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순둘-
dc.contributor.author백설아-
dc.creator백설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09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3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095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amines maternal parenting attitude which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ince maternal parenting attitude is the most important and influential element in young children's growing up and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way of social intervention for good parenting attitude by finding an influential factor on such parenting attitude. For the study, it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attitude and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the type, degree, and redundant deficiency), maternal socio-psychological variables(marriage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educational variable(education service satisfaction), and finds which variable has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Participants were 180 mothers whose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tended the kindergartens of 11 special schools, 5 special young children schools, and 5 special nursery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spond a questionnaire, which consists of 4 measurement, such as items of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maternal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educational variables, and parenting attitud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with t-test, One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Regression analysis to find the influence of independent variables on maternal parenting.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maternal attitude to paren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by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ut, a partial significant difference is shown in the sub-areas(affective parenting and controlled parenting) of maternal parenting attitude due to deficient redundancy. Second, it i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young handicapped children's maternal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 Also, the higher marriage satisfaction mothers have, the better parenting attitude(affective and self-regulated parenting) they show. Besides, when mothers have higher level of stress in parenting, they are more likely to show undesirable parenting attitude(rejective, and controlled parenting). Third,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al variable and maternal parenting attitude. Fourth, parenting stress i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maternal attitude to paren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 assumption that maternal parenting attitude has great influence on the general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llowing suggestions are some social practices that will improve maternal attitude to paren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study above. First, it needs much efforts to reduce parenting stress, a most influential factor in parenting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for mothers. So, social agencies or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should develop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for the mother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together with the continuous service. Second, it needs to develop many practical ways of raising maternal marriage satisfaction,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arents to participate together in different programs so that parents can understand each other and discuss and coordinate their parenting and every domestic life. Third, it needs to help mothers whose children have more than one deficiency(redundant deficiency) understood what redundant deficiency is, and provide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mothers whose children have a single deficiency show more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than those whose children have redundant deficiency. To make mothers of children with redundant deficiency have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it is required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such as parent programs and treatment service for redundant deficiency. Fourth, it needs to develop a program to include other family members as well as mothers from a view of ecological system, when we provide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child-care, treatment and rehabilitati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ll be improved positively through a program which is developed based on the fact that maternal(parental) parenting attitude and family variable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a childhood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will be helpful that the follow-up empirical studies focus on developing maternal parenting attitude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very the effectiveness.;본 연구에서는 장애유아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장애유아가 성장 · 발달하는 데에 가장 영향력 있고 중요한 자원이기 때문에, 그러한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아 바람직한 양육태도의 형성을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방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장애유아 특성변인(장애유형, 장애정도, 중복장애유무), 장애유아 어머니의 심리사회적변인(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교육적변인(교육서비스만족도)이 각각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고, 어떠한 변인이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본 조사연구를 위한 대상자는 서울, 경기지역의 11개의 특수학교 유치부, 5개의 유아특수학교, 5개의 장애전담어린이집에서 교육서비스를 받고 있는 장애유아의 어머니 180명이었다. 자료수집에 사용한 설문지의 형태는 장애유아의 변인 및 일반적 사항에 대한 설문과 어머니의 심리사회적변인, 교육적변인,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4가지의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설문지는 장애유아의 어머니가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으로 처리하였으며, 사용된 독립변수들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 변인과의 관계적 특성을 밝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장애유아 특성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장애유아 특성변인 중 중복장애유무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태도 하위영역(애정적양육태도, 통제적양육태도)은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심리사회적변인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서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장애유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높을수록 바람직한 양육태도(애정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바람직하지 못한 양육태도(거부적, 통제적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유아의 교육적 변인과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서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가장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양육스트레스임이 밝혀졌다.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장애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하였을 때,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밝혀진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지역의 사회복지를 담당하는 기관 또는 협조할 수 있는 기관에서는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위한 다양한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서비스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장애유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실천적인 방법을 계발하고, 각종 프로그램에 부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 · 제공함으로써 부부가 서로를 이해하고 자녀양육 및 가정생활 제반에 대한 방향을 조정하고 통합해 가도록 돕는다. 셋째, 중복장애를 가지고 있는 장애자녀의 어머니들을 위하여 중복장애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도록 돕고, 다양한 사회적 지원체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에서는 중복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자녀의 어머니가 보다 애정적인 양육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중복장애자녀의 어머니들도 애정적 양육태도를 향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중복장애에 대한 이해를 위한 부모교육, 치료서비스 등의 중복혜택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지원체제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유아를 위한 교육, 보육, 치료 및 재활 등의 복지서비스를 제공할 때, 장애유아의 어머니를 포함한 가족의 입장까지 고려한 생태체계적 관점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유아의 시기에는 어머니(부모님)의 양육태도 및 가족의 변인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장애유아의 성장 · 발달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후속연구로는 장애유아 어머니를 위한 양육태도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해 볼 수 있는 실험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감사의 글 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 = 7 A.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 7 B.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13 1. 장애유아의 특성변인 = 13 2. 장애유아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변인 = 14 가.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 14 나. 장애유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 16 3. 장애유아의 교육적서비스 요인 = 18 Ⅲ. 연구방법 = 21 A. 연구설계 = 21 B. 연구도구 = 22 1.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 척도 = 22 2.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 척도 = 23 3. 장애유아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척도 = 25 4. 교육서비스 만족도 척도 = 25 5. 장애유아의 특성 및 가정의 일반적 사항에 관한 질문 = 26 C. 자료의 분석방법 = 27 D. 연구모형 = 28 Ⅳ. 연구결과 = 29 A. 배경적 변인의 분포 = 29 1. 어머니의 배경 변인별 분포 = 29 2. 장애유아의 배경 변인별 분포 = 32 B. 장애유아의 특성변인에 따른 양육태도의 차이 = 34 1. 장애유아 특성변인에 따른 양육태도(총점)의 차이 = 34 2. 장애유아 특성변인에 따른 양육태도(하위영역)의 차이 = 35 가. 장애유아의 특성변인에 따른 애정적 태도의 차이 = 35 나. 장애유아의 특성변인에 따른 거부적 태도의 차이 = 36 다. 장애유아의 특성변인에 따른 자율적 태도의 차이 = 37 라. 장애유아의 특성변인에 따른 통제적 태도의 차이 = 38 C. 장애유아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변인과 양육태도의 관계 = 39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태도와의 관계 = 39 2.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태도와의 관계 = 39 D. 교육서비스 만족도 변인과 양육태도의 관계 = 40 E. 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41 Ⅴ. 결론 및 제언 = 43 A. 결론 = 43 B. 제언 = 48 참고문헌 = 51 부록 1 (설문지) = 59 부록 2 (Correlation Table) = 67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34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장애유아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aternal parenting attitude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dc.creator.othernameBaek, Seol-Ah-
dc.format.page7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5. 8-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