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8 Download: 0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사유

Title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사유
Other Titles
Reasoning about Invisible things
Authors
김태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Degree
Master
Abstract
In contemporary art, the inner mind and consciousness of each human being may be the only world that can retain its character without being intervened by others or the society. An art begins from the inner world of the artist. An art is formed by investigating the experience, philosophy, unconsciousness and intangible aspects of life that form an artist. In this work, I tried to see and express the memory of myself, not what is seen by the others but what is unseen and resides in my inner world. Today, the study of what is unseen is being investigated in various ways. Visually expressing the empty space that is not physically formed would be one example, or expressing what does not exist by the confrontation of what is seen and what is unseen would be another. In this work, I will present the empty space. Through this empty space, I would like to express about the limitlessness that can be filled with thoughts. Interest about the intangible began from looking inside of my consciousness. I can see myself in consciousness when I leave myself that is formed by infinite number of external stimulus. That consciousness arouses when I newly find myself from the emptiness. Tangible part of myself can be explained by others and can be a visible phenomenon to others. However, even though unseen, my consciousness and inner world do exist and add new perspective to myself. In this works, phenomenon of the past and present are expressed in another dimension through exploration of unseen and intangible world. This works present conscious, invisible, imaginative, and intangible being by starting photography work that lets one to recognize the emptiness and showing the limitlessness of consciousness through the image of emptiness. Seeing the tangible makes imagination more difficult, but the intangible creates space for unlimited imagination. To me, the two values, 'empty' and 'full' are not opposite of each other. 'Empty' may be empty physically but can be full with imagination, while 'full' may be full physically but can be empty of imagination. This works study the recognition of 'empty' and 'full' through emptiness and nonexistence. Existence cannot be explained without explaining nonexistence. Similarly, tangible and intangible, seen and unseen, empty and full have same relationships. Merleau-Ponty showed unclear perspective of existence pattern that overlap internal and external worlds and perspective that subjective and objective do not oppose each other in "Existence of chair." This work studies the tangible and intangible things in that unclear perspective of Merleau-Ponty. Intangible world is different from tangible and real world, but they both do exist simultaneously. Tangible and intangible, existence and nonexistence are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nonexistence which explains the Oriental philosophy of infinity, emptiness, and supernatural reasoning. Moreover, the visible is investigated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and intangible, idealism. Also, this work investigates how Magritte expressed the intangible consciousness in his work. Because the emptiness is not visible, it stimulates and promotes our reasoning and consciousness. This mental reasoning can be found in the work of Lee Woo-Hwan who emphasized the empty spaces. The infinity by the interacting of line, points, what is drawn and what is not is studied here. To explain the meta-image, we will look at that canvas work by Magritte, which portrayed what is unseen as what is seen and looked at the consciousness, and we confront the limitlessness of reasoning through the image of the sky that reminds the infinity. The recognition of nonexistence of things or recognition of invisible space is done through the negative space sculpture of