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9 Download: 0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 형성에 미치는 효과

Title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 형성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Authors
조영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 형성에 미치는 효과가 있는지를 규명하고 발달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을 형성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아동은 전문의로부터 정신지체를 수반한 발달장애로 진단받고 평균지능지수 40~70사이의 훈련 및 교육가능급의 아동으로써 6세에서 8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아동들은 서울시 광진구에 위치한 K유아특수학교와 성남시에 위치한 S어린이집에서 22명을 선정하였다. 그 중 최종실험까지 참여하지 못한 6명을 제외한 총 16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특수체육활동은 12주동안 총 24회, 매회 60분간 실시하였다. 이들은 대상아동 선정기준에 적합하게 16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 8명씩 동질 집단이 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검사도구는 Roach and Kephart의 The Purduce Perceptual -Motor Survey 중 공간지각과 관련된 항목과 탁정근(2002)의 감각운동프로그램 내용 중 공간관계(공간개념)의 형성에 관련된 항목을 선정하여 4개의 하위영역으로 한 공간관계지각 검사지를 구성하여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자료분석은 SPSS Window fo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사용된 통계기법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공간관계지각의 실시 전후의 차이를 분석하고, 특수체육활동 참여로 인한 공간관계지각의 향상 정도와 각 영역별 향상도를 파악하기 위해 t검증으로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각 영역별간 차이를 검증하고자 One Way ANOVA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가설 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5% 이내로 하였다(p<.05).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체육활동은 발달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특수체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일반체육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간의 공간관계지각 향상도를 비교해 보면, 실험집단이 크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공간관계지각의 향상도는 통계적으로 5% 이내의 유의수준을 가지고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특수체육활동은 발달장애아동의 방향성 영역과 크기지각 영역에서 5% 이내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방향성 영역에서도 위 공간 지적하기와 선따라 뒤로 걷기 항목은 5% 수준을 가지고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크기지각 영역에서 고무줄 위로 넘어가기 항목과 고무줄 아래로 지나가기 항목은 1%이내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특수체육활동은 방향성 영역과 크기지각 영역을 향상시키는 데에는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셋째, 특수체육활동은 발달장애아동의 측면성 영역과 거리지각 영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특수체육활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결과 각 항목별 평균에서 향상도를 나타냈다. 측면성 영역에서의 오른쪽 공간 지적하기 항목은 통계적으로 5%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거리지각 영역에서의 시작부분 지적하기 항목은 1%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넷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간의 차이검증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집단간의 사전, 사후의 평균차이는 특수체육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향상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아동의 공간관계지각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공간관계지각을 향상시키기 위한 특수체육프로그램을 적용할 때에는 방향성, 측면성에 대한 인지가 충분히 형성된 후에 크기지각, 거리지각 등의 종합적인 프로그램을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발달장애아동의 특성상 특수체육 프로그램의 효과와 대상자 편차의 차이를 고려하여 특수체육활동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The subjects were 16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for this study. 16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one was in a control group.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 was tested by the Roach and Kephart's P.R.M.S(The Purduce Perceptual Motor Survey) that was composed of items in space perception and by sensory motor program of Tak Jung Geun that was composed items in space conception. Check list of this study was composed of four areas such as directionality, laterality, dimension perception, distance perception in spa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d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affected on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 positively. The score of experimental group with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showed higher than control group with general physical education program(p<.05). Second,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in directionality(p<.05) and dimension perception of space(p<.05). Third,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showed without significant level in laterality and distance perception of space, however, mean of experimental group with the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showed higher than mean of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with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was improved mean's value.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mea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not showed significant level, however, the difference of experimental group's mean should higher than control one.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would improve perception of spatial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positively. Adapted physical activity program would be recommended in the fields of adapted physica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