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1 Download: 0

다양한 활동을 통한 독서 습관 형성 방안 연구

Title
다양한 활동을 통한 독서 습관 형성 방안 연구
Authors
이근명
Issue Date
200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Keywords
독서습관활동다양한 활동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좋은 책이나 유익한 글은 삶의 길잡이가 되고, 인간의 정신 세계를 풍요롭게 해 준다. 오랫동안 독서의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으나, 여러 가지 현실적인 이유로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 하였다. 본 연구는 21 세기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더욱 강조되는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창의적 탐구력, 비판적 사고 능력등의 신장의 바탕이 되는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평생 독서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독서 습관을 형성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독서 교육에 관한 이론서와 선행 연구를 조사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독서 교육의 의미,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의 독서 교육, 습관 형성 이론 등을 정리하고 구체적인 연구 계획을 세우기 위해 학생 독서 실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학생들은 독서의 중요성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나 좋은 책을 구하기 힘들고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월평균 독서량과 주당 독서 시간은 저조한 편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모의 독서에 대한 관심은 학업과 관련된 내용이 많았고 학생들 또한 학업에 독서가 도움이 된다는 응답이 않았다. 학교 도서관, 공공 도서관, 학급 문고 이용률은 매우 저조하였으며 그 이유는 읽고 싶은 책이 제대로 구비되지 않은 데서 찾을 수 있었다. 독서 내용을 내면화하기 위한 독서 후 감상 표현 활동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오히려 이에 부담을 느끼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학생들의 독서 흥미를 고취하고 독서 습관을 형성시키는 방안으로 먼저 학교 독서 환경을 조성하였다. 학교 도서관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해 도서 구비 목록 등의 적극적인 홍보를 실시하고 학교 독서 신문을 발행하였다. 또한 학급 문고 구성에서 학생들이 읽을 만한 책을 준비해 오도록 지도하고, 중앙 현관과 도서실 게시판, 학급 환경 미화 게시란 등에 독서 게시판을 설치하여 학생들이 독서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설문 조사에서 학생들은 여가 시간의 대부분을 컴퓨터 활동으로 보내는 것을 확인하고 독서 홈페이지를 개설하여 도서 소개란, 추천 독후감, 학급별 토론방 등을 만들어 다양한 독서 후 감상 표현 활동이 탑재되고 자연스러운 독서 토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아침 자율 학습 시간을 이용하여 정기 독서 시간을 운영하였고 독서 논술 경시 대회, 도서 광고문 제작 대회 등의 독서 행사를 실시하였으며 국어를 비롯한 여러 과목에서 수행 평가로 독서 활동을 반영하였다. 그리고 제 7 차 교육 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창의적 재량 활동 독서 시간을 이용하여 연구자가 개발한 독서 수업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학생들이 독서에 흥미를 갖고 올바른 독서 습관을 형성하도록 유도하였다. 본 독서 수업 프로 그램의 특징은 첫째, 격주 2 차시로 운영되어 독서 시간과 독서 후 감상 표현 활동 시간에 여유를 주었고 둘째, 2 차시별로 길이, 내용의 깊이 면에서 다양한 독서 과제를 제시하여 학생들이 자신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독서 과제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셋째, 과제로 읽어 온 책의 내용 파악을 위해 소모둠을 구성하여 내용을 정리하도록 하여 독서 내용 파악 과정 자체가 즐거운 시간이 되도록 하였다. 넷째, 모둠별로 토의, 토론 시간을 가져 책 내용에 대한 생각을 서로 교환하였고 다섯째, 개별 독서 후 감상 표현 활동을 전체 학급 학생을 대상으로 발표하여 상호간 독서 흥미와 욕구를 불러일으키도록 유도하였으며 여섯째, 차시 예고에서 직접 책을 보여주거나, 인상적인 부분을 읽어 주어 책 읽어 오기 과제를 즐겁고 적극적으로 수행하도록 하였다. 일곱째, 평가는 창의적 재량 활동 평가 기준에 맞추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자기, 상호 평가 하고, 교사가 관찰 평가를 더하여 문장으로 기술하였다. 이와 같이 독서 환경을 조성하고 독서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명목 척도와 리커드 척도를 사용하여 사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학생들의 독서에 대한 생각과 독서할 때의 느낌 등이 좀더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고, 월간 독서량과 주당 평균 독서 시간도 많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학교 도서관과 학급 문고 이용률도 현격히 높아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독서 후 여러 활동에 흥미 있어 하며 독서 후 활동으로 작품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청소년 시기 독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적절한 독서 계획을 세워 실시하면 학생들의 올바른 독서 습관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Good books and useful scripts help to guide our life, while enriching our mental world. Although importance of reading has long been emphasized, people are not accustomed to reading for various real rea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ading which helps to improve such abilities highlighted more in the 21st century or knowledge- and information-intensive society as self-initiated learning, creative spirit of inquiry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reupon, encourage students to form their life-long reading habit. For this purpose,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regarding reading were surveyed to review the implications of reading education theoretically and examine the reading education specified in the 7th Amendment of National Curriculum as well as the theories about habit forming, and thereupon,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 design a specific study plan.