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하영-
dc.contributor.author김광은-
dc.creator김광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5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우리의 문화유산이며 선인들의 세계관을 담고 있는 고전문학 중에서 인생의 가장 총체적이고 구체적인 모습을 형상화하고 있는 고전소설에 대한 교육이 교육과정의 목표인 학습자의 문학 능력을 신장시키기에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의문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고등학교 문학 과목에서 고전소설 지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그 현황 진단을 토대로 학습자의 문학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고전소설의 효율적 지도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Ⅱ장에서는 고전소설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문학 교육의 성격, 목표와 내용을 제 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을 통해 정리하고 그 속에서 고전소설 교육이 우리의 민족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고, 학습자의 언어예술 능력, 특히 서사능력을 기르며, 현대문학과의 상동성(相同性), 현대적 삶과의 연관성 속에서 창의적인 국어사용 능력을 길러야함을 검토하였다. Ⅲ장에서는 18종 문학 교과서 고전소설 작품의 수록 양상과 그 의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분석이 되는 작품인 <박씨전> <유충렬전> < 호질>을 선정, 교육과정 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단원의 적절성과 학습목표, 학습과제의 적절성을 분석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먼저 Ⅲ장에서 이루어진 교과서 분석을 토대로 고전소설의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그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학 교과서의 수는 늘어났지만 실질적인 내용이나 방법론에 있어서는 다양화되지 못했다는 점이다. 세 작품의 분석에서 본바와 같이 고전 소설을 다양한 교육과정에 속하도록 편성하여 학습자에게 다양한 경험을 제시하여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몇 개의 한정된 교육과정, 단원에 서로 비슷비슷하게 수록되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창의적인 단원 설정과 교육내용의 제시로 고전의 활용도를 높이고 학습자의 문학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고전소설 작품지도의 학습목표가 뚜렷하게 설정,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고전소설 작품 지도의 방향을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안내하는 목표제시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셋째, 고전소설이 대부분 작품의 일부만이 제시되어 전체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소설의 특징인 서사성을 학습하기에는 어렵다는 점이다. 단편인 경우는 최대한 전문을 수록하도록 하고 장편인 경우에는 작품 전체를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를 충분히 제시하고 여러 가지 활동이 안내되어 학습자가 스스로 작품 전체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도록 해야함을 지적하였다. 넷째, 낯선 작품, 생소한 작품에서도 학습자가 스스로 해석하고 감상할 수 있는 문학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타 작품, 타 장르와의 연계, 즉 고전소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이 미비하였다는 점이다. 이에 고전소설을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함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단원과 학습목표의 재구성을 시도하였다. 교육과정 내용을 그대로 단원명으로 사용하는 기계적 적용에서 벗어나 주제, 소재 중심의 단원 설정 등 보다 다양하고 창의적인 단원의 구성이 가능함을 제시하였으며, 실제 수업에 적용될 수 있는 작품의 구체적인 목표도 제시해 보았다. 이와 함께 마지막으로 분석의 대상이 되었던 세 작품 <박씨전> <유충렬전> <호질>의 효율적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그것은 고전소설을 고립된 존재로 지도하는 것이 아니라 작품과 작품의 관계성을 찾는 학습방법을 통해 보다 다양한 문학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다. 작품과 동시대의 다른 작품과의 대비를 통해(공시적 관계성 찾기), 또 전, 후대의 다른 작품, 다른 장르와의 대비를 통해(통시적 관계성 찾기) 다양하게 지도함으로써 고전소설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박씨전>은 동시대의 같은 소설인 <임진록>과 <사씨남정기>, 후대의 현대소설인 오상원의 <유예>, 공지영의 <무소의 뿔처럼 혼자서 가라>와 함께 대비하여 효율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유충렬전>은 동시대의 소설인 <조웅전>, 그리고 동시대의 타 장르인 충(忠)을 주제로 한 시조들과 연계하여 지도할 수 방안, 그리고 후대인 오늘날의 영화 <트로이>, <알렉산더>, <패트리어트>와 비교하여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호질>은 동시대의 소설인 <장끼전>, <양반전>과 후대의 현대소설인 채만식의 <미스터 방>, 외국문학인 조지 오웰의 <동물농장>과 함께 비교하여 학습할 수 있는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고는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 분석을 통해 고전 소설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그 대안으로서의 효율적 지도방안을 연구하였다. 고전소설지도의 방향을 추상적으로 제시한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어 그 지도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해 보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분석의 대상 작품이 세 작품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 학교 현장에 그것을 실제로 적용해 보지 못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더 다양한 작품을 대상으로 한 고전 소설 작품 지도 분석과 효율적 지도방안의 현장 적용은 이후의 연구로 남겨둔다.;This study starts from the question mark whether there is an appropriate education in Korean classical novel that is our cultural heritage and forms the most general and specific image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to enhance learner's literary ability that is the goal of the curriculum. Thus, i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look into how novel is taught in the subject of high school Korean Literature and come up with an effective Korean classical novel instruction plan to enhance learner's literary ability from present situation diagnosis. First of all, I looked into the goal and content of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in chapter Ⅱ. I have adjusted characteristic, goal, and content of the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the 7^(th) Korean subject curriculum and looked into the fact that the classical novel education should succeed and develop our national culture, enhance learner's language art ability, especially narrative ability, and