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95 Download: 0

직업재활종사자의 윤리적 가치관과 행동에 관한 연구

Title
직업재활종사자의 윤리적 가치관과 행동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Work Ethics and Behavi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Authors
마미옥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일반적으로 어떠한 직업이 전문직이라고 함은 그 직종에 속한 사람들이 체계적인 지식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직업의 시작과 종사를 관리하는 전문단체가 있어야 하며 해당 직종이 사회의 기본적 가치에 부합하다는 일반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더불어 전문가의 행동을 지도하는 윤리강령이 마련되어 있어야 하고 그 직종의 독특한 전문가적 문화도 있어야 한다. 같은 맥락에서 직업재활종사자가 우리 사회에서 전문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학문의 지식구조를 가지고 있어야 하고 장애인직업재활이 사회적 기본가치인 자유, 평등, 인권에 부합하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도 전문가로서의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윤리원칙에 의한 윤리적 의무를 다 해야 하는 책임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특히 신체적·정신적 손상으로 인해 안정된 고용을 확보하고 유지하기 어려운 장애인을 대상으로 자신의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여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업재활종사자는 장애인의 고용과 삶에 직접적으로 개입하는 일차선상에 있기 때문에 윤리적 책임성이 더 엄격히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직업재활 실천현장은 고용주, 장애인, 장애인과 관련된 환경체계, 그리고 직업재활종사자 개인의 특성이나 동료, 조직, 지역사회 등 다양한 대상과 체계 내에서 많은 어려움들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고용계획을 잘못 수립하거나 부적절한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평가결과가 잘못 사용되거나 직무배치가 잘못 되었을 경우에 장애인과 그 주변 환경체계는 커다란 위험에 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직업재활종사자의 윤리의식은 매우 중요하며, 직업재활서비스는 직업재활종사자의 윤리적 자질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직업재활종사자를 대상으로 윤리적 가치관과 행동, 또는 윤리의식을 다룬 국내연구(강위영, 김재익, 1996; 이달엽, 2003)는 극히 드물며, 직업재활종사자는 물론 전 재활복지전문가의 윤리강령조차도 제정되어 있지 않은 실정임을 감안할 때, 직업재활종사자가 윤리적 갈등상황을 올바로 인식하고 옳고 그름을 판단하여 보다 나은 결정을 할 수 있기란 매우 어려운 일임을 짐작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현장에서 장애인의 직업재활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직업재활종사자가 어떠한 윤리적 가치관을 가지고 어떠한 윤리적 행동을 보이는지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여 직업재활종사자의 올바른 윤리의식을 확립할 수 있는 발전적 대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윤리개념척도(Ethics Perception Questionnaire;EPQ)를 활용하여 직업재활종사자들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여섯 가지 재활윤리원칙에 따른 모의사례를 제시하여 직업재활종사자들의 윤리적 행동을 연구하였다. 나아가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윤리원칙이 무엇인지, 윤리적 갈등상황을 해결하기 위하여 가장 도움을 받는 기준과 실제로 사용하는 해결방법, 그리고 효과적인 해결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전국의 장애인종합복지관, 직업재활시설, 단체 등에서 장애인직업재활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재활종사자 161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의 방법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 12.0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자기인식(self-awareness)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편타당한 어떤 규범이 존재하여 시대와 장소가 바뀌어도 도덕은 도덕으로 남아있다고 보는 이상주의(idealism)적 가치관과 동일한 행위도 개인이나 문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타당하다고 보는 상대주의(relativism)적 가치관은 상반된 가치관임에도 연구결과 이상주의적 경향(99.4%)과 상대주의적 경향(62.7%)이 모두 높게 나타나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자기인식(self-awareness)이 다소 부족함을 증명하였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기관특성에 따른 윤리적 갈등상황의 주요대상과 해결방안에 대해서는 성별, 연령, 자격증, 경력, 윤리교육의 경험여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여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경력이 낮을수록, 그리고 사회복지사와 직업재활사 자격을 모두 가진 경우에 클라이언트 개인을 주요고려대상으로 보는 경향이 높았고, 윤리원칙을 고려한 해결방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윤리교육의 경험여부가 윤리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에서 윤리교육에 대한 경험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클라이언트 중심의 행동을 보였다. 넷째, 윤리적 갈등상황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선임자나 슈퍼바이저의 의사결정이 많은 영향을 미쳤다. 응답자의 67%가 선임자나 슈퍼바이저와 상의하거나 가까운 동료와 의논하여 갈등상황을 극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실천현장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보다 객관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원칙을 정해 두는 것은 직업재활종사자의 최선의 행동을 이끌어내는 기준이 될 뿐만 아니라 직업재활서비스를 받는 대상자에게도 유익하다. 따라서 직업재활종사자를 위한 윤리강령은 반드시 필요하며 하루빨리 제정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결론을 기반으로 앞으로는 직업재활종사자들이 윤리적인 갈등상황에서 겪는 딜레마를 최소화하고 자신만의 윤리적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윤리교육을 마련하고 나아가 직업재활종사자의 윤리강령 제정을 통해 이러한 노력이 보다 구체화되어야 하겠다.;In general, a particular job could be called a professional occupation when people who are engaged in it are knowledgeable, when there is an expert body to manage them, and when the job wins recognition from the public as what complies with the value system of society. Besides, ethical norms and unique culture are additionally called for. Likewis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should be knowledgeable to be recognized as professionals, and there should be a general consensus that job rehabilitation geared toward the disabled is in line with social values, such as freedom, equity and human rights. Above all, they should have work ethics and fulfill their every ethical responsibility. Occup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provides rehabilitation services to the disabled, who find it difficult to get or retain a stable