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3 Download: 0

예비 가정과 교사의 가족개념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Title
예비 가정과 교사의 가족개념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mily Concept and Value of Candidate Teachers of Home Economics Subject
Authors
이정수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천혜경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general recognition on marriage and family-related values targeting candidate teachers of home economics subject and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values, according to the variables of socio-population. To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the age, major,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and income level of candidate teachers of home economics subject were surveyed. In this study, socio-population features of each group, according to candidate teachers' majors, have been identified, and whether differences are shown in recognition on the definition and scope of family, marriage process, being parents and divorce-related values have been investigated. The study proposition is what relation exists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related variables. This paper targeted the candidate teachers who were majoring in home economics-related subjects in the colleges of education o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Capital Area. The final 242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es in this study. Frequency, average, t-test, one 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each study propositions by using the SPSS for 11.0 Window program to process the collected data.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socio-population features of the candidate teachers, the age of the group whose major was home economics education was the lowest, while the age of the groups whose majors were child, family and consumer and food nutrition were shown higher. As for educational background, many from non-college of education entered graduate schools, so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groups. Regarding religion, no religion accounted for the most, followed by Christianity and Buddhism. The most students were dedicated to only studying, and others were simultaneously conducting studying and other jobs. As for the status of marriage, many home economics education majors were unmarried, while many food nutrition majors were married. In general, significant differences by major were shown in age, educational background, religion, job and status of marriage. Secondly, candidate teachers of home economics subject counted blood relation as the most remarkably thinkable in defining family, followed by a place to find peace, then love and warmth. Regarding the scope of family, more than 90% of the respondents prescribed children, spouse, parents and siblings as family, more than 50% included parents-in laws, adopted children, grand parents, step parents, step children and step siblings, deriving from remarriage in the scope of family. Other relatives, stemming from marriage, great grand parents or higher, de factor couple, same sex couple were excluded from the family by more than a majority of the respondents. Thirdly, as a result of looking at recognition on the marriage process of candidate teachers, the opinion that getting married was better was the most, followed by don't care about getting married or not getting marred.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groups. As a result of association period before marriage, the respondents saying that more than a year of association period was desirable accounted for the most. According to major, the home economics major group said more than 2 years, the groups of child, family and consumer and garment textile said a year ~ a year and 6 months and the group of food nutrition major said they did not care about the association period. Regarding marriage motives, meeting love, for emotional and economic stability, and child birth were shown in order. Concerning sexual relation before marriage, the most opinion was it's all right, if two people were to marry,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depending on majors. Looking at the attitudes by item concerning living together before marriage,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the groups in that being sexually more satisfactory and faithful was more demanded than before and after marriage. The agreement level of the group of garment textile major was higher for the two items above than the group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child, family and consumer majors. Fourthly,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 in the meaning of being parents, according to the majors of candidate teach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in four areas: performing responsibility as a citizen, natural behavior expected from adults, acceptance of sex identity and confirmation of sexual ability and smooth couple relation and marriage life satisfaction. The candidate teachers with garment textile major showed the highest significance level by questions. Fifthly, looking at the attitudes by each factor, the most permissible attitude was shown about divorce arising from discord with relatives and spouse' infidelity behavior. Especially, the garment textile major group showed the most permissible attitude about divorce, due to a psychological emotion factor and an instrumental factor. Groups with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child, family and consumer majors showed the most conservative attitude and the group with food nutrition major showed intermediate level of agreement level. In this wa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n among groups.