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성훈-
dc.contributor.author홍영희-
dc.creator홍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5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87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879-
dc.description.abstract오늘을 살아가는 우리에게 일본과 미국의 우수한 기업경영과 우량기업에 대한 연구를 기초로 건전하고 우수한 기업문화가 기업의 성과를 향상시킬 것이라는 사고가 널리 지지를 받게 되면서 기업문화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사회의 일반적인 가치관과 산업 환경, 기업의 역사, 창업자나 최고 경영자 집단의 가치관이 특정 기업의 문화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가정하고 있으며, 건강한 문화가 기업유효성의 결정요인이라는 가정은 나름대로 충분한 논리적 타당성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기업문화 유형에 관련된 준거의 틀을 제시한 Haller의 이론을 이용하여 기업문화 유형과 그 특성을 알아보고, 기업문화 유형과 기업 유효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또한 기업문화 유형과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매일 매일 새롭고 다양한 경제 정보를 담은 신문은 기업문화에 관한 교육을 행함에 있어 가장 손쉽고도 이상적인 교육 자료이며, NIE(신문활용교육)의 활용으로 기업문화교육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여기서 기업문화 교육에 신문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NIE의 경제 및 기업문화교육에 대한 효과에 대하여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행하는 기업문화 수업에 전통적인 수업방식과 NIE를 적용한 수업방식의 비교 및 NIE를 이용한 수업방식의 다양한 활용법을 제시하고, 일반적인 경제 교육의 특징과 기업문화 교육에서의 NIE의 활용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검증 과정의 일환으로 먼저, 기업문화교육에 있어서 NIE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경제교육 관한 일반적인 개념 에 관하여 돌아보고 기업문화의 특징과 유형, 그리고 NIE의 개념과 목적, 교육적 효과 그리고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기로 한다. 다음으로, 경험적 연구를 위해 신문 활용 교육에 관하여 언급하고 있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고등학교 2학년 <경제>교과 중 ‘Ⅲ. 경제 주체의 합리적 선택’ 부분을 중심으로 NIE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하여 경제수업을 실시하였으며. 학습목표 및 NIE 활동 프로그램과 관련된 신문자료를 수집하여 학생들이 활용할 학습지를 제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수업지도안을 고안하였다. 세 번째로,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경험적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가 근무하는 서울시 중구 소재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1학년 전체 12개 학급 중에서 연구자 임의로 4개 학급을 추출하여 NIE 수업을 적용할 실험집단과 전통적 수업을 적용할 비교집단으로 각각 2개 학급을 선정하여 3차에 걸쳐 실험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문화교육에 있어서 NIE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학업성취도 검사 및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 평가는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평가문항을 작성하여 15개 문항으로 평가지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학습태도 검사를 위하여 학습에 대한 일반적 태도, 기업문화 수업에 대한 주의집중 태도, 학습기술 적용 태도, 자율학습 태도 등의 하위 영역에 대하여 19문항으로 학습태도 검사지를 작성하였다. 위의 검사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의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95%의 신뢰수준에서 검정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기업문화단원에 대한 학업성취도 검사 결과 기존의 전통적인 수업방식과 NIE를 활용한 방식으로 기업문화 수업을 받은 집단의 비교에서 NIE를 활용한 수업방식이 기업문화 관련 지식, 기능, 가치 영역에서 평균이 비교 집단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문화 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검사 결과에 있어서는 NIE 수업을 적용한 집단이 비교집단(전통적 방식학습적용집단)에 비해 학습에 대한 일반적 태도나 기업문화 수업에 대한 주의집중 태도, 학습 기술적용 태도, 자율학습 태도 등의 영역에서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NIE를 활용한 수업이 교과서 중심의 전통적 수업에 비해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 못했다. 이는 이러한 교육이 학생들의 내신 성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이러한 결과가 나온 듯하다. 그러나 학습태도 형성에 있어서는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결과에서 볼 때 NIE 수업 자료의 연구 및 정보 교류를 위한 제도적 여건 마련과 NIE에 대한 교육당국과 신문사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가 이루어지고 교사들이 보다 많은 준비와 자질을 갖추어 진다면 NIE의 자료활용을 통한 기업문화 교육의 활성화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다.;Korean economy has experienced drastic changes in recent years. Still, economy textbooks used in schools deal in elementary and fundamental economic theories and thus fail to reflect all these changes. Newspapers can be considered the most ideal textbooks, which help solve these problems facing our current economic education, as they offer new and diverse economic information on a daily basis. NIE can be a desirable approach to effective economic education if it is used properly. NIE was first introduced in Korea in mid 1990s and has been applied to a variety of curriculum including Korean language, science and mathematics, but it has not been widely utilized in high school economy classes and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research work on the approach. Against the backdrop, it is necessary to explore ways to utilize newspapers for economy classes in high school and analyze the effects that NIE has on economic education as a whole. This study aims to suggest various NIE methods that can be used for high school economy class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that NIE-based economic education has on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First, an extensive review has been done on previous researches and studies on economic education and NIE,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the concept, objectives and necessity of NIE has been examined. Second, for