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4 Download: 0

무용 끼의 본질에 관한 실증적 탐색

Title
무용 끼의 본질에 관한 실증적 탐색
Other Titles
An Empirical Approach to the Construct of Dance Disposition Ggi
Authors
한지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무용심리학적 관점에서 무용 수행 상황에서 무용수에게 나타나는 끼를 개념화하고 요인을 구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무용 수행 상황에서 무용수에 대한 평가 시 일상적 언어 형태로서 끼에 대한 언급은 무용수의 능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서 적용되지만 끼의 개념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와 요인을 설명하지 않고 모호한 의미로 총칭해서 사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이론적으로는 한국말 속의 어휘를 발췌하여 한국인의 문화적 특수성을 내포하고 있음에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해 무용수의 끼 개념과 구성 요인을 구명할 것이며 무용인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와 무용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심층면접 조사를 실시하여 무용 끼의 개념과 요인을 경험적 자료의 분석을 통해 개념화하고자 한다. 끼에 대한 이론적 근거는 관계성의 특징, 표현의 양상, 몰입의 정도에 따라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작용하며 각 기준들도 음·양의 형태로서 무의식이 각성되는 경험을 통해 자기도 모르게 형성되며 이러한 3원색은 고루 조화를 이뤄 동시성(synchronicity)이 작용되어야 하고, 새로움을 추구하는 에너지를 통해 자신감을 얻어 창조적인 발상을 할 수 있게 된다고 규명하였다. 이에 이론적으로 규명된 끼의 특성을 경험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무용분야에서의 무용 끼 개념 및 요인들을 구명하고자 103명의 무용 전공자와 7명의 무용 전문가를 대상으로 각각 설문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무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무용수행 상황에서 느낀 경험을 토대로 무용 끼의 요인을 질문하였으며 답변에 대한 구체적인 이유를 진술하도록 하였다. 이에 사람별로 빈도 분석하여 무용 끼의 요인은 표현력, 개성, 잠재능력, 자신감, 창의력, 감수성, 음악성, 독창성, 수용능력, 테크닉, 노력, 적극성, 열정, 사고력, 집요성, 가치관, 몰입, 적응력의 18가지 하위요인과 무용감각, 무용동작능력, 무용성향, 독특성, 잠재력의 5가지 상위 요인으로 분류화하였다. 심층면접에서는 무용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으며 무용수의 끼에 대한 표상화(끼가 많은 무용수를 대상으로 어떻게 느끼고 경험했는지에 대한 질문), 요인화(무용수들이 끼를 발휘하는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인들을 추출하는 질문), 상황맥락(끼를 발휘하게 되는 상황맥락에 대한 질문), 속성(무용 분야에서의 끼의 속성과 개념에 대한 질문)에 대해 질문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첫째, 끼가 많은 무용수에 대해 타인과는 구분되는 자기만의 개성과 독특한 표현방법을 구사하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 표현하고 싶은 것을 어떤 상황에서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용기와 자신감을 갖고 있으며 무용수행시 기술수행과 표현에 있어서 뛰어나므로 이와 같은 특징은 일반 영재 및 무용 영재들에게 나타나는 특성과 유사하다고 표상화하였다. 둘째, 무용수들이 끼를 발휘하는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요인으로는 심리적 요인의 감성, 호기심, 감수성, 신체적 요인의 다양한 신체 언어, 무용능력 요인의 즉흥표현능력, 기타 의견으로 무용감각이라 할 수 있는 수용능력, 움직임 감각, 음악적 감각, 심미적 감각, 공간 감각 등으로 추출하였다. 셋째, 무용수들은 자신의 움직임에 몰입되어 춤추는 것이 편안한 상황에서 끼가 발휘된다고 하였다. 넷째, 무용수 끼의 독특한 속성은 사전적 개념의 부정적 의미가 아닌 전문적인 분야 특히 예술 또는 문화 분야에서의 끼가 영재성에 가까울 정도의 능력과 동일하다고 하였으며, 표현하고자 하는 속성이라 하였다. 이에 끼의 개념을 자신의 감정을 바탕으로 주위 환경의 영향, 개인적인 특성, 실현가능성과의 상호관계성 안에서 신체표현으로 나타내는 타고난 속성이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수의 독특한 특성을 이해하고 올바른 무용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응용적으로는 진학지도와 영재 무용수를 발굴하는데 선발 기준으로서 무용수를 판별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aims to generalize the concept of ggi at the time of dancing performance and search for the main causes that attribute to the talent from the point of dance psychology view. Ggi is often mentioned as the primary factor in evaluating a dancer’s ability during a dancing performance. However, the concept of talent is used in a vague sense without explaining what really a talent is or what factors attributes to decide one has a talent. This thesis is based on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research. The theoretical research which is based on the linguistic origins of the word "ggi" which contains the particularity of Korean culture, examines the concept of ggi and the factors that attribute to it. The empirical research examines the validity of the generalization of concept of ggi by analyzing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from the dance students and dance experts through extensiv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basic theory examines that the ggi interrelates among relation, appearance of artistic presentation and the degree of absorption and the each factors form its shape unconsciously and both positively and negatively. In addition, the three factors should harmonize synchronically like three primary colors and these factors forms creative expression through the self-confidence and the energy for new creation. To confirm the examined theory of the talent empirically, extensive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by 103 students and 7 experts. The questionnaires were consisted of questions regarding the Ggi factors based on their dancer’s’ own experience and the questioners were asked to narrated on the details. According to the research, factors can be analyzed to 5 primary factors and 18 subordinate factors. The five primary factors are sense of dancing, ability of dance movement, propensity of dance, specialty and potentiality. The 18 subordinate factors are expression, personality, latent faculties, self- confidence, creativity, sensibility, musicality, originality, capacity, technique, effort, positiveness, enthusiasm, thinking power, persistence, value, devotion and adapt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dance experts through extensive in-depth interviews and were consisted of 4 parts; representation of talent (feelings and experience about talented dancers), causation (primary factors of dancer’s talent), circumstantial conditions (the circumstances that dancers express their talent the most) and property (the concept and property of dancer’s talent). The result summarizes into 4 categories. First, talented dancers possess the courage and self-confidence which enable them to express their characteristics and original expression under any circumstances. In addition, talented dancers excel at performing and expressing technique and this quality can be found in gifted dancers. Second,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express talent are psychological such as sensitivity, curiosity and sensibility, physical such as body language, ability of impromptu performance and others such as adaptation, sense of movement, musicality, aesthetic sense, and space sense. Third, cancers express themselves best when it is most comfortable for them to absorb to their movements. Forth, the distinctive trait of the dancer’s Ggi is not the negative concept of dictionary meaning but the cultural, artistic and aesthetic ability of professionalism to express oneself which is found in a ‘gifted person’. Thus the concept of Ggi is the inborn ability to express one’s emotion through physical expression in interrelation with the influence of surroundings, personal quality and likeliness of realization. This thesis hopes to contribute to understand the special trait of dancers and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to conduct dancing education. Practically, it hopes to furnish the basis data as a criterion to guide students in their education and find talented dancer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