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7 Download: 0

Pre-ballet의 활성화를 위한 유아발레 교육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Pre-ballet의 활성화를 위한 유아발레 교육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Study on the Actual State and Activation of Pre-ballet Education
Authors
구화진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은경
Abstract
The bodily development is the most important to the babyhood,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the education for human growth. The bodily education in the babyhood stimulates the nerves of babies and facilitates the growth of them. For this reason, ballet education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education for babies because it helps them be equipped with concrete and correct physical movements. However, most of the pre-ballet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private dance training institutes by non-professional teachers, who does not provide the systematic educati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 process of infants. Such non-professional education has been increased in its quantity, but quite lack in its quality.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into the actual state of the pre-ballet education conducted in private dance training institutes and to propose schemes to activate the education. To do that, the researcher executed both documentary researches and questionnaire investigation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nd collected from 109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for more than one year in private dance training institutes located in Seoul, in order to determine the actual situation of their pre-ballet education and related problems. The questions asked to them were about their careers and qualifications, recognition of the pre-ballet education, and the actual state and problems of the education. Among the 109 questionnaires, 100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program. The results are listed in the following: First, most of the pre-ballet educators have not trained in any professional teacher's courses and, therefore, their teaching was more based on their own teaching experiences than on relevant pre-ballet educational expert models. Second, the teachers positively recognized the need for pre-ballet education and baby ballet classes and for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 classes for the students who would be professional ballet dancers and those who would not. They believed that the age between five and eight was the most appropriate time to start the pre-ballet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would be professional ballet dancers but that the pre-ballet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would not be professional ballet dancers could be started at any time. Third, the actual state of the pre-ballet education was examined. Three times of pre-ballet education was given a week to the children whose age was between five and seven, and each time ran for one and a half hours. One class comprised 16.72 students on the average and usually continued for more than nine months. The beginners were introduced directly into basic ballet classes without receiving the pre-ballet education. Most of the classes were conducted in the education center, and the preparatory steps were composed of floor training, bar training and round-off training. The floor training focused on stretching for the flexibility of the body and muscular strengthening for basic ballet movements. The bar training stressed the movements of each part of the body to promote concerted ballet movements. The round-off training was omitted in most of ballet classes. All the classes were evaluated and judged by the teachers themselves. Fourth, things to improve and activate were found out. The pre-ballet education was required to enhance ballet techniques. Pre-ballet classes for the students who would be professional ballet dancers and for those who would not were required to be differentiated, and the pre-ballet education for the students who would be professional ballet dancers should concentrate on the basic training for correct ballet techniques. The structures of the pre-ballet education conducted in private institutes should be adjusted in order to activate the pre-ballet education, and more institutions and programs should be set up to continually train the pre-ballet educators.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schemes to activate and improve the current pre-ballet education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pre-ballet education should be broken down into details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the education as the need for the pre-ballet education is being extensively recognized. Second, the structures of the pre-ballet education conducted in private institutes should be changed and improved. Third, institutions and programs should be set up to continually train the pre-ballet educators.;인간 성장발달의 과정에서 유아기는 교육적으로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아기에 있어서 움직임을 통한 교육은 신체의 움직임을 통해서 신경을 자극하고 성장을 촉진하게 한다. 이에 구체적이며 정확한 동작을 지닌 발레 교육 역시 유아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발레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설무용학원의 pre-ballet수업은 유아의 특성이나 발달에 기초한 체계적인 교수가 아닌 교사 개인의 경험에 따른 단순한 답습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며 양적으로는 확대되었으나 질적으로 개선되어야할 여지가 많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설무용학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pre-ballet수업의 현황을 살펴보고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조사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위와 같은 근거를 토대로 pre-ballet수업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서울시내에 소재하며 유아를 대상으로 1년 이상 무용교육을 실시하고 있는 사설학원의 교사109명을 대상으로 pre-ballet수업을 담당하는 교사의 경력 및 자질, pre-ballet수업의 인식, pre-ballet수업의 현황 및 개선점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후 회수된 109부의 설문지 중 100부를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발레수업을 지도하는 교사 중 대다수의 지도자들이 전문적 교사교육이 없으며 수업의 내용도 pre-ballet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모델을 사용하기 보다는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수업을 운영하고 있다. 둘째, pre-ballet에 대한 인식의 정도면에서는 긍정적인 답변을 하였으며 pre-ballet수업과 유아발레수업, 전공과 교양을 위한 수업의 차이에 필요성에 대해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을 위한 pre-ballet수업 적정기는 5-7세로 답변했으며 교양을 위한 pre-ballet수업은 연령에 상관없이 발레 수업의 이전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답변하였다. 셋째, 유아발레수업의 현황에서는 5-7세의 유아들은 주3회의 수업을 실시하며 수업 시간은 1시간 30분, 인원은 16.79명, 수업과정은 9개월 이상 지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레를 처음 시작하는 학생들은 pre-ballet수업의 과정 없이 직접 기초반 수업을 거치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은 대부분 center에서 이루어지며 준비 단계는 floor에서 신체의 유연성 발달을 위한 스트레칭과 발레 기본 동작을 위한 신체근육 강화 훈련을 강조하며, bar에서는 조화로운 발레 동작을 위한 신체 각 부분의 연습을 강조하며, 정리단계는 대부분 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그리고 수업의 평가는 학생의 수준에 따라서 교사가 개인적으로 판단,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선점 및 활성화 방안에서 pre-ballet수업의 효과로서는 발레 테크닉의 향상을 가져온다고 하였으며 전공을 위한 pre-ballet수업과 교양을 위한 pre-ballet수업의 차이성을 두어야 할 것과 전공을 위한 pre-ballet수업은 정확한 발레테크닉을 위한 기초연습을 강조해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pre-ballet수업이 활발히 이루어지기위해서는 사설학원의 수업구성의 조절이 필요하며 pre-ballet수업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pre-ballet수업을 위한 교사교육기관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pre-ballet수업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pre-ballet수업에 필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목적에 따른 pre-ballet수업의 분리가 필요하다. 둘째, pre-ballet수업의 개설을 위한 사설 무용학원의 수업구성의 변화가 필요하다. 셋째, pre-ballet수업을 위한 교사교육기관 및 연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겠다. 넷째, 수업의 내용과 목적에 적합한 명칭의 사용과 더불어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수업시간의 고려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