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임희정-
dc.creator임희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8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11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119-
dc.description.abstract한국무용은 그 태동에서 한국창작무용의 현대화 과정에 이르기까지 한국사회의 고유한 문화와 사상을 바탕으로 발전한 문화, 역사적 산물임과 동시에 무용수의 내면을 표출하여 개인의 심리와 사상을 반영하는 개인적 의미의 산물이다. 그러나 한국무용은 그 훈련의 방법에 있어 문화·민족적 특수성과 무용수의 역동적인 심리과정을 고려하지 않고 동작의 기능만을 훈련하는 방법을 차용해 왔으며, 이는 무용훈련의 질적인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었다. 시대의 소산으로서의 한국무용이 변화하고 발전된 것은 무용공연이나 교육 현장의 시스템들에 각종 매체를 도입한 방법들이 개발되었다는 측면에서 긍정적 영향력을 미친다. 그러나 이러한 문명 발전에 따른 외적 요인의 성장에 비하여 무용이 가지는 본질에 대한 중요성은 간과하는 경향이 발생되었고 이에 따라 한국무용은 정체성 혼란의 위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시대 문명이 대신할 수 없는 절대적 가치로서의 무용의 본질적 접근의 매개는 ‘호흡’의 원리를 파악하는 것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즉, ‘호흡’의 원리를 인식하는 과정이 선행될 때 본질적 의미 정립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한국무용에 있어서 ‘호흡’은 다른 동작의 원리들보다 깊이 관여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깊이 있는 이론적 고찰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연구를 기반으로 문화 특수성과 개인차를 고려한 호흡훈련의 방법 개발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우리 무용계의 현안을 풀어가고자 본 연구에서는 ‘심상훈련’을 대안으로 제시하였으며, 한국무용 호흡에 있어서 심상적 접근의 타당성을 위하여 ‘호흡’의 원리를 훈련의 중심개념으로 설정한 기본무(基本舞)로서 김영희 「호흡창작기본」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자료를 통하여 ‘호흡’과 ‘심상’의 본질과 의미를 규명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독특한 미학체계를 가지는 한국 무용에 있어서의 ‘호흡’과 ‘심상’의 개념적 유사성과 관련성을 서술하여 궁극적으로 한국무용 호흡훈련의 심상훈련 도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한국무용호흡에 대한 기초자료로서 무용 훈련에서 사용되는 '호흡‘의 원리와 특성을 파악하여, 기존의 호흡훈련과는 차별화된 심상 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을 열어두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을 통해 한국무용호흡의 훈련으로서 심상과의 관계를 연구한 결과, 무용수의 내면을 표현하는 원리로서의 ‘호흡’과 마음에 나타나는 상(像)이 구조화되는 ‘심상’은 개인의 심리와 연관된 내적 과정이라는 의미에서 본질적으로 공유되는 유사성이 있음을 서술하였고, 이러한 의미 맥락을 기본으로 김영희 「호흡창작기본」의 분석하여 심상훈련과 관련된 요인들을 추출함으로써 호흡훈련의 근거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는 인지적 요인으로서, 호흡에 관한 심상훈련의 접근은 호흡의 모호한 개념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기술적으로 다룰 수 있도록 인지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지시적, 사전적 언어로는 전달되기 어려운 특성을 지니는 호흡의 특성상, 감각적,관용적인 어휘를 사용하여 한국무용의 호흡 심상을 구축하는 인지적 과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로, 호흡과 심상에 관한 신체적 요인으로, 이는 호흡 훈련의 도입 단계에서 바른 몸가짐을 유지하는 것과 연관된다. 한국무용에 있어서 신체정렬이란 호흡이 중심축을 흘러가는 심상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에너지 생성으로서의 신체의 중심은 심상을 통해 느낄 수 있다. 또한 호흡과 관련된 각 신체 부위에 대한 해부학적 심상은 무용수의 신체훈련과 연관되어 실제 신체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로, 한국무용의 호흡은 심상과 관련하여 심리,정서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호흡의 훈련은 몸을 이완시키는 과정에서 시작되는데, 이완은 호흡의 조절로 이루어진다. 호흡을 통해 이완된 신체는 정서를 안정시켜 순수한 심상을 유도하는 조건을 마련하여 무용수가 자신의 감정에 빠져들 수 있도록 한다. 개인의 심리와 사상을 전달하는 무용의 특성에 대하여 ‘호흡’과 ‘심상’은 표현의 시작점이 되며, 한국무용에 있어서 내적 심상의 형성이 호흡을 통해 의미 있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한국무용의 호흡법은 기술적 훈련에 앞서 이루어져야 할 과제로서, 호흡의 훈련은 한국무용의 세부영역에 관계없이 적용되어야 할 선행요인이다. 더욱이 한국무용의 정체성을 정립하는데 가장 근본적인 원리로서 호흡에 관한 연구는 후속적으로도 연구되어야 할 과제이며, 서양의 무용들과는 다른 동작의 특질을 지니는 한국무용은 외국의 무용훈련 프로그램을 표피적으로 차용하기보다는 문화적 특성에 맞는 개별화된 호흡의 방법이 필요하며, 심상을 통해서 체계적인 접근의 가능성을 열어둘 수 있을 것이다.;In the process of change, from its beginning to the current modernized creative dances, Korean dance has been developing based on Korean's unique culture and thoughts, so it is a cultural and historical inheritance. At the same time, it is a personal product which reflects a dancer's thoughts and emotion. However, the training method often adopt drills being focused on acquiring physical skills without considering either Korea's cultural, ethnical specialty or a dancer's dynamic mental state. Like many other fields, Korean dance has changed and developed along with technical development, so dance performance systems and educational tools have been improved by taking instrument and media. Regretfully, in contrast to such an external expansion, the interest in the importance of substantial approach has declined. As a result, it brought confusion of identity what Korean dance is for. I believe that figuring out its substantial meanings of Korean dance can be possible, when the principles of respiration are identified. Especially, the principles of respiration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echnical principles for training of Korean dance because Korean dance is more deeply related to respiration than any other kinds of dance. Therefore, I insist that further theoretical approach about 'respiration' in Korean dancing should be made. Further, through this, I hope that there would be a new awareness in developing methods of dance training considering cultural special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solving