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0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한숙경-
dc.creator한숙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2858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27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28582-
dc.description.abstractThe competitive power of the nation comes from that of education and the most important task of our education is to enhance the quality of education. Enhancing the quality of education requires the improving the quality of teachers, which needs continuous teacher training and supervision. Supervision is essentially the guidance and advice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ctivity. However, despite the importance of supervision, teachers' impression on supervision is not so good.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about school-based supervision, the degree of use and preference depending on the form of supervision. This study also aims to search the way of improving school - based supervision. For this study, documentary survey and questionnaire survey were use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with five hundred teachers of 15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Seoul and Gyeng-gi areas. Among 458 copies collected(91.6%), 448 copies were used as effective data in the analysis. The data analysis o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using SPSS for WINDOWS program.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most positive effect of school based supervision wa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related to subject instruction. And the less teachers had teaching experience, the more they wanted to improve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hrough supervision. Asked w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phase of forming conditions for school based supervision was,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on the survey chose the work load and forming physical conditions while male teachers chose motivation for supervision and strengthening the reward. The teachers also thought the most necessary thing in the stage of planning supervision was making annual plans which reflect teachers' opinions. During supervision, the enthusiasm of teachers on self-development was regarded a s the most important. The teachers who has teaching experience under five years answered that the heavy work that is not related to classes should be reduced. Teachers hoped that the subject of school-based supervision was their colleagues. They also thought that the objective of instructional supervision was to improve the way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in peer supervision was exchanging information, guiding and advising between teachers. As for self-directed supervision, the reflection of their own class with data was regarded a s the most effective way. Also, they wanted to be given some information, advice about instruction and student guidance through informal supervision in a similar degree. In sum, teachers hoped that the problems happening in their work were solved through school-based supervision. Second, the plans of school-based supervision were planned as a result of teachers' meeting and the instructional supervision was the most prevalent at school sites. Teachers thought that the supervisors of schools supervised classes conventionally without sufficient preparation and supervision was run in a formal and product-centered way. Therefore, they had negative attitude toward participating in supervision. The conference after supervision was mostly held in subject unit and the result of the conference was reflected in planning the next supervision. The teachers thought school-based supervision couldn't have a good effect on the improvement in teaching techniques because of teachers' heavy work load, insufficient time, and formal and passive attitude. Third,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variables in the survey on the preference of school-based supervision.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school-based supervision should be activated to improve teaching-learning processes. As for the inspection by principals or vice principals, the teachers had negative attitude because it gave them responsibility for preparation of the class, the feeling of being inspected, and the inspectors' lack of knowledge on the subjects. The most preferable form of school-based supervision to teachers was peer supervision because it could be carried out in autonomous and democratic atmosphere. Forth, as for developing school-based supervision in desirable way, the teachers answered that reciprocal discussion between teachers was needed in selecting the form of supervision. They also responded that instructional supervisors should monitor classes in planned way and give some democratic advice. Besides, the teachers thought peer supervision should be used actively. According to the above findings, among various form of supervision, school-based supervision which is led by the principal at school sites need to be activated. Besides, autonomy should be given to teachers so that they can choose the best suitable form depending on their styles. And principals should strive to motivate teachers and strengthen the reward. As for supervising novice teachers new to teaching, face-to-face supervision by instructional supervisors during definite period(for about 1 year) is needed for them to adapt to teaching. Moreover, a