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화진-
dc.contributor.author조은주-
dc.creator조은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2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27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9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20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96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소통에 대한 시각을 나타내는 특징적 소재인 문을 이용한 작품을 제작하게 된 이론적 배경과 제작 방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포스트모더니즘 (Post-modernism)시대라고 할 수 있는 20세기말 이후의 미술상황을 살펴보면 작가의 죽음(원본에서 차용으로), 장르의 화해 (순종에서 혼성으로), 이야기의 부활(형식에서 내용으로), 차이의 노출(중심에서 주변으로)등 미술의 역사 전체를 뒤집을 만한 의식의 대전환이 일어났다. 궁극적인 가치개념을 부정하며 수직적 위계질서보다는 수평적인 다양성을 중시하는 다원주의(Pluralism)는 기존의 미술개념을 초월한 새로운 미술의 가능성을 제시하여 미술의 영역을 확장시켰다. 이와 관련해 현대 미술에서는 오브제의 사용이 폭넓게, 골고루 나타나고 있으며 상당히 넓은 의미로 사용되면서 어떤 오브제도 질료(質料)또는 그 자체가 예술품이 될 수 있다는 진취적 창작태도로 발전해 왔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이미지이면서 동시에 오브제 자체로서 “문(門)”을 매개로 사용하였다. 문은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많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작품들에서 문은 기본적으로 경계이자 다른 곳으로 연결해주는 소통의 통로 역할을 한다. 문은 삶과 죽음, 과거와 현재, 현재와 미래, 이상과 현실 중간에 존재하고 있다. 건축적 요소와 미술의 유기적 통합에 대해 현대미술의 흐름과 연결지어 알아보고, “문”이 건축적 요소로서 어떠한 의미와 기능을 갖는지 알아보겠다. “문”은 건축에서 사용되어지는 최소단위이며, 휴먼 사이즈(human size)이고 우리가 생활할 때 항상 드나드는 친숙한 소재이다. 또한 “문”은 다양한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림의 액자 틀의 역할과 같이 중간지대로서 존재해 왔다. 문에 의해 형성된 빈 공간은 기본적인 건축의 공간관계에 작용하는 전이적 공간(transitional space)으로 이해 할 수 있다. 이런 문을 통해 차단되어 있으나 소통되어지는, 소통하고 있으나 차단되어진 소통의 이중적 공간을 표현해 보고자 했다. 전시의 방법으로서의 설치, 장소 특수성을 이용한 작업을 통해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미술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지속되어온 전시의 한 양태인 설치는 미술작품의 개념이 완결된 ‘물체’에서 가변적인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해 주었다. 물리적, 사회적으로 구체적인 한 장소에 구속되는 작업을 통해 작품이 영구불변하는 것이 아니라 장소의 상태, 변화에 순응하게 되었다. 발견된 오브제로서의 문을 장소성을 고려한 작업을 통해 앞으로 더 큰 방향으로 나아갈 바를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This thesis tries to describe a theoretical background from which I came to produce a work by using a door, a characteristic material indicating my view of passage,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work. The so-called Postmodernism age gave rise to a great conversion of consciousness reversing the whole art history such as an artist's death(from the original to the appropriation), reconciliation between genres (from the full-blooded to the hybrid), resurrection of narratives (from form to substance), and exposure of differences (from center to margin). Pluralism denying the concept of ultimate value and attaching importance to horizontal variety rather than vertical order of ranks expanded the domain of fine art by presenting the possibility for new fine art transcending the existing concept of fine art. Contemporary art uses Objet broadly and evenly in a very broad sense. As shown in Dadaism, it has developed to take an initiative creative attitude that in any objet its material or itself can become a work of art. My work used as a medium "a door" as an image and objet itself. A door with various meanings provides us with the possibilities of talking much about it. Substantially, a door in my works plays roles basically as a boundary and passage connected to other places. It exists between life and death,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between the present and the future, and between ideal and reality. The thesis will explore how architectural elements are organically integrated with fine art in connection with the stream of modern art, and what meanings and functions "a door" has as an architectural element. "A door" is a minimal unit used in architecture, human-sized, and a familiar material through which we always go in and out in our lives. It also has various meanings, and has existed as an intermediate zone like the role of a frame for a picture. The empty space formed by a door can be understood as transitional space functioning to the spatial relation of fundamental architecture. The thesis tried to express through the door a dual space of passage including passed space despite obstruction and obstructed space despite passage. I hope that installation as a method of exhibition and works of using site-specificity will stimulate me to seek the directions to which I will proceed in the future. Installation as one aspect of exhibition which has lasted since art history began has enabled the concept of a work of art