improve creative Korean language competitiveness with regard to same relationship with modern literature and in relations with modern life. In chapter Ⅲ, I looked into aspects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ical novels found in 18 different high school textbooks. I chose Bahkseejun, Yoochoonglyuljun, and Hojil and analyzed their appropriateness in terms of lesson, goal of the class, and assignment appropriateness based on content of the curriculum. In chapter Ⅳ, I adjusted the problems of classical novel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in chapter Ⅲ, which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literature textbooks has increased but there was no diversification in terms of content practicality or methodology. I have pointed out that 14 from 22 stories in 18 textbooks overlaps and organization of lessons (or units) follows the content of the curriculum, which lacks diversity and creativity. Second, the learning goal of the classical novel instruction is not explicitly presented. I have pointed out that the goal needs to be presented in order to guide the direction of classical novel instruction more specifically and practically. Third, most of the classical novels are partly excerpted in textbooks, s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novels in general and learn their narration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novels. I have pointed out that whole content should be introduced for short stories, and for longer pieces, enough material and activities should be introduced for a learner to understand the literary works as a whole and appreciate them on one's own. Fourth, there is a shortage of a more efficient classical novel instruction strategies to enhance learner's literary competitiveness to interpret and appreciate unfamiliar literary work, which is to connect with other literary works or other genres. Thus, I have pointed out that there needs to be more efficient classical novel instruction strategies. To solve such problems, I have tried to reorganize lessons and class objectives. Instead of mechanically using contents of the curriculum as lesson names, it is possible to organize more diverse and creative lessons by establishing theme-based or subject matter-based lessons; I have presented specific class objectives applicable in real class situation. In addition, I have come up with an efficient lesson plan for the 3 literary works Bahkseejun, Yoochoonglyuljun, and Hojil, which are the subject novels for my analysis. That is not to teach classical novels as isolated existence but to teach in order to present a more diverse literary experience through learning strategies that encourage learner to find a relationship between or among literary works. Through diverse learning strategies including comparisons with different works of the same era, different era or different genres, I have presented strategies to increase practical uses of classical novels. Strategies for Bahkseejun are presented to be taught efficiently in comparison with Imjinrokand Sahssinahmjunggi, both of the same era, or more modern era novels such as Yuye by Oh Sahng-won and Go Alone like the Horns of Rhinoceros by Gong Ji-young. Those for Yoochoonglyuljun are presented with regards to Jowoonjun of the same era, or different genre, the Korean verse shijo with themes of loyalty. Finally, those for Hojil are presented in comparison with Jahngkkijun and Yahngbanjunof the same era, or more recent novels Mr. Bahng by Chae Mahn-shik and foreign novel, Animal Farm by George Orwell. This thesis deals with the diagnosis for problems of classical novel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high school Korean Literature textbooks, and efficient instruction plan as alternative. The study does not present the direction for Korean classical novel instruction in an abstract way but specifically with certain literary works as examples. However, the study has its limits with subject literary works confined to just three novels and its application not yet carried out in actual class situations in schools. Room for its application in more various novels is left for future study along with analysis of Korean classical novels and application of effective instruction pla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 방법 = 3 Ⅱ. 고전소설 교육의 목표와 내용 검토 = 8 A. 문학 교육의 성격, 목표와 내용 = 8 B. 고전 소설 교육의 목표와 내용 = 15 Ⅲ. 문학 교과서 고전소설 작품 수록 양상과 지도 방안 = 19 A. 작품 수록 양상과 그 의의 = 19 B. 단원의 적절성, 학습목표, 학습활동 과제 분석 = 22 Ⅳ. 고전소설 교육의 현황과 효율적 지도방안 = 66 A.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 본 고전소설 교육의 문제점 = 66 B. 고전소설 단원과 학습목표의 재구성 방안 = 68 C. 고전소설의 효율적 지도 방안 = 78 Ⅴ. 결론 = 102 參考文獻 = 105 Abstract = 1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08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효율적 지도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Korean Classical Novel Education in High School Curriculum-
dc.creator.othernameKim, Kwang Eun-
dc.format.pagev, 11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