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의료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실태에 관한 연구

Title
의료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실태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e of Supervision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Authors
박덕순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인영
Abstract
As the paradigm of medical sector has shifted to client-centered one from supplier-centered one, quality service is accentuated to raise user satisfaction, and such a change in medical environments calls on medical social welfare sector, which deals with the sociopsychological aspects of patients and their families, to offer more competitive services. Medical social workers work with other professionals together, and a lot of hospitals employ only a medical social worker. In some hospitals where several medical social workers serve together, they are recognized as professionals, but that's not the case for most hospitals. Therefore, medical social workers are easily likely to be exhausted or demotivated, which results in throwing their identity into confusion. There are a lot of factors to concern the expertise and identity of medical social welfare, and few domestic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supervision, one of the factors, though its importance has been highligh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state of supervision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who worked at medical institutes, and to make a comparative analysis of expertise improvement between medical social workers who were supervised and who weren't. It's ultimately meant to lay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more efficient and professional supervision system in order to assist medical social workers to improve their expertise and build their ident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every medical social worker who worked at hospitals and clinics across the nation. They numbered 335, and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responses from 169 people were gathered. The response rate was 50 percent, and 158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incomplete 11 ones. What's investigated in the study wa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ir working environ- ments, the state of supervision among them, the outlook of supervisees and supervisors on the administrative, educational and supportive function and roles of supervision, their satisfaction with supervision, problems with i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pervisee and supervisor, their working environments, the actual state of supervision, and the relationship of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supervision to their view of supervision function and role. In addition, their opinions on how much medical social workers who were supervised and who weren't improved in terms of expertise were compar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concerning the state of supervision, 63.5 percent of the subjects fulfilled supervision on a regular basis. That was universally implemented everyday, and 72.3 percent conducted it once or more times a week. As to supervision type, individual supervision was prevailing, and verbal supervision was most widespread, compared to written or recorded one. Clinical skills were mostly supervised, and 98.7 percent felt the need for supervision. As for the reason, they made the improvement of expertise a priority and regarding the question what favorable change would be brought about by successful supervision, they believed that it would make the greatest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that it will make the second greatest contribution to preventing them from being burnt out. When the medical social workers who weren't supervised were asked about the reason, a lack of supervision system was identified as the most common reason, followed by a lack of supervisors. 97.5 percent of them wanted to be supervised if there's any chances, and they found supervision most necessary to boost their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nd build their identity. Second, as for the function and role of supervision, educational function was most emphasized, followed by supportive and administrative function. Most of the supervisors considered their own performance to be on or above average, but the supervisees had a less favorable opinion on their performance. Overall, they put lower value on the supervisors who found themselves to perform better. Third,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supervision and being supervised respectively, and they expressed the best satisfaction at its effect on work efficiency and clinical skills acquisition. They considered themselves to take an active attitude toward supervision, and the most common hindrance to that was a lack of time on the side of the supervisors, followed by time constraints on the side of supervisees. Fourth, regarding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pervisees and their view of supervision function and role, those who were better educated and had a higher position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supervision,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the impact of their current work place, one of working environments, the supervisees who worked at university hospitals had a more positive opinion than those who worked at general hospitals, hospitals or clinics,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ignificant. Concerning the impact of the state of supervision, the supervisors and supervisees viewed supervision more favorably when supervision was conducted on a regular basis and more frequently, when they were more satisfied with it and when they took a more active attitude toward it.