the pending problem to Korean dance training as seen above, this study proposed 'Image training' as a alternative to respiratory method. As supporting evidence, I analyzed the significant factors of imagery functions in respiration with special focus on Kim, Young hee's 「Respiratory creative basics」which deals with the principles of breathing as a main concept of dance training. This study applies literature to build up essential meanings of 'imagery' and 'respiration'. Afterwards, the study draws conceptual affinity of the two concepts in dance which has its own unique aesthetic system. Pursu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analysis about the relation between imagery and respiration to Korean dance is directed to methodological approach. Ultimat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give foundations to respiration as a tool of training and to open the possibility of training development which is different from current respiration training methods. Over the course of research, I have studied relation between imagery factors and respiration in dance training. This study presents that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Respiration', which is a principle in expressing a dancer's inner view, and 'Imagery' which is a construction of images in a dancer's mind. That is, both 'respiration' and 'imagery' are inner process of mind which is related to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s. On the basis of these interconnections, Kim, Young hee's 「Respiratory creative basics」is analyzed and factors which are related image training are extracted, which causes the study to propose foundations of Respiratory training. First of all, image training is cognitive ones. Image training approach regarding respiratory enables vague concepts of respiratory process to be easily understood by delivering the concepts effectively. Respiratory training features that it is difficult to be understood easily when it comes to instructional or literate words. Imagery helps cognitive process by using sensuous and idiomatic words. Second, image training is related to physical factor. This point of view is involved in posture. Physical alignment in Korean dance is achieved through imagery when breath flows through the central axis of a body. It is different from the alignment in any other kind of dance. In addition, the central axis as a passage of energy transfer and the central point as a root of energy are related with the anatomical imagery. These factors offer grounds of imagery training's possible role to physical training. Third, Imagery training can contribute mental and psychological process in dance training. The first step in respiratory training and Image training is 'Relaxation'. Through respiration, substantial relaxation can be achieved. The relaxed body helps to stabilize mental and psychological state and makes it possible to invoke pure imagery. However, above mentioned relaxation-related factor is the second step. The influence on mental and psychological process is more important when you relate imagery and respiration with as a tool of expression, When you consider that dance is a channel for delivering personal thoughts and emotion, imagery and respiration can take a basic role in expressing a dancer's thoughts and emotion. Respiration functions as a tool for expression. Respiration can be effectively accomplished in condition that inner imagery is formed. Developing respiration methods in Korean dance is a task to be done prior to technological training. This respiration training is a precedent factor and it should be applied to all sub areas in Korean dance. In order to build a basic principle in identifying Korean dance, I suggest that we need to develop independent respiration methods in dance rather than to adopt superficial foreign dance training methods. To develop respiration training, I assert that imagery training can open the possibility of systematic approach to new phase of Korean da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호흡 = 6 1. 호흡의 개념 및 원리 = 6 2. 호흡의 기능 및 분류 = 8 B. 심상 = 13 1. 심상의 개념 = 13 2. 심상의 분류 = 17 Ⅲ. 한국무용호흡과 심상훈련 = 20 A. 한국무용호흡 = 20 1. 한국무용호흡의 특징 = 20 2. 한국무용호흡의 훈련방법 = 23 B. 무용과 심상훈련 = 26 1. 심상훈련의 기능 및 효과 = 26 2. 심상훈련의 방법 및 적용 = 33 Ⅳ.「호흡창작기본」에 내재된 심상훈련 구조 분석 = 46 A.「호흡창작기본」의 특성 = 47 B. 호흡에 따른 심상훈련 요인 = 49 1. 인지적 요인 = 49 2. 신체적 요인 = 51 3. 심리.정서적 요인 = 54 Ⅴ. 한국무용호흡과 심상훈련과의 관계 = 56 Ⅵ. 결론 = 60 참고문헌 = 62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705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무용호흡과 심상훈련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Respiration and Image training in Korean dance-
dc.creator.othernameLIM, HEE JEONG-
dc.format.pageiv,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