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반도윤-
dc.creator반도윤-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12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2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8주 운동프로그램(관절운동, 등척성 운동)이 골관절염 환자의 치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의 실험 대상은 서울시 소재 K의료원 재활의학과 외래를 방문하고 퇴행성 슬관절염 진단을 받은 환자 24명(실험집단 12명, 통제집단 12)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증 자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시각적 상사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할 각도계(goniometer), 기능적 평가를 측정하기 위한 WOMAC(Western Ontario and Ma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을 이용하였다. 운동프로그램은 8주 동안 주 4회 이상, 하루에 3회, 평균 20분으로 구성하였다. 모든 측정항목에 대해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대응 표본 t 검증(paired t- test)을 이용하여 실험 전·후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기능적 평가지수(WOMAC)는 실험집단에서는 평균 39.67에서 17.33로 통계적으 로도 유의하게 나타났고(p<.05), 통제집단에서는 26.17에서 24.25로 통계적 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1) 3가지 항목(통증, 관절경직, 기능적 평가)중 통증은 실험집단이 8.25에서 3.75로 현저하게 감소하여(p<.05)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하지 않았다(p>.05). 2) 관절경직은 실험집단이 3.00에서 1.33으로 감소되어 경직도가 감소하였 으나(p<.05), 통제집단은 오히려 1.50에서 1.92로 증가하였다(p>.05). 3) 신체적 기능은 실험집단이 28.75에서 10.67로 매우 향상되어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으나(p<.05), 통제집단에서는 18.92에서 16.67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2. 관절가동범위의 변화를 보면, 슬관절 신전은 실험집단이 10.17°에서 5.17° 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5), 통제집단에서는 3.08°에서 2.08°로 유의하지 않았다(p>.05). 3. 통증자각도(VAS)는 실험집단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05), 통제집단 은 유의하지 않았다(p>.05). 본 연구를 통해 운동프로그램(관절운동, 등척성 운동)의 반복적인 교육과 확인으로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게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통증·경직 감소, 관절가동범위 증가, 기능적인 향상을 통해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8 weeks exercise program in the patient, with the osteoarthritis of knee. The test objects are 24 patients(12 experimental, 12 control) who visited the rehabilitation patient of K Medical center and were diagnosed with knee osteoarthritis. To evaluate effect of exercise, VAS(visual analogue scale), ROM(range of motion), WOMAC(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are used. Exercise program consisted of 8 weeks exercise of at least 4 times a week, at least 3 times a day for an average of 20 minutes. The experimental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method paired t- test and all statistical test in this study were conducted at the .05 level of significance. The conclusion we receiv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ere was a statically significance, experimental group’s average decreased from 39.67 to 17.33 on the WOMAC (p<.05), but control group’s average decreased from 26.17 to 24.25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p>.05). 1) Among 3 categories (Pain, arthritis stiffness, and functional test), experimental group’ resul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8.25 to 3.75 and statistically significance (p< .05), but control group had no significantly difference (p>.05). 2) Arthritis Stiffness test shows experimental group’ result decreased from 3.00 to 1.33 and its stiffness is better(p<.05) but control group increased from 1.50 to 1.92 (p>.05). 3) Physical function test shows,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very significantly from 28.75 to 10.67(p<.05), but control group decreased only from 18.92 to 16.67 which is very minimal(p>.05). 2. knee joint extension test shows it decreased significantly from 10.17° to 5.17°which is very significant differences but control group decreased only from 3.08°to 2.08°which is a minimal change(p>.05). 3. Visual Analogue Scale (VAS) test shows there was a statistical improvement among experimental group (p=.05) but not among control group (p=.05). Through this study we found out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to achieve relief of pain from knee osteoarthritis patient, improve in range of joint movement, and be better function for better life as well as have continuous education and confirmation so that it becomes part of their lif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표 목차 = ⅲ 그림목차 = ⅳ 논문개요 = v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연구 가설 = 6 D. 연구의 제한점 = 7 E. 용어의 정의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퇴행성 슬관절염 = 9 1. 슬관절의 해부학적 구조 = 9 2. 정의 = 13 3. 퇴행성 슬관절염의 유병율 = 14 4. 퇴행성 슬관절염의 특성 = 16 5. 퇴행성 슬관절염의 원인과 치료방법 = 17 B. 운동과 퇴행성 슬관절염 = 22 C. 운동프로그램 = 24 Ⅲ. 연구 방법 = 26 A. 연구 대상 = 26 B. 실험도구 및 측정방법 = 28 C. 실험설계 및 처치 = 30 D. 자료분석 = 32 Ⅳ. 연구 결과 = 33 A. 골관절염 평가 지수의 변화 = 33 B. 관절가동범위에 대한 효과 = 36 C. 통증자각도의 변화 = 38 Ⅴ. 논의 = 39 Ⅵ. 결론 및 제언 = 43 A. 결론 = 43 B. 제언 = 45 참고문헌 = 46 부록1. 무릎운동 프로그램 = 56 부록2. 개인일지 = 57 부록3. 무릎통증 및 기능척도(WOMAC) = 59 ABSTRCT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119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관절&#903;등척성 운동프로그램이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jointmobilization, isometric exercise) on physical function in with the osteoarthritis of knee-
dc.creator.othernameBan, Do Youn-
dc.format.pagevi, 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