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우숙-
dc.contributor.author구경숙-
dc.creator구경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2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2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250-
dc.description.abstract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학 교육, 특히 소설 교육은 이해와 감상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창작은 곧 전문가들이나 하는 것이라는 문학 신비주의적 사고에 기인한 것이다. 하지만 초·중·고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창작은 전문가의 창작과 달리 창작 경험을 확충하고, 창작을 통해 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창작을 경험하고, 창작 과정에 대한 비판적 안목을 기름으로써 문학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것이다. 문학 능력은 문학을 생산하고 소통하며 그 결과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능력을 가리킨다. 이러한 문학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문학을 생산하고 수용하는 전 과정을 포함하는 문학 교육이 되어야 한다. 또한, 소설 작품의 수용과 창작은 별개의 활동이 아니라 상호보완적인 활동이다. 감상의 수준을 높이는데 창작 경험이 도움이 될 수 있고, 창작 능력의 신장에 수준 높은 감상 능력이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소설의 완전한 이해는 창작을 통해 가능하다. 소설의 수용과 창작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에만 문학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고에서는 기존의 이해와 감상 중심의 소설 교육과 달리 수용과 창작 교육을 함께 실시함으로써 소설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높이고, 학습자들로 하여금 스스로 문학을 창작하고 향유하는 경험을 확대시켜 능동적인 문학 문화 향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소설의 수용과 창작을 통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한 후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 방법이 이전의 소설 교육과 비교하여 학생들의 소설 읽기 능력 및 소설과 소설 창작에 대한 관심 및 흥미에 얼마만큼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사전 설문 검사를 실시하였고, 소설 읽기 능력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교수-학습 전과 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교수-학습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통합 언어 교육의 성격과 필요성, 읽기와 쓰기를 통합 지도할 때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과 읽기 과정과 쓰기 과정의 공통점을 바탕으로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의 의의를 검토하였다. 또한 제 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창작 교육의 방향과 창작 교육의 의의를 통해 읽기를 통한 소설 창작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소설의 수용에서 창작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3단계의 소설 창작 지도 활동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 모형으로 구안하였다. 4장에서는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 모형을 고등학교 1학년 창작 관련 단원의 실제 교수-학습에 적용하여 작품의 수용과 창작을 통합하고, 창작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작품을 이해하기 위한 활동들을 마련하고 작가가 창작 과정에서 고민한 창작상의 문제를 중심으로 소설을 읽고, 실제 소설을 창작하도록 함으로써 소설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소설 창작 과정은 일반적인 글쓰기 과정을 바탕으로 소설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안내하였다. 교수-학습을 통해 작품의 수용과 창작 활동이 이루어진 후에는 학생들의 창작물과 소설 읽기 능력을 평가하였다. 학생들의 창작물인 소설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평가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소설 작품 평가 이외에도 소설에 대한 관심, 소설 창작에 대한 인식과 흥미도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사후 설문 검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사전 검사와 동일한 소설 읽기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5장에서는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이 학생들의 소설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소설과 소설 창작에 대한 관심, 흥미를 높이는 데에 기여하였음을 밝혔다. 또한, 일회적이고 단기간의 창작 교육이 아닌 장기간에 걸친 지도가 이루어질 때 실효성을 거둘 수 있다는 점과 교사의 창작 교육 능력 신장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Currently, school literary education, especially novel education, just aims at letting students appreciate and understand literary works, as people in general take a mysterious view of literature that literary works should be created only by professional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however, students should be educated to gain creative writing experience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literature, have a critical eye for the process of creative writing and ultimately improve their literary capability. Literary capability refers to being capable of producing literary works, communicating with others through them and sharing their outcome with others. To develop the literary capability of students, far-reaching literary education that covers both creative writing and reception should be provided. The reception of fiction and creative writing complement each other without being separable. The experience of students to write a novel could serve to let themselves appreciate literary works better, and higher appreciation ability could lead to better creative writing skills. Therefore, creative writing is the only way to have a perfect understanding of fiction, and students could improve their literary capability only when they are taught to receive and write novels at the same time. Existing fiction education leaned toward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activities, bu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sert creative writing courses in current fiction education to motivate learners to be more interested in fiction and write their own literary works in an effort to let them enjoy and benefit from literature. It's planned to construct a fiction instructional model geared toward integrating reception and creative writing, and to compare how reading-based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existing fiction education respectively affected the reading ability of students and their interest in novel and creative writing. A survey was conducted in advance to find out students' interest in novel and their perception of novel writing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reading-based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their ability to read novels was assessed to see if this type of education could bring any changes to that. Chapter 2 laid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reading-based novel writing education. To see if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would produce any significant consequences, the nature and necessity of integrative language education was discussed, and how integrated reading-writing education would affect thinking faculty also was described. And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common grounds in reading and writing process was investigated. Besides, the 7th national language arts curricula were analyzed to find out in which way current creative writing education moved ahead, to delve into the significance of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reading-based novel writing education. Chapter 3 presented a three-stage education program to encourage learners to create their own literary works, and a reading-based instruction model was constructed. Chapter 4 applied the instruction model to creative writing classes for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first year. After several types of activities were prepared to have them understand literary works properly, they were taught to figure out what gave a hard time to the authors of the given novels during their writing process, and then they were instructed to write their own works step by step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fiction. After they wrote their own works, their works and reading ability were evaluated. To make a correct assessment of their novels, separate evaluation standard was prepared, and another survey was taken to identify their interest in fiction, their way of looking at novel writing and their concern for that. And their ability to read fiction was assessed in the same way as the pretest. Chapter 5 suggested that reading-based novel writing education made a contribution to enhancing the reading ability of the learners and drawing their growing attention to fiction and novel writing. And it's stressed that in order to make this education more successful, students should be exposed to long-term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that teachers should be more competent for teaching creative writing.-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 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선행연구 검토 = 3 C. 연구내용 및 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8 A. 통합 언어 교육의 성격과 필요성 = 8 B. 읽기와 쓰기 통합 지도의 의의 = 10 C.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교육의 필요성 = 15 Ⅲ.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 모형 = 22 A.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지도 활동 = 22 B.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 모형 = 24 C.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 설계 = 27 Ⅳ. 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교수-학습의 실제 = 29 A.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 29 B. 연구 결과 및 분석 = 74 Ⅴ. 결론 및 제언 = 83 참고 문헌 = 86 부록 = 88 Abstract =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8120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읽기와 통합한 "소설 창작 훈련" 교수-학습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Reading-Based Fiction Composition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oo, Kyung Souk-
dc.format.pageⅷ,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