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9 Download: 0

의자를 통한 일상 공간 표현

Title
의자를 통한 일상 공간 표현
Other Titles
Reproduce ordinary space through chair
Authors
민혜원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작가는 자신의 경험, 기억 또는 느끼고 생각하는 것들을 자신만의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그것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시도한다. 따라서 작가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접하였을 때 창작 의욕이 생겨난다. 본인에게 있어 창작의 동기를 제공하는 것은 다름 아닌 일상 공간이다. 일상 공간 이란 일정한 범위를 가지며 반복적인 경험과 습관이 일어나는 구체적인 장소로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익숙한 공간이다. 그리고 그 안에는 자신의 삶의 과정이 녹아 있다. 자신의 삶과 작품 활동이 분리되어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생각에 일상 공간을 표현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자를 통해 일상 공간을 표현 하고자 하였다. 의자는 본인과의 접촉이 가장 빈번한 사물로서, 온 몸으로 접해 익숙해지면서 심리적 편안함과 친숙함을 느끼고 빈번한 사용을 통해 많은 기억과 경험을 내포하고 있는 사물이다. 그래서 의자를 통해 일상 공간 안에 녹아 있는 본인의 기억과 경험 그리고 습관을 은유적으로 표현 하고자 하였다. 즉 의자는 일상 공간을 함축하고 있는 사물인 것이다. 이에 일상 공간은 무엇이며 일상과 예술의 관계는 무엇인지 일상 공간의 의미가 무엇인지, 또 소재로 일상의 사물이 채택되었는데 이런 일상의 사물들이 현대 미술에 있어서 어떻게 사용되고 이야기 되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작품에서 표현 방법으로 바느질을 택하였는데 이는 낯선 공간이 일상 공간화 되어가는 시간의 축적 과정과 공간 안에서의 일어나는 반복적인 행위를 표현하기 위함이다. 바늘 한 땀 한 땀이 지나간 자리는 점이 형성되고 점이 모여 선을 만들고 그 선이 모여 면을 만들어 하나의 형태를 이루도록 하였다. 땀 하나는 물건에 배어있는 본인과 의자가 만났던 시간이며 그런 땀들이 모여서 나에게 의미 있는 하나의 일상 의자를 만들도록 하였다. 또 화면에 여백을 남김으로서 보이지 않는 것에서 보이게 하려는 의미를 두어 의자뿐만 아니라 여백에서도 일상 공간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 분석을 통해 바느질과 여백이 화면에 어떻게 표현되었는지 알아보고 본인의 의도가 효과적으로 나타났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앞으로의 작업을 통해 의자 이외의 일상적 모티브를 활용하여 일상공간과 사물에 대한 또 다른 작품세계를 심화 발전시켜 나가고자한다.;Artists express their own experiences, memories, feeling or thoughts into their own formative languages, and try to communicated with others through this language. Therefore, the encounter with an object of their interest stimulates their creative motivation. As for me, it is ordinary space that proves creative motivation. Ordinary space is a specific and familiar place that surrounds us within its boundaries, where repetitive experiences and habits occur. It is a place where processes of one's life are fused in. I wanted to express an ordinary place based on the idea that one's life and art are not separate, but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In this thesis, chair was the motive to reproduce ordinary place. Chair is an object of the most frequent contact with me. It provides not only mental comfort and familiarity coming after repetitive contact with the body but also carries memories and experiences through frequent use. Likewise, I tried to express my own memories, experiences, and habits that are mingled in the ordinary space, using the chair as a metaphor. In other words, chair is an object that comprehends ordinary space. Therefore, ordinary space, the relation between ordinary life and art, and the meaning of ordinary space are defined first; then how other objects from ordinary life are used and described as subject matters in modern painting. Ordinary space was expressed by stitches in the presented work. The purpose was to express the accumulation of time that changes an alien space into an ordinary space as well as repetitive conducts that occur within the ordinary space. Each stitch makes dots, dots make lines, and lines make figures, figures make forms. One stitch is each contact between the chair and me. The collection of stitches formed the ordinary chair that has a special meaning for me. I also intended to make people feel the ordinary space not only from the chair but also from the empty space as an effort to change the invisible into the visible.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my work, I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stitches and space in expressing my intention. This work on the chair will be the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other works with ordinary space and objects to be made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