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Title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in Dance Sport Lesson.
Authors
이경숙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and to induce better voluntary participation of students through qualitative improvement in class and positive perception of dance sports by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of dance sports.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the recognition and stimulation of necessariness of dance sports, aiming at being utilized as basic material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the future dance sports by investigating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To achieve this goal, the author conducted a questionnaire, after setting as a population male and female students of two-year colleges and four-year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2005, and by selecting a sample of four-hundred students who are now participating in or had prior experience in participation of a dance sports class, using stratified sampling per grade. In a real analysis, all 400 questionnaires were accepted as a valid data to this study, because they were fully completed. In this study, for looking into the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as the questionnaire of leisure satisfaction, the data of preceding researchers (Won Hyeong-Jung, 1994; Park Su-Jeong, 1995), whose feasibility were verified, were used after theirs being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data collected for an analysis went through a data cleaning process by individually entering it into the computer, were investigated, and found suitable t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using SPSS 13.0 Version. With regard to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dance sports found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x2 verification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found from the sample's general characteristics, One-way ANOVA was conducted. Furthermore in respect to the features of subjects, crosstabs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of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through the use of previously mentioned research methods and proces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 participants' recognition of dance sports in five spheres, a noteworthy difference appeared. Regarding Sphere 1, demonstrating the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preference item of dance sports, showed a major difference in gender, grade and a academic major. Sphere 2 in explaining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whether dance sports is a required subject illu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grade, a academic major and the motive for taking a class. As to Sphere 3,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recommendation of the class in dance sport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a major and a motive for taking a class appeared. In respect of Sphere 4, which shows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whether dance sports should continu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grade, a major, participants' environment and a motive for taking a class. Regarding Sphere 5, the difference in recognition of the desire for a dance sports program, the data showed particularly importance in a major and pocket mone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th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in six spher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garding Sphere 1,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according to gend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social and environment satisfaction was shown. Sphere 2,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according to grade,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and environment satisfaction. And Sphere 3,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according to a major, demonstr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social, physical and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relaxative satisfaction. Though in Sphere 4,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environment, there was no noticeable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e subordinate elements. As to Sphere 5,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the data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sychological satisfaction. Finally, regarding Sphere 6, the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with taking lessons in dance sports according to a motive for taking a clas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social, physical, psychological, environmental and relaxative satisfaction.;이 연구는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규명하기 위한 것으로 수업의 질적 향상과 댄스스포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의 전환을 통해 학생들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고, 댄스스포츠 교육의 필요성 인식 및 활성화를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연구함으로써 미래의 댄스스포츠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05년 서울·경기 지역에 위치한 2년제, 4년제 대학의 남녀 대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현재 댄스스포츠 수업에 참여하고 있거나 참여경험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학년별 유층표집법(stratified sampling)을 이용하여 4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실제 분석에서는 응답에 불성실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자료가 없어서 400부 모두를 사용하였다.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규명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 사용된 여가만족도 질문지는 선행연구자(원형중, 1994; 박수정, 1995)에 의해 타당도가 검증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컴퓨터에 개별 입력하여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쳤으며, 이를 SPSS 13.0 Version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댄스스포츠 인식 차이는 x2 검증을 하였으며, 대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특성은 교차분석(crosstabs anlysis)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변인에 따른 대학생의 댄스스포츠 수업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인식을 5가지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역 1에서 댄스스포츠의 선호종목대한 인식차이는 성별, 학년, 전공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영역 2에서 댄스스포츠의 교과목 필수여부 인식차이는 성별, 학년, 전공, 수업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역 3에서 댄스스포츠의 수업추천 인식차이는 성별, 전공, 수업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영역 4에서 댄스스포츠의 운동지속여부에 인식차이는 성별, 학년, 전공, 성장지, 수업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영역 5에서 댄스스포츠 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한 인식차이는 전공, 용돈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댄스스포츠에 대한 수업만족도 차이를 6가지 영역으로 분석한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영역 1에서 성별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수업만족도 차이는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영역 2에서 학년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수업만족도 차이는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영역 3에서 전공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수업만족도 차이는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영역 4에서 성장지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수업만족도 차이에서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영역 5에서 용돈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수업만족도 차이는 심리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영역 6에서 수업동기에 따른 댄스스포츠의 수업만족도 차이는 교육적 만족, 사회적 만족, 신체적 만족, 심리적 만족, 환경적 만족, 휴식적 만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