s teachers regard the activation of peer supervision a s the best way of school-based supervision, principals should show leadership so that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is established. And they should help bring both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ch teacher and development of the school through class preparation, club activity, and study group. Lastly, it is desirable that providing opportunities of training with instructional supervisors so that they have the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on their subjects and teaching profession. By doing so, encouraging teachers to participate in school-based supervision with positive views is necessary so that the quality of teachers and their instruction can be enhanced.;국가의 경쟁력은 교육의 경쟁력이고 우리 교육의 가장 큰 과제는 교육의 질 향상이라고 할 수 있다.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교사의 질을 높여주고 개선해야 하며 교사의 질 제고를 위해서는 교원에 대한 끊임없는 연수와 장학이 필요하다. 장학은 본질적으로 교육활동의 개선을 위한 지도·조언이라고 볼 수 있으며, 장학의 중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장학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은 그리 좋은 편이 아니다. 본 연구는 교내 자율장학의 운영에 대한 중등교사들의 인식과 형태별 활용도, 선호도를 알아보고, 교내 자율장학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고찰과 설문지법에 의한 조사 연구를 하였다. 설문조사는 서울과 경기 지역 15개 중·고등학교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설문지 458부(91.6%) 중 448부를 유효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 처리는 SPSS for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X^2(Chi-Square)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내 자율장학의 가장 큰 효과는 교과지도와 관련되는 교수·학습 방법의 향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교직경력이 낮을수록 장학을 통해 교수·학습 방법의 향상을 꾀하고자 기대하고 있었다. 교내 자율장학의 운영을 위한 여건조성 단계에서 가장 노력해야 할 점은 전체적으로는 업무부담과 물리적 여건 조성이라고 응답하였으며, 남교사는 장학에 대한 동기유발 및 유인책 강화라고 응답하였다. 계획단계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교사의 의견을 존중한 연간 계획 수립이며, 실행단계에서는 교사의 자기 발전에 대한 열의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직경력 5년 미만의 교사들은 수업이외의 업무경감이라고 인식하였다. 교내 자율장학의 업무를 수행해야 하는 주체가 동료교사이기를 희망하였고 수업장학의 목적은 교수 학습 지도 방법의 개선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동료장학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은 상호간에 정보를 교환하고 충고·조언하는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료를 이용한 자기수업 반성이 효율적인 자기장학 활동 형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약식장학을 통해 수업활동과 생활지도에 대한 정보 제공, 지도 조언을 비슷한 정도로 원하고 있었다. 결국 교내 자율 장학을 통해서 교사의 직무수행 중 나타나는 문제를 해결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둘째, 교내 자율장학의 계획은 교과 협의회의 결과에 의해 수립되고 있으며, 단위학교에서는 수업장학을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었다. 교내 자율장학 담당자의 자세는 사전에 충분히 준비를 하기보다는 일정에 따라 형식적으로 임하고 있으며, 의례적이고 실적위주의 운영이 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사들의 참여 태도도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학 후 협의회는 동교과 단위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협의회 결과를 차후 계획 수립에 반영한다고 응답했다. 교내 자율장학이 과중한 업무부담과 시간부족, 교사들의 형식적이고 소극적인 참여 태도 때문에 수업기술 향상에 도움을 주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내 자율장학 형태에 대한 선호도 조사에서는 교사 배경 변인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교수·학습 개선을 위해서는 교내 자율장학이 활성화되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교장·교감에 의한 수업참관에 대해서는 수업준비에서 오는 부담감, 감독 받는다는 느낌, 교장·교감의 교과에 대한 전문성 결여 등을 들어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교내 자율장학의 형태는 동료장학이었으며, 자율적이고 민주적인 분위기에서 시행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교내 자율장학의 바람직한 발전 방향으로서, 교사 상호간 협의에 의하여 장학의 형태를 선택하기 원하며, 수업장학 담당자에게는 계획성 있는 수업관찰과 민주적 지도 조언을 해주기를 바라고 있으며, 동료장학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장학의 여러 유형 중 단위학교에서 학교장을 중심으로 하는 교내 자율장학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내 자율장학의 연간계획을 수립할 때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반영하고, 본인의 특성에 적합한 장학 형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부여해야 하며, 장학에 대한 동기유발 및 유인책 강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교직에 처음 입문하는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장학에서는 교내 장학 요원을 구성하여 일정기간 동안 일대일 장학을 실시하여 교직에 빨리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또한 현장 교사들이 교내 자율장학에서 가장 발전되어져야 할 방향으로 동료장학의 활성화를 들고 있는바 이를 위하여 학교장은 동료교사들 간의 원만한 인간관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력을 발휘해야 하며, 서로 짝을 이룬 상호간의 수업연구, 동호회 활동, 스터디 그룹 등을 통해 교사의 전문적 발달뿐만 아니라, 교사의 개인적 발달, 학교의 조직적 발달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끝으로, 장학을 수행할 장학담당자 즉 장학요원들이 교과 및 교직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하여 교사들이 교내 자율장학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으로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교사의 질을 높이고 수업의 질 개선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3 C. 용어의 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장학의 개념과 특성 = 6 1. 장학의 개념 = 6 2. 장학의 기능 = 8 3. 장학의 유형 및 형태 = 10 B. 교내자율장학의 개념과 특성 = 12 1. 교내자율장학의 개념 = 12 2. 교내자율장학의 특성 = 14 3. 교내자율장학의 영역 = 16 C. 교내자율장학의 기능 및 기본과정 = 19 1. 교내 자율장학의 기능 = 19 2. 교내자율장학의 기본과정 = 20 3. 교내자율장학의 기본형태 = 24 Ⅲ. 연구 방법 = 33 A. 조사 대상 = 33 B. 조사 도구 = 34 C. 자료의 처리 = 36 Ⅳ. 연구 결과 = 37 A. 교내 자율장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 = 37 B. 교내 자율장학의 형태별 운영 실태 = 53 C. 교내 자율장학 형태에 대한 선호도 = 67 D. 교내 자율장학의 발전방향 = 76 Ⅴ. 결론 및 제언 = 82 A. 요약 및 결론 = 82 B. 논의 및 제언 = 87 참고문헌 = 90 부록 = 93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983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자율방학-
dc.subject중등교사-
dc.subject교내-
dc.title교내 자율장학 운영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the management of school-based supervision-
dc.format.pageix, 10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dc.date.awarded2003.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