empirical research, an economy class in which an NIE-based teaching model is applied, was conducted, using  'Ⅷ. National Economy and Rational Choices', a unit of the social science textbook used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in senior high school, or 10th grade students in the 7th education program. Students created a text material based on which they will carry out activities, by gathering news and information from papers relating to the class objectives and NIE activity program. Based on the text material, the syllabus was drawn up. Third, the study was conducted on tenth grade students in college-bound high schools located in Bundang-gu Sungnam City, where the author is currently teaching. Of the total 14 classes, 4 classes were chosen randoml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two classes who will be taught by NIE-based teaching method, and the other group who will study in a conventional way.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7 times. Forth,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NIE on economic education, students were evaluated for their academic performance and learning attitude. The academic performance evaluation consists of 20 questions on areas of knowledge, function, values and attitude. The learning attitude test has 19 questions on subcategories including general learning attitude, concentration level, learning skills application, and voluntary learning. To analyze the test results, the t verification of SPSS 10.0 was used, with a 95% confidence level.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the academic performance test on the relevant economy lectures, the NIE-applied group achieved a higher average on economy-related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 than their counterparts in the group who was taught in a conventional way.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learning attitude test showed similar results. The NIE group gained higher scores than their peers in all areas including general learning attitude, concentration level, learning skills application and voluntary learning.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study found that though one cannot say a particular teaching method for economic education is absolutely superior to the others, NIE-based class is more effective than the textbook-oriented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in terms of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and forming positive learning attitudes.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or economic education, schools should encourage teachers to abandon their dependency on textbooks and adopt the NIE teaching method. In order to make it possible,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needs to be changed to allow more research work be done and to facilitate information exchange to develop NIE teaching material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1. 서론 = 1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 4 1.3. 연구의 제한점 = 5 1.4. 선행연구의 고찰 = 5 1.5. 용어의 정의 = 11 1.5.1. NIE = 11 1.5.2. 학업성취도 = 11 1.5.3. 학습태도 = 12 2. 이론적 배경 = 13 2.1. 경제교육 일반의 특징 = 13 2.1.1. 경제교육의 개념 = 13 2.1.2. 경제교육의 목표 = 14 2.1.3. 경제교육의 학습방법 = 15 2.2. 기업문화 = 16 2.2.1. 기업문화의 특징 = 16 2.2.1.1. 문화의 기본 개념 = 16 2.2.1.2. 기업 문화와 기본가치 = 17 2.2.1.3. 기업문화의 구성요소 = 18 2.2.2. 기업문화의 유형 = 20 2.3. NIE의 교육적 효과 = 25 2.3.1. NIE의 개념과 목적 = 25 2.3.1.1. NIE의 개념 = 25 2.3.2. NIE의 교육적 효과 = 27 2.3.2.1. NIE의 효과 = 27 2.3.2.2. NIE의 교육적 효과 = 28 2.3.2.3. NIE의 부문별 기대효과 = 32 2.3.3. NIE의 국제적 동향 = 33 2.4. 기업문화교육과 NIE = 41 2.4.1.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경제교육과 NIE = 43 2.4.2. 기업문화 교육에서의 신문 활용 유형 = 43 2.4.3. NIE을 통한 경제수업 시 교사의 유의점 = 44 3. 연구 절차 = 45 3.1. 연구 가설 = 45 3.2. 연구 설계 = 46 3.2.1. 연구대상 = 46 3.2.2. 연구 설계 = 47 3.2.3. 검사 도구 = 47 3.2.3.1. 학업성취도 검사 = 47 3.2.3.2. 기업문화 수업에 대한 학습태도 검사 = 49 4. NIE를 활용한 기업문화교육의 실제 = 50 4.1. 기업문화 단원 내용 분석 = 50 4.1.1. 단원 설정 이유 = 50 4.1.2. 제재별 내용분석 = 50 4.2. 차시별 학습내용관련 신문자료 = 53 4.2.1. 차시별 학습내용관련 신문자료 = 53 4.2.2. 차시별 NIE 활동프로그램 목록 = 55 4.2.3. 신문자료를 활용한 교수 · 학습지도안(1)교수-학습지도안 = 56 4.2.4. 전통적인 강의식 교수-학습지도안 = 65 5. 연구 결과 및 논의 = 68 5.1. 학업성취도 측면에서의 NIE를 활용한 기업문화교육의 효과 검증 = 68 5.1.1. 학업성취도 사전 검사 결과 = 68 5.1.2. 학업성취도 사후 검사 결과 = 69 5.2. 학습태도 측면에서의 신문활용교육(NIE)을 통한 기업문화교육의 효과 검증 = 70 5.2.1. 학습태도 검사 결과 = 71 5.2.2. 가정배경과 학습태도와의 관계 검증 = 72 5.2.3. 가정배경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검증 = 73 6. 요약 및 결론 = 74 부록 1 학습태도 검사지 = 79 부록 2 학업성취도 평가지 = 80 ABSTRACT = 84 참고 문헌 = 8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833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신문활용수업(NIE)을 통한 경제교육 효과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NIE on Participate Organized Culture Education with focus on participate organized culture class for high school students-
dc.creator.othernameHong, Young-hee-
dc.format.pagevi,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회과일반사회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일반사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