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고전문학 생활화 실천을 위한 메타적 글쓰기 방법 연구

Title
고전문학 생활화 실천을 위한 메타적 글쓰기 방법 연구
Authors
張世眞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기옥
Abstract
오늘날 컴퓨터 보급과 인터넷 활성화라는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말미암아, 실용성·논리 중심의 사회과학, 자연과학 분야는 급속도로 활성화되고 있는 반면, 문학·철학·역사와 같은 전통적인 학문 분야는 그 존재 기반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일상의 삶과 점차 유리되고 있는 현대 모더니즘 문학의 난해성은 일반인들이 문학으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특히 현대인의 삶과 시간적으로 단절된 고전문학의 경우, 그 위기의식은 더욱 첨예하게 드러나고 있다. 학습자들은 고전문학을 딱딱하고 어려운 것으로 여길 뿐 아니라, 심지어는 학습해야 할 필요성조차 느끼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고전문학은 물과 공기처럼 없어서는 안 될 우리 삶의 일부라는 시각의 전환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즉, 고전문학은 우리 삶과 동떨어진 과거의 무엇이 아니라, 현재도 계승되어 우리 삶 속에 살아 숨쉬고 있는 것으로 보자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의 전환을 통해, 우리는 고전을 우리의 삶과 유관한 친숙한 것으로 인식하여, 일상의 삶 속에서 스스로 즐겨 읽고 생활화할 수 있게 될 것이다. 그러나 고전문학 생활화의 교육적 필요성과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고전문학의 ‘무엇을’, ‘어떻게’ 생활화해야 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다. 게다가, 실제 학교 수업이 생활화와 유리된 지식 위주의 주입식 교육으로만 진행되고 있는 것은 고전문학 생활화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전문학을 일상의 삶과 친근한 것으로 생활화하고, 이를 삶 속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메타적 글쓰기’의 가능성을 고찰하고, 그 구체적인 글쓰기 유형과 방법을 구안해 보고자 한다. 논의의 한계상 고전문학 전 분야를 다루지 못하고, 조선시대 활발히 창작되고 향유된 가사 작품을 대상 텍스트로 하였다. Ⅰ장에서는 고전문학 생활화와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고 문제점을 살펴,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 주제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연구 방법과 대상을 제시하였다. 우선 가사 문학에 나타난 생활화의 요소를 밝히는 데 있어서는 문헌 연구를 하였고, 이를 구체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메타적 글쓰기 방법을 구안하는 데 있어서는 그 실질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 연구를 병행하였다. 연구 대상이 된 작품은 7차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 및 8종 문학 교과서에 실린 가사 작품들과 선인들의 표현문화 및 생활문화가 잘 드러난다고 생각되는 기타 작품 몇 편으로, 모두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발달 수준에도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작품들로 선정하였다. Ⅱ장에서는 고전문학 생활화 실천을 위한 메타적 글쓰기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고전문학 생활화의 개념 및 필요성, 생활화를 위한 기본 시각과 방향을 알아보고, 메타적 글쓰기의 개념 및 범주, 국어교육에서의 메타적 글쓰기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고전문학 생활화 실천을 위한 메타적 글쓰기의 필요성과 그 전제 조건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고전문학 생활화 실천을 위한 내용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작업으로, 가사 작품에 나타난 생활화의 요소를 표현문화로서의 가사와 생활문화로서의 가사로 나누어, 오늘날 되살려 생활화할 수 있는 고전문학의 가치와 덕목이 무엇인지 논의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밝힌 고전문학 생활화의 요소를 실제 삶에 적용하기 위한 메타적 글쓰기 유형 및 방법을 구안하였다. 글쓰기의 단계 및 유형은 크게 모방적 표현으로서의 글쓰기, 문제발견과 해결로서의 글쓰기, 문화생산 주체로서의 글쓰기로 나누고, 각각의 글쓰기 방법을 다시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전문학 생활화 실천을 위한 메타적 글쓰기 방법을 구안하는데 있으므로 교수학습 모형 및 과정안의 제시는 생략하고, 메타적 글쓰기의 방법 및 이것을 수업에 적용시킨 결과물과 학습자들의 반응을 제시하여 적용 가능성과 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메타적 글쓰기를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고전 문학에 나타난 당대적 삶과 표현 방식을 보다 잘 이해하게 하고, 오늘날에 유용한 가치를 살려 실제의 삶 속에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주어 고전문학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해 주고, 고전문학을 현재의 삶 속에 즐겨 생활화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geared by popularity of computer and Internet has changed our society dramatically. It has boosted such fields as sociology and science based on logic and practicality, while slowing down some classical studies including literature, philosophy and history. Meanwhile, what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for us to get closer to Modern literature is its difficulty. Especially, classical literature that is far behind our realistic world is in serious danger of collapse. In reality, students see classical literature as a work of difficulty and boredom and they don't even realize they need to learn it. Therefore, there must be a turning point that will help encourage them to learn it and make them believe that classic literature is something vital to us just like air or water. In other words, classical literature should be believed as something alive in our everyday life that must be carried on over time, not something in the past that is far away from us. This kind of turning point will lead us to recognize classical literature as something very familiar that belongs to our life and eventually enjoy it in our everyday life. Even though the importance of familiarizationof classical literaturehas been reinforced in an educational respect, the studies as to "what" and "how" we familiarize are still in early developmental stages and haven't seen much improvement so far. Besides, in reality, today's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at schools that are mainly focused on knowledge and facts makes it even more difficult. This study will focus on "meta-driven writing" that was developed as one of the methods that help approach to classic literature more easily and apply it into a daily life. Then the study will continue to show examples and its methods. Regrettably, the study will be limited to review of old works 'Gasa' in Joseon Dynasty only. Chapter Ⅰ will start with a review of several former studies that have covered familiar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and it will continue to discuss them in their subject, purpose, and problems found. Then, methodology and study approach in detail is presented. First of all, some literature documents were used in order to demonstrate the nature of livelihood presented in Gasa of classics. The application of Gasa's livelihoodinto our life was combined with some experimental studies to prove effectiveness of "meta-driven writing" Examples of Gasa for this study have been selected from Korean literature textbook in 7th curriculum and junior school's 8-grade literature class. All those works are believed to represent the reality of people's expression and their everyday lives and moreover they interest readers and develop their educational level. Chapter Ⅱ will discuss theoretical basics of familiar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and why meta-driven writing is the key. Chapter starts with an overview of concept, purpose and approaches to familiar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followed by understanding of meta-driven writing, its applications and finally its importance in a perspectiv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he demand for meta-driven writing is reinforced by these approaches and some prerequisite conditions studied at the end of chapter. Chapter Ⅲ is more focused on practical contents by covering in detail how to utilize familiar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Examples a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works of expression culture and works of living life culture. They are then discussed as to its value and morality that can be restored and brought back to our modern life. Chapter Ⅳ develops types and methods of meta-driven writing to apply livelihood factors in classics identified in Chapter Ⅲ into our daily life. As to types and approaches of writing, Chapter discusses it in detail over the three divided categories; imitative-approach writing, problem-shooting approach writing, and finally writing as an independent producer of culture. Sinc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approaches to meta-driven writing in order to practice familiariz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it is focus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meta-driven writing not based on what university professors demonstrate in their methodologies or theories but rather on the practical research conducted on real school classes experiencing this writing and its outcome based on students' response to it. This study focuses mainly on meta-driven writing, which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lifestyle and world presented in classical literature, and encourages them to appreciate virtue in it and apply it into their daily life. It will eventually make them get closer to classics, have positive thinking and finally enjoy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