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Occupational Stress of Social Workers in Mental Health Service Sector
Authors
유정민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Personnels in mental health care sector primarily deal with the psychopathological symptoms of chronic mental patients, and make a diverse intervention to facilitate their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Also, they attempt to make an intervention in other patients and people in general from various angles such a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mental health aspects. How those people handle their occupational stress plays a crucial role in boosting the quality of mental health care services and reducing extra cost required to promote mental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ho had majored in social welfare, to identify what concerned their occupational stress, and finally to lay the foundation for easing their occupational stress in light of their working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After theories on occupational stress were reviewed,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to gather information. The questionnaires covered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ing environments, and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s Korean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was emplo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ose who were older were more stressed about doctor autonom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ose who enjoyed moderate leisure activities faced relatively less physical press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ut a relatively less strain on them. One notable finding was that the personnels who worked at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were more stressed due to the risk of working methods, air pollution and physical burden, compared to those from hospitals and clinics, and that those from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were more stressed for the same reasons than those from community 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In contrast, those who worked at hospitals and clinics faced more pressure caused by collectivistic, informal organizational culture, irrational communication system, and internal conflicts. Those who work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were under stronger pressure due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the temporary workers were more burdened with their job than the regular workers. A limited decision-making right and occupational insecurity put a heavier strain on the former. On the other hand, the regular workers found it more stressful not to be rewarded properly. Those who were paid better were more stressed due to growing workload and heavy job pressure, and those who were paid less were more stressed about their lack of decision-making right and unstable employment or job. Those who worked for more hours a day and who worked overtime frequently had a tendency to be more stressed because of job pressure and a lack of autonomy. The effort by this study to look into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as meant to pave the way for future research efforts, as there were few studies or materials on that issue. Moreover,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compared to a report on nationwide occupational stress standard released by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Stress after it made research on every type of occupation based on the national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and this attempt made it possible to look at the occupational stress level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and relevant factors in an objective way. However,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since the geographic scope of it was confin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attempt by this study is expected to stir up more energetic research on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ho provide higher services to people as human service providers, and there are some suggestions regarding that issue: First, more specialized occupational stress inventory should be prepared to be suitable for mental health care sector. Second, what demographic factors and working environments a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the occupational stress of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should be identified, and how their occupational stress is affected when the significantly correlated factors are controlled should be studied. Third, it's needed to put more efforts into determining how their occupational stress is impacted by the type of their work place, which is significantly tied into occupational stress subareas. In addition, how their occupational stress influences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also should be studied. Fourth, the type of programs and policy that could induce mental health care personnels, who are human service providers, to get rid of their occupational stress and increase their productivity should be prepared.;정신보건영역 종사자들은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정신적 병리현상을 주로 다루면서 치료와 재활을 위한 다양한 개입을 하게 되고, 또 만성 정신질환자가 아닌 대상자 및 일반 시민들의 심리적이고 정서적이고 정신건강적인 측면에의 다각적인 개입을 시도하며 작업한다. 따라서 정신보건영역에서 근무하는 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 관리는 정신보건서비스 전반에 대한 질적 수준 유지 및 향상과, 나아가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추가비용을 절감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영역 현장에 종사하고 있는 사회복지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관련요인들을 평가해봄으로써, 정신보건이라는 특정한 영역의 직무환경 및 특성을 고려한 직무스트레스 완화 방안 기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실증적 기초 자료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이론적 검토를 하였으며, 자료수집방법으로써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고, 설문지는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 영역, 근무환경적 특성 영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설문문항과 더불어,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가 개발한 직무스트레스 측정 척도(Korean Sclae of Occu-pational Stress)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령이 많을수록 의사의 자율성과 대인관계로부터의 스트레스가 많았고, 적당한 여가활동을 하는 경우 일수록, 신체부담이나 대인관계로부터의 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만한 것은 병·의원보다 사회복귀시설이, 사회복귀시설보다는 정신보건센터가 가장 작업방식의 위험성, 공기의 오염, 신체부담 등에 대한 스트레스가 많게 나타났고, 반면 병·의원에서 종사하는 경우에 조직내부의 집단주의적 문화가 팽배해 있고, 비합리적인 의사소통체계 및 내부갈등, 그리고 비공식적 직장문화 등에 있어서의 스트레스가 높게 작용하고 있었다. 더불어 근무기간이 길수록 대인관계, 조직운영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정규직보다는 계약직이 직무부담이 높고, 의사결정의 제한, 직업 불안정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높았다. 반면, 정규직의 경우가 계약직 이외의 경우보다 자신의 업무에 비해 적절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가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급여가 많을수록, 업무량 증가, 과도한 직무부담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고, 급여가 낮은 경우, 의사결정에 있어서의 자율성이 없음으로 생기는 스트레스가 높고 직업이나 직무에 대한 불안정으로부터 오는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근로시간과 시간외 근무횟수가 상대적으로 많을수록, 직무부담과 직무 자율권 부족에서 스트레스가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정신보건영역에 종사자들에 대한 직무스트레스 선행연구 및 자료가 미비한 시점에서 보다 발전되고 다양한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고, 게다가 한국직무스트레스학회가 전국 표준산업분류에 따라 전체 직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의 결과인 직무스트레스 전국 기준치와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얻은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정신보건 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요인들을 객관적으로 고찰해 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으나, 서울·경기지역에만 국한된 조사로, 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휴먼서비스 종사자로서 양적·질적으로 고차원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신보건 종사자들 및 관계자들의 활발한 직무스트레스 관련 연구를 기대하면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보건분야에 부합하는 특성화된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각 변인들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와 유의미한 관련성이 밝혀진 인구사회학적 근무환경적 요인들에 대하여 이들을 적절한 요인들로 통제하여 정신보건 사회복지사의 직무스트레스와의 영향에 대한 향후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셋째, 직무스트레스 하위 영역에 의미있는 관계를 보였던 근무지 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영향에 대한 보다 추가적인 연구와 함께 이들 직무스트레스가 정신보건사회복지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영향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휴먼서비스 종사자인 정신보건사회복지사들의 직무스트레스 수준에 맞춰 적절히 이를 해소하고 생산적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차원과 정책적 차원에서 동시적으로 프로그램 및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