Rachael Whiteread by recognizing the external trace of things which did not exist. Similarly, recognition of invisible things through emptiness is done through the sculpture of Anish Kapoor, which shows emptiness and fullness simultaneously by dedu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istence and nonexistence. To question visible and invisible things, I used meta images, and to show that the empty space is not actually empty but full, I expand the space with mirror effect. Lastly, through the emptiness, which carries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my work, the art works explores the space that empties itself and the emptying work itself. After all, I tried to express the infinity and value of invisible things through it's emptiness. Furthermore, deeper study of inner mind of human being makes one to be the master of the in this standardized society.;현대미술에서 개개 인간의 의식과 정신에 관한 내용은 유일하게 개성을 가진 침범될 수 없는 세계일지 모른다. 예술작품은 작가의 내면에서 시작하는데 작가는 자신이 살아오면서 경험한 삶과 사상, 무의식, 보이지 않는 것들에 의해 형성된 것을 자신의 내면에서 탐구하게 된다. 본인은 개인의 기억, 보이지 않았던 부분, 외부세계(보이는 것)가 아닌 내면(보이지 않는 것)을 바라보고자 한다. 현대 예술에서 표현의 다양성을 통해 볼 때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탐구는 시각적으로, 물질적으로 이루어져있지 않는 비어있는 공간을 표현한다거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의 대립을 통해 존재하지 않는 것에 대한 표현에 이르고 있다. 본인은 작업에서 비어있는 공간을 제시함으로써 그것을 비어있게 하는 공간, 사유로 가득 채워질 수 있는 무한함에 대해 말하고자 한다.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관심은 본인의 의식을 들여다보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수많은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형성되는 수많은 나를 떠나는 순간 의식속의 나를 바라보게 된다. 그 의식은 공허한 無속에서 새로운 나를 찾음으로서 떠오른다. 보여지고 있는 나는 다른 사람에 의해 설명되어질 수 있고 눈으로 보여 질 수 있는 현상으로만 느껴질 수 있다. 그러나 나의 의식과 정신세계는 보여지지 않지만 반드시 존재하며 새로운 시각을 부여하게 한다. 이렇게 보이지 않는 것, 보이지 않는 세계에 대한 탐구를 통해 과거의 현상과 지금 내가 바라보는 현상은 서로 다른 차원으로 나타나게 된다. 본인은 비어있는 것을 인식하게 해주는 사진작업에서 출발하여, 비어있는 공간의 이미지를 통해 의식의 무한함을 보여주며 그러한 비어있음을 통해 의식과 상상,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한 존재에 대해 얘기하고자 한다. 보이는 것을 보고 상상하기란 쉽지 않지만, 보이지 않는 것은 무한히 상상할 수 있는 여지를 준다. 본인에게 ‘비어있음’과 ‘가득함’은 단순히 대립적인 것이 아니다. ‘비어있음’은 비워져 있는 동시에 상상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것 일 수 있고, ‘가득함’은 현상으로는 가득 채워진 동시에 상상으로는 비워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비어있음과 부재(不在)를 통해 가득함과 무한함을 인식하는 구조에 대해 살피고 있다. 존재에 대한 물음에 있어서 부재를 얘기하지 않고는 설명할 수 없으며 有 와 無가 불가분의 관계이듯,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비움과 가득함도 그러하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 1908-1961)의 ‘살의 존재론’ 속에서 말하는 안과 밖이 겹쳐진 존재 방식, 즉 의식과 객관 세계, 주관과 객관이 대립하지 않는 애매한 세계 속에서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 살펴본다. 보이는 것을 지각한 인식(보이지 않는 것)의 세계는 실제 객관세계와 다르나 동시에 존재한다.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존재와 無는 동양사상의 무한, 공백, 초월적 사유의 세계 속에서 보이지 않는 것에 관해 무의 관점에서 바라본 일원론적인 입장에서 살펴보고, 보이는 것- 실재론과 보이지 않는 것- 관념론의 관점에서 의식을 표현한 마그리트(Rene Magritte, 1898~1967)의 회화 속에서 어떻게 확장되는 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비어있는 것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우리의 사유, 의식을 더욱 촉진시킨다. 이러한 정신적 사유는 여백을 강조한 이우환(1936-)의 사유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그려진 것과 그려지지 않은 공간, 점과 선 등의 조응관계에 의한 무한감에 대해 살펴본다. 메타 이미지의 설명을 위해서는 보이지 않는 것을 보이는 것같이 또 의식의 세계를 바라다보고 있는 듯이 표현한 마그리트의 캔버스 작업을 살펴보고, 작가에게 있어 무한함을 인식시켜주는 하늘이미지를 통해 의식, 사유의 무한함에 대해 바라 보고자 한다. 또한 사물의 부재, 즉 비어있음을 통한 보이지 않는 공간에 대한 인식은 레이첼 화이트리드(Rachal Whiteread 1963-)의 네가티브 스페이스(negative space)의 조각을 통해 실재 사물은 존재하지 않지만 그것의 외부 흔적에 의해 사물의 존재를 인식할 수 있음을 찾고자 하였고 이와 유사하게 비어있음을 통한 보이지 않는 것의 존재 인식에 관해서는 에니쉬 카푸어(Anish Kapoor, 1954-)의 비움과 채움을 동시에 보여주는 조각 작품을 통해 존재와 부재, 있음과 없음의 관계를 끌어내 보고자 하였다. 내가 보고 있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에 의문을 갖게 하는 인식을 환기시키기 위해 메타 이미지를 이용하고 또한 비어있는 공간은 비어있지 않고 가득 차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거울효과를 사용하여 공간의 확장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본인의 작품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인 비우는 것을 통해 그것을 비어있게 하는 공간, 의식을 인식시키고자한 비우기 작업을 살펴본다. 요컨대 본인은 비어있는 것을 통해 보이지 않는 것의 소중함과 자유로운 무한함을 표현하고자 했다. 더 나아가 내면의 세계에 대한 더 깊은 탐구는 획일화된 사회 속에서 가장 독창적인 주인이 되고 다함께 공유할 수 있는 세계라고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