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지지영-
dc.creator지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2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27-
dc.description.abstract훌륭한 빌딩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설계도에 따라 세부 설계와 시공 계획을 세밀하게 작성하듯이 교과를 잘 가르치기 위해서는 설계도에 해당하는 내용 체계가 자세하고 체계적으로 조직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서에 제공되고 있는 내용 체계는 자세하고 체계적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영역별, 학년별 내용 불균형이 심각하다고 지적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용 체계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연구는 매우 미흡하며 교사들의 현장 연구는 대부분 수업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을 뿐 정작 학생들에게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내용 체계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오늘날 교사들의 현장연구를 통하여 수업 방법을 개발하는 데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정작 학생들에게는 무엇을 가르쳐야 할지에 대한 내용 체계의 연구는 교사들에 의하여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장교사의 입장에서 교사들이 사회과 교수내용과 내용의 구조를 이해하여 사회과를 가르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7차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안을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 다루어진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해설서에 제시된 7차 사회과 내용 체계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한 내용 체계안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둘째, 현장 교사들이 사회과 내용의 구조를 이해하여 사회과를 가르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7차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안은 무엇인가? 셋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7차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안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진단과 평가는 어떠한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우선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는 교육과정해설서에 나와 있는 내용 체계를 영역별 내용 배분과 내용의 체계성 등을 준거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문제점을 논의한 후 분석 한 뒤 문제점을 알아보고 이를 다음 재구성안 개발 시 적용하도록 하였다. 평가원에서 이루어진 내용 체계 연구도 우선 연구 내용과 방법에 대하여 소개한 뒤 위와 마찬가지로 영역별로 각 내용 체계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재구성안 시안 개발에 적용하였다. 7차 교육과정 해설서에 나온 내용 체계표에 대한 문제점 분석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만들어진 영역별 내용 체계안을 토대로 현장교사의 입장에서 사회과 교수내용과 내용의 구조를 이해하여 사회과를 가르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표의 재구성안을 개발하였다. 즉 개발된 재구성안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서(Ⅲ)의 내용을 바탕으로 2001년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된 영역별 내용 체계안의 구도를 따라 학년별로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직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개발된 시안은 전문가의 면담과 실제 현장교사들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좀 더 수정하여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최종안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최종안은 현장교사들이 생각하는 가장 재구성이 필요한 부분을 선정하여 시안에서 수정되었다. 주로 4학년의 경제영역과 6학년의 정치, 역사영역에서 주로 수정과 삭제가 이루어졌다. 또한 전 학년에 지구촌과 관련된 내용을 삽입하였으며 이는 현대 사회에서 정보 통신을 통한 인식의 확대의 개별화를 반영한 교육과정 내용 체계안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세 영역의 내용을 학습자가 처한 환경과의 유기적 관계로 접목하려고 한 시도가 바람직하다는 의견과 매우 간략하게 제시되어 있는 7차 내용 체계표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 체계안에 비하여 자세하게 나타나 있으며 영역구분이 확실하여 구분이 명확하여 내용 체계를 한눈에 알 수 있어 흐름을 파악하기 쉽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학생들의 발달 단계와 지식 습득 능력에 대하여 잘 알고 있는 현장 교사가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재구성안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장 교사에 의한 사회과 교육과정의 후속 연구를 위한 출발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As a precisely prepared design and construction plan is essential for the construction of a good building, a curriculum content system, which falls to a design, should be precisely and systematically organized for good teaching of curriculums. Nonetheless,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in the manual of elementary school social subject education is not detailed and systematic and out of balance in terms of contents between sections and grades. There has been many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hrough teachers' field studies but when it comes to the matter of what to teach, that is, curriculum content system, few research has been done by teachers. In this context, the study attempts to develop a reorganization of the 7th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content system from the standpoint of a teacher teaching in the field so as to help teachers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ocial subject and its content structure. The study addresses issues as follows: first, what are problems both in the 7th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content system presented in the manual and in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made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second, how should the 7th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content system be reorganized from the standpoint of a teacher in the field? and; third, what are diagnoses and evaluations of teachers on the 7th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content system reorganized in the study? For these issues, the study analyzes the 7th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content system as it is in the manual in terms of content distribution by section and systemization of cont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y raises points and attempts to apply them to the next reorganization. As for research on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II) made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the study also introduces the contents and methodology of research and then, in the same manner as the above, analyzes problems of each curriculum content system chart by section and applies them to the development of a tentative reorganization plan. The tentative plan developed in this process is revised further through interviewing experts and surveying teachers before determining a final plan of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content system. From the final plan developed, the study selects and revises parts which teachers considered necessary to be reorganized, for example, economic section for the 4th grade and politics and history for the 6th grade. In addition, contents on global village are inserted for all grades, which is evaluated to reflect the individualization of the expansion of recognition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modern society. In addition, the study is evaluated highly of the attempt to organically connect the contents of three sections to learner's environment, of showing in more detail than the 7th curriculum content system chart and the curriculum content system made by the Korea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nd of its distinctive sections which enable to see the whole curriculum content system at a glance.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at a teacher working in the field developed a reorganization of elementary school social curriculum content system, which may play a role as a starting point to trigger following studies on social curriculums by teachers in the fie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ⅸ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연구 방법 = 5 D. 연구의 의의 = 8 Ⅱ. 이론적 배경 = 9 A.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조직 원리 및 쟁점 = 10 1.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쟁점 = 10 2.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의 절차와 원칙 = 11 B. 7차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대한 고찰 = 13 1.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구성의 원리 = 13 2.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문제점 = 21 C.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 체계 연구에 대한 고찰 = 27 1.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 체계 연구의 특징 = 27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 체계안 분석 = 44 Ⅲ. 연구 방법 = 47 A. 연구 참여자 = 47 B. 연구 설계 = 47 C. 연구 절차 = 48 1.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개발된 사회과 내용 체계안 분석 = 48 2.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의 준거 및 재구성안 개발 = 49 3. 전문가 면담 = 51 4. 설문 조사 = 52 5.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안 수정 및 확정 = 52 Ⅳ. 연구 결과 = 53 A. 사회과 내용 체계의 문제점 논의 = 53 B.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 시안 개발 = 55 1.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영역 내용 체계 재구성 시안 = 55 2.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역사영역 내용 체계 재구성 시안 = 58 3.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일반사회영역 내용 체계 재구성 시안 = 60 C.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 시안에 대한 검증 결과 = 63 1. 전문가 면담 결과 = 63 2. 설문 조사 결과 = 65 D.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영역별 내용 체계 재구성 최종안 = 68 1.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내용 체계 재구성 최종안 = 68 2. 초등 사회과 역사영역 내용 체계 재구성 최종안 = 70 3. 초등 사회과 일반사회영역 내용 체계 최종안 = 72 E. 본 연구의 최종안과 7차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및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내용 체계안 비교(역사영역) = 75 Ⅴ. 결론 및 제언 = 79 A. 결론 및 논의 = 79 B. 한계점 및 제언 = 87 참 고 문 헌 = 91 부 록 = 93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329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 재구성안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Reorganizing the Content in the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Ji, Ji-Young-
dc.format.pagex, 11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