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was significant. As for supervision type, the supervisors who provided individual supervision had a more favorable outlook than the other supervisors who offered colleague supervision or supervised in a group or other way. Their opinion on administrative supervis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ifth, when the medical social workers who were supervised and who weren't were compared, the supervised medical social workers found themselves to make a better progress in expertise than the others did, and the gap between th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lo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to dynamize supervision among medical social workers : First, supervision is mandatory to enhance the professional qualifications of medical social workers. Second, supervision should be implemented on a regular basis, once or more times a week at least. Third,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should take an active attitude toward that. Fourth,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view of supervision, both groups should give and take feedback. Fifth, supervisors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take education and get training in diverse manner to take their qualifications to another level. Sixth, a sort of supervision system should be built to link medical social workers who work alone to supervisors from other organizations or experts.;의료의 패러다임이 ‘공급자 중심’의 의료 체계에서 ‘수요자 중심’의 의료 체계로 변화함에 따라 이용자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서비스의 강화가 강조되고 이러한 의료 환경의 변화는 환자와 가족의 심리ㆍ사회적 측면을 담당하는 의료사회복지분야에서도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요청하게 되었고, 그에 부응한 질적인 서비스 제공을 요구하고 있다. 타전문직들과 함께 일을 해 나가는 의료사회복지사들은 혼자서 근무하는 병원이 많이 있는데 대학병원이나 대형병원에서 여러 명의 의료사회복지사가 근무하는 곳은 나름대로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는 병원도 있지만 대부분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료사회복지사들은 소진 및 사기저하 등으로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과 정체성에 많은 혼돈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의료사회복지의 전문성과 정체성 확립을 위해 여러 요인 중 그 동안 그 중요성에 대해서는 언급이 있어 왔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실증적인 연구가 미비했던 요인이 바로 수퍼비전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에서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수퍼비전 실태를 알아보고, 또한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수퍼비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정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이고 전문적인 수퍼비전 체계확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 병ㆍ의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 335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총 335부중에서 169부가 회수되어 50%의 회수율을 보였으며, 이중 무응답이 많고 불성실한 질문지 11부를 제외한 158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조사내용으로는 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업무환경 특성 ② 의료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현황 ③ 행정적,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에 대한 수퍼바이지ㆍ수퍼바이저의 인식 정도 ④ 의료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만족도 및 문제점 ⑤ 수퍼바이지ㆍ수퍼바이저의 일반적 특성, 업무환경 특성, 수퍼비전 현황, 수퍼비전 만족도에 따른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 인식 ⑥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수퍼비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인식정도 비교에 대한 내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는 첫째, 수퍼비전의 현황에서 조사대상자의 63.5%가 정기적인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수퍼비전의 빈도는 매일 진행하는 것이 보편적 이었고, 주1회 이상이 72.3%였다. 수퍼비전 형태는 개별적인 수퍼비전이 주를 이루었으며, 서면이나 기록보다는 구두로 진행하는 방법이 가장 많았다. 수퍼비전의 내용으로는 임상기술이 가장 많았으며, 98.7%가 수퍼비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수퍼비전이 필요한 이유는 전문성 향상이 가장 우선순위로 나타났으며, 수퍼비전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발전될 면을 묻는 응답에서는 프로그램개발이 가장 우선 순위였고, 그 다음으로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소진감소로 나타났다. 전체 조사대상자 중 수퍼비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의료사회복지사들에게 수퍼비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에 대하여 알아본 결과 수퍼비전 제도의 부재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수퍼바이저의 부재로 나타났다. 또한 97.5%가 기회가 주어된다면 수퍼비전을 받고 싶다고 응답하였고, 수퍼비전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내용에 대해서는 전문성 향상 및 정체성 확립이 가장 우선순위였다. 둘째,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 인식에서는 교육적 기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지지적 기능, 행정적 기능 순이었다. 수퍼바이저들은 대부분 자신들에게 주어진 기능을 ‘보통’ 이상 ‘잘’ 수행하고 있다고 평가한 반면에 수퍼바이지들은 거의 모든 항목에서 수퍼바이저의 답변보다 낮아 전반적으로 수퍼바이저가 잘 하고 있다고 스스로를 평가하는 것보다는 더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셋째,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는 현재 주고(받고) 있는 수퍼비전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의 효율성 도모와 임상기술습득에서 가장 높게 만족을 느낀다고 하였다. 실제 수퍼비전에 임하는 자신의 태도에 있어서는 대체로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퍼비전의 장애요인으로는 수퍼바이저의 시간부족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수퍼바이지의 시간부족이었다. 넷째, 수퍼바이지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 인식에서 학력이 높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업무환경 특성에서는 현 근무지에 따른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 인식에서 수퍼바이지는 근무지가 종합병원과 일반 병ㆍ의원 보다 대학부속병원에서 근무하는 수퍼바이지가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퍼비전 현황에 따른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 인식에서 수퍼바이지ㆍ수퍼바이저 모두 수퍼비전이 정기적으로 실시될 때, 수퍼비전 빈도가 많을수록, 만족도가 높을수록, 수퍼비전에 임하는 태도가 보다 적극적 일수록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에서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퍼비전 형태에서는 개별적으로 수퍼비전을 주고 있는 수퍼바이저가 집단ㆍ동료ㆍ기타로 주고 있는 수퍼바이저 보다 더 긍정적인 인식을 하였고, 통계적으로는 행정적 수퍼비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수퍼비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비교분석한 결과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는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향상 인식정도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도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초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수퍼비전 활성화를 위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의료사회복지사의 전문성 고양을 위해서는 수퍼비전이 반드시 필요하다. 둘째, 수퍼비전은 정기적이어야 하고, 적어도 일주일에 1회 이상이어야 한다. 셋째, 수퍼비전에 임하는 태도에 있어서 수퍼바이지ㆍ수퍼바이저 모두 적극적인 자세로 하여야 한다. 넷째, 수퍼비전 기능과 역할에 대한 인식 차이를 좁히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지와 수퍼바이저가 서로 피드백을 주고받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다섯째, 수퍼바이저의 자질향상을 위해 다양한 교육과 훈련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혼자서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를 위해 다른 기관의 수퍼바이저나 외부 전문가와 연결시켜주는 등의 수퍼비전 시스템 구축이 꼭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