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fluence consciousness of divorce on children, the group of garment textile major showed a strong tendency thinking the influence would be the most negative. Sixthly,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family-related value variables, as the age was higher, they showe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s respondents ha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they did not agree to the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on the head of the family system. Meanwhile, as respondents had traditional attitude on female's job role, they were less permissible to the divorce, which arises from the psychological emotional factor and the factor of discord with relatives and the instrumental factor, and they thought negative influence of divorce on children would be large. As respondents had traditional attitude regarding the roles of men and women at home, they were less permissible to divorce, arising from discord with relatives. The differences in value, according to the majors of home economics subject, impact teaching of the objectives and contents of family life area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subject, and also impact the formation of students' values. Especially, we can see that decisive influence is imposed to the students who will lead a future family life, according to the value of a teacher on family, because the family life area has a strong value-oriented feature. Also, identifying the values of the candidate teachers who will be teachers in the future will be important foundation in setting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teacher fostering, teachers' selection and training programs.;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결혼 및 가족관련 가치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예비 가정과 교사의 연령, 전공, 학력, 종교, 직업, 소득수준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른 각 집단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가족의 정의 및 범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결혼과정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부모됨의 의미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예비교사의 전공에 따라 이혼관련 가치관에 차이가 있는가, 여섯째, 성역할태도와 관련변인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 및 수도권에 거주하면서 사범대학이나 교육대학원에서 가정과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예비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최종 242부를 연구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11.0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별로 각각 빈도와 평균, t-test, one way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가정교육 전공집단의 연령이 가장 낮았고, 아동가족소비자 집단과 식품영양 집단의 연령이 높게 나타났다. 학력은 비사범대 출신의 경우, 대학원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아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고 종교는 없음이 가장 많고 그 다음으로 기독교, 천주교, 불교 순이었다. 또 학업에만 전념하는 학생이 가장 많았고 그 외에는 학업과 다른 일을 병행하고 있었다. 결혼상태는 가정교육학과는 비교적 미혼이, 식품영양학과는 비교적 기혼이 많았다. 다시 종합하면, 연령, 학력, 종교, 직업, 결혼 상태에서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예비 가정과 교사들은 가족을 정의하는데 있어 혈연을 가장 먼저 떠오르는 항목으로 꼽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안식처, 애정, 따뜻함 순이었다. 가족의 범위에 대해서는 90%이상이 자녀, 배우자, 부모, 형제자매를 가족이라 규정하였고 50%이상은 시부모, 입양한 자녀, 조부모, 재혼으로 인한 새부모, 재혼으로 인한 새자녀, 재혼으로 인한 새형제자매였으며 혼인으로 인한 기타 친족과 증조부모, 고조부모, 동거커플, 동성애커플은 과반수이상이 가족이 아니다라고 규정하였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결혼과정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결혼은 하는 것이 더 좋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해도 되고 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견이 그 다음으로 차지하였으나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혼전 교제기간에 대한 결과로, 1년 이상의 교제기간이 바람직하다고 답한 응답자가 많았고 전공에 따라서는 가정교육 전공집단이 2년 이상, 아동가족소비자와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1년~1년 6개월, 식품영양 전공집단은 기간에 상관없다고 응답하였다. 결혼동기로는 애정충족을 위해서, 정서적 안정과 경제적 안정을 위해서, 자녀출산을 위해서의 순서로 결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혼전 성관계에 대해서 결혼할 사이라면 괜찮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나 전공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혼전동거에 대한 항목별 태도를 보면 결혼 전이나 후보다 성적으로 더 만족스럽고 성적인 충실성이 더 요구된다는 점에서 집단 간의 차이를 보였는데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가정교육과 아동가족소비자 전공집단에 비해 위의 두 항목에 대해 동의수준이 높았다. 넷째, 예비 가정과 교사들의 전공에 따라 부모됨의 의미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다음 4개의 영역 즉, 시민으로서의 책임 수행, 성인에게 기대되는 자연스러운 행동, 성정체성 수용 및 성적능력 확인, 원만한 부부관계와 결혼생활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의류직물 전공한 예비교사들의 문항별 유의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혼에 대한 태도를 요인별로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친족과의 불화와 배우자의 부정행위로 인한 이혼에 대해서 가장 허용적인 태도를 보였다. 특히, 심리정서적 요인과 도구적 요인에 의한 이혼에 대해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가장 허용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고 가정교육과 아동가족소비자 전공집단이 가장 보수적인 태도를, 식품영양학 전공집단이 중간정도의 동의수준을 보여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이혼이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식을 살펴본 결과 의류직물 전공집단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였다. 여섯째, 성역할 태도와 결혼 및 가족관련 가치관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면, 응답자의 연령이 많을수록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보였고 전통적인 성역할태도를 가질수록 호주제 위헌 결정에 동의하지 않았다. 한편, 여성의 직업역할에 대해 전통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심리정서적, 친족과의 불화, 도구적 요인에 의한 이혼에 덜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혼으로 인해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이 클 것이라 생각하였다. 또 남녀의 가정역할에 대해 전통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친족과의 불화로 인한 이혼에 덜 허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과 교사의 전공에 따른 가치관의 차이는 중등학교 가정교과의 가족생활영역의 목표와 내용을 교수하는데 영향을 미치며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도 영향을 끼친다. 특히, 가족생활 영역은 다른 영역에 비해 가치지향적인 특성이 강하므로 교사가 가족에 대해 가지고 있는 가치관에 따라 미래 가족생활을 영위할 학생들에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미래에 교사가 될 예비교사들의 가치관을 파악함으로써 가정과 교사 양성과정 및 교사의 선발과 연수 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에도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