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10 Download: 0

중학교 교장의 수업리더십에 대한 기대와 실제

Title
중학교 교장의 수업리더십에 대한 기대와 실제
Authors
구순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수업은 학교교육의 핵심이므로 수업이 잘 이루어지도록 학교장의 수업 리더십이 효과적으로 발휘되어야 한다. 특히 중학교는 공부습관과 지력 형성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시기일 뿐 아니라 고등학교 무시험 전형 등으로 면학 분위기가 느슨하기 쉬우므로 어느 단계보다 중학교에서 교장의 수업 리더십은 더욱 효율적이고도 강력하게 발휘될 필요가 있다. 또한 효과적인 학교에 대한 연구에서도 교장의 수업 리더십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교장의 수업 리더십을 방해하는 많은 요인들이 있다. 즉 형식적이고 타성적인 교내자율장학활동, 교장의 수업 리더십 발휘에 크게 영향을 주지 못하는 학교 평가, 교장의 의지대로 실시하기 어려운 학업 성취도평가, 교장의 수업 리더십 함양에는 미흡한 연수 프로그램 등의 요인으로 인해 교장이 기대하는 만큼의 수업 리더십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학교장의 수업 리더십이 요청됨에도 불구하고 학교장이 수업 리더십을 발휘할 수 없는 상황 또는 학교장이 수업 리더십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교장의 수업 리더십에 대한 기대는 어떠한지, 기대에 비교하여 실제 행동은 어떠한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교장의 수업 리더십 수행에 대한 기대와 실제를 조사 분석해 봄으로써 현재 학교장의 수업 리더십 실제를 진단하고 이를 근거로 학교장의 수업 리더십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즉 수업 리더십 수행에 대한 교장의 역할 제고와 함께, 교장의 수업 리더십에 대한 기대와 실제와의 간격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교장의 수업 리더십에 대한 교장 개인 변인별 기대는 어떠한가? 2. 중학교 교장의 수업 리더십에 대한 교장 개인 변인별 실제는 어떠한가? 3. 중학교 교장의 수업 리더십에 대한 교장의 기대와 실제와의 차이는 어떠한가? 4. 중학교 교장의 수업 리더십 실제에 대한 교사의 개인 변인별 인식은 어떠한가? 5. 중학교 교장의 수업 리더십 실제와 교사의 인식과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탐구하기 위해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를 통하여 교장의 수업 리더십 요인을 추출하였다. 교장의 수업 리더십 하위요인으로 수업개선활동과 수업평가활동이 추출되었고, 수업개선활동의 하위 요인으로는 수업프로그램 개선, 수업관찰, 직원발전을 추출하였다. 수업평가활동의 하위요인으로는 학생성적평가, 교사평가, 평가결과 활용을 추출하였다. 이와 같은 각 하위요인들을 가지고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서울시 11개 지역청별로 4개 학교씩 선정하여 교장 44명, 교사 41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통계자료는 SPSS 11.5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t-test과 One-way ANOVA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의 개인 변인 중 성별, 전문직 유무, 교장 경력, 연령은 교장의 수업 리더십의 기대나 실제 수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교장의 수업 리더십 인식 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장이 기대하는 수업 리더십 수준과 실제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존재하고 있었다. 즉 교장의 수업 리더십 필요 인식과 기대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낮게 행동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의 개인 변인별 교장의 수업 리더십 실제 행동에 대한 인식은 남자가 여자보다, 부장교사가 일반교사보다, 20년 이상 경력교사가 저 경력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인식 수준이 높은 것은 승진에 대한 성취욕구가 상대적으로 더 많으므로 교장의 경영의지를 잘 수용함으로써 교장의 수업 리더십을 긍정적으로 인식한다고 유추되고 있다. 넷째, 수업 리더십 수행 실제에 대한 교장의 인식과 교사의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가 있는 이유는 먼저 교장의 수업 리더십이 교사들에게 스며들지 못한데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학교장의 의사소통 기법에도 문제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교장의 수업 리더십 행동에 대한 기대와 실제의 차이와 교장의 수업 리더십 실제 행동과 교사의 인식 수준과의 차이를 줄이려는 노력이 학교 안팎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 먼저 학교 내에서 교장은 교사들이 따라오지 않아서 수업 리더십을 발휘할 수 없다는 소극적인 태도에서 벗어나야 한다. 교내자율장학을 강력하게 이끌어 나가면서 수업 리더십을 발휘하는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교장은 갖추어야 하며 전문적 수업 리더십을 교사들이 잘 수용할 수 있도록 도덕적 인격 또한 갖추어야 한다. 학교 외적으로는 교장이 되기까지 제공되는 각종 연수에서 교장의 수업 리더십을 신장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교사 대상 연수에서는 교내 자율장학의 중요성과 우호적인 마인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청 단위의 학업성취도평가가 실시되어서 학교교육의 핵심인 수업에 에너지가 집중되고 학교들이 자유경쟁체제 속에서 학생지도에 임하도록 하여 학교들이 교육을 더 잘 시키려는 경쟁의 장으로 유도하여야 한다. 아울러 현재의 학교평가 시스템도 교장의 수업 리더십을 강력하게 이끌어 낼 수 있도록 평가 내용이나 방법 면의 개선도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학교 안팎의 노력들이 교장의 수업 리더십 발휘에 영향을 주게 될 것이고, 이와 함께 향상된 수업의 질은 학원에 빼앗긴 교사들의 지적 신뢰와 함께 학교가 가진 원래의 제 기능을 회복시켜 주게 될 것이다.;As instruction is the pivot of school education, principals should deploy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efficiently to offer quality instruction. Especially,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should be more efficient and stronger in middle school than in schools of the other grades, since middle school period is critical for the fundamental development of study habits and intelligence and high school admission with no exam is likely to let students less concentrate on their studies. Moreover, studies stressed that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was important to improve school performance. However, there are lots of elements to make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less successful,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ed light on the roles of principals in association with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o seek way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expectations of principals and teachers for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of principals and their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 the personal variables of middle school principal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own expectations for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and to their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2.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expectations of middle school principals for their own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and their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3. Do the personal variables of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way of looking at the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of middle school principals? 4. What differences are there between the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of middle school principals and teachers' perception of that?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were reviewed to select what concerned principal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n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4 principals and 414 teachers at 44 schools in Seoul. Four schools each were selected from eleven offices of education in Seoul,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1.5 program, an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principals made no differences to their own expectations for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or to their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but their perception of that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ersonal variables. Second,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fell short of their own expectations. Third, as for connections between the personal variables of the teachers and their opinion on the actual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of the principals, the teachers who were male, head teachers and had a 20-year or higher career took a better view of it than those who were female, lay teachers and had a less career. Fourth, the teachers set a lower value on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formance of the principals than the principals themselves did.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it's required for people concerned in and outside school to make efforts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expectations of the principals for their own instructional leadership behaviors and their actual behaviors and between their actual behaviors and the teachers' way of looking at it. In school, principals should acquire professional knowledge and knowhow about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they also should have a good, decent personality to let teachers accept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Outside school, more reinforced training programs should be provided to boost their instructional leadership, and each office of education should make an 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to turn school into a place for educational competition in good faith. Besides, current school evaluation system should be improved. Such concerted efforts will have a good impact on the instructional leadership performance of principals, which will, in turn, contribute to escalating the quality of instruction. Higher-quality school education will let people put more confidence in school teachers than in academies, and then school education will be on the right trac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