job due to their physical or mental damage, by taking advantage of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and knowhow. Indeed, they could have a firsthand impact on the employment and lives of the disabled, and this is why their ethical responsibility is more accentuated. However, there are a lot of difficulties in job rehabilitation sector, because there are many things concerned, like employer, disabled people, relevant environments, colleagues, organization and local community, and because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are diverse. Disabled people and their environments might be put at stake, if wrong employment plans are prepared, if inappropriate services are provided, if evaluation is conducted in the wrong way, or if disabled people get the wrong post. Thus, the work eth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is so crucial, and it'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success of job rehabilitation hinges on their ethical qualities. Yet few domestic studies have ever dealt with the work ethics or behaviors of workers in charge of job rehabilitation, except some by Gang Wui-yeoung and Kim Jae-ik(1996), Lee Dal-yeop(2003) and others. As there's no code of ethics for not only job rehabilitation workers but rehabilitation experts, it's not easy for them to get a precise understanding of ethical conflict situations, make the right judgment and make the right deci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work ethics and relevant behavior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who could play a pivotal role in the occup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disabled, in an effort to help them build the right work ethics. The work ethic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was assessed by Ethics Perception Questionnaire, or EPQ, and how they behaved was evaluated by presenting a mock case based on six principles for rehabilitation ethics. And it's additionally attempted to find out what ethical principle was most prioritized in conflict situations, by what standard they tried to cope with conflict situations, in which way they actually tackled them, and what efforts they should make to bring conflict situations to settl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1 workers who were in charge of job rehabilitation at welfare agencies for the disabled, job rehabilitation centers and relevant organizations. A mail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collected data we analyzed with SPSS for Windows 12.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ople investigated didn't have a good self-awareness in relation to work ethics. Basically,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of values. One was idealism that argued there was specific universally valid norms which couldn't be altered in any situations, and the other was relativism that believed universal norms might relatively vary from culture to culture or depend on individual's mind-set. The two values run counter to each other, but the workers had both ideal(99.4%) and relative(62.7%) values, which indicated that their self-awareness wasn't rational. Second, as to the impacts of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rganizations on their view of who should primarily be considered in conflicts situations and on their choice of solutions, their gender, age, certificate, career and experience of receiving ethical education made a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view and their choice of solutions. Those who were female, younger, had a lower career and were certified both as a social worker and occupational rehabilitation specialist looked upon individual client as one who should primarily be taken into account, and those people had a tendency to adopt a solution based on ethical principles. Third, their experience to receive ethical edu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ethical behaviors. Specifically, those who had received ethical education at school behaved in a more client-centered manner than the others who hadn't. Fourth, they were under the influence of the decision making by their predecessors or supervisors a lot when they handled conflicts situations. 67 percent of the respondents discussed with their predecessors, supervisors or close colleagues to tide over difficulties. As ethical conflicts happen frequently in the field of job rehabilitation, it's needed to lay down some principles to cope with them in an objective way, which could help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deal with the given situations in the best way. Moreover, those principles could be of use to clients, and code of ethic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should urgently be established. In the future, eth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workers to face less pressure in conflict situations as much as possible and to build their own work ethics. Besides, code of ethics should be prepared as part of efforts to make it happ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