were 299 students (including 113 boys) of 13 classes of the first year of K High School at Seoul. The author collected material by the questionnaires. The author made use of the questionnaire of the school life adjustment that Yu Yun-hee amended and supplemented and Ju Hyun-jeong adopted by referring to 'The questionnaire on school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of Lim Jeong-sun and 'The questionnaire of school life' of Jeon Ho-taek. The author made use of not only the parent attachment of the 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R that Armsden and his fellows (1991) developed for college students but also the peer attachment of IPPA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that Armsden and Greenberg (1987) developed and Kim Ji-yeon (1995) amend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varied as a function of sex. The girl students had higher peer attachment, relations with peers and adaptation to school rules than the boy students had. However, the student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other factors depending upon gender. Secondly, both the girl students and the boy students had close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when parent attachment was stable, except for adaptation to school rules. However, the girl students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mother attachment at adaptation to the school rules. Thirdly, both the girl students and the boy students had higher school life adjustment when they had stable peer attachment at relations with teachers and relations with peers. The girl students had significant relations with adjustment to classes: Both the girl students and the boy student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 with adaptation to the school rules. Fourthly, the boy students had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while the girl students had no significant relation. Lastly, the parent attachment had more influence upon the girl students at the relations with teachers than the peer attachment had: The peer attachment had more influence upon both the girl students and the boy students at the relations with peers than the parent attachment had, while the parent attachment had more influence upon them at adjustment to classes. The mother attachment had influence upon the girl students at adaptation to school ru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학교생활적응의 개념 = 5 B. 청소년기 애착의 개념 = 7 C. 부모애착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 9 D. 또래애착과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 12 E. 부모애착과 또래애착간의 관계 = 15 Ⅲ. 연구문제 및 용어정의 = 17 A. 연구문제 = 17 B. 용어정의 = 17 Ⅳ. 연구방법 = 20 A. 연구대상 = 20 B. 조사도구 = 23 1. 부모애착 척도 = 23 2. 또래애착 척도 = 23 3. 학교생활적응 척도 = 24 C. 조사절차 및 자료분석 = 25 Ⅴ. 연구결과 = 27 A. 예비분석 = 27 B. 부모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 29 C.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 31 D.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또래애착간의 관계 = 32 E.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 33 Ⅵ. 논의 및 결론 = 36 참고문헌 = 46 부록 질문지 = 57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00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 between parent attachment, peer attachment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adolescents-
dc.creator.othernameLee, Sue Ha-
dc.format.pageⅶ,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