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more or less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ading but their monthly and weekly reading time was short partly because they could not find good books and partly because they had little time for reading. On the other hand, parent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children's reading in relation with their learning at school, while many students themselves felt that reading was helpful to their school learning. Nevertheless, ratios of using school libraries, public libraries and classroom book shelves were very low, because students thought that they were not sufficiently equipped with good books. Moreover, students were not adequately engaged in post-reading appreciation and assessment activities essential for internalization of reading; they rather felt burdensome for such activities. In order to encourage students to read more books and form a reading habit, the researcher attempted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reading at school. And in order to operate the school library more efficiently, the researcher publicized the library program, while completing the booklist and publishing a school reading newspaper. In addition, the researcher urged students to bring good books to their classroom book shelves, and installed billboards at the central porch of the school building, school library and classroom environment bulletin boards. As it was found through the survey that students were spending most of their leisure time on computers, the researcher launched a reading homepage consisting of book recommendation page, recommended book review page, classroom discussion room, etc. As a result, many students loaded up their book reviews, while being actively engaged in the discussion. Furthermore, a regular reading time was scheduled within the morning self-learning hour, while such events as book review competition, book advertising copy competition, etc., were operated. Besides, students' reading activities were reflected in their in-classroom performances of various subjects including Korean Language. By referring to the creative discretionary reading activity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the 7th Amendment of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er developed a reading guide program and applied it to the classroom to make students interested in reading and thereby, form a correct reading habit. The progra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it is operated twice every other week for reading activities and post-reading activities; second, it is designed to suggest various reading challenges in terms of reading time and contents to help students select the books according to their levels and interests; third, the classroom can be divided into small groups whereby students can exchange their reviews with other students, which may be exciting to students; fourth, students of each small group can discuss their book reviews with other students; fifth, students are urged to express their reviews before the other students at the classroom and thereby, invoke interest in and desire of reading mutually; sixth, the teacher may introduce to students a book or its impressive part for the next reading session in order to encourage them to be more happily and positively engaged in reading activities; seventh, a checklist designed to meet the criteria for the creative discretionary reading activities is used by students to assess their activities spontaneously or mutually, while the teacher observe students' self-assessment for his/her own assessment. In order to test the effects of such efforts and the reading guide program, a nominal scale and Likard's scale were used to conduct a posterior Questionnaire surve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ere more positive towards their reading activities and attitudes, while their monthly and weekly reading hours increased much and they used the school library and the classroom book shelves more frequently. In addition, students were more interested in post-reading activities with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book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followed up by future studies focused on development of diverse reading pedagogics to help students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reading and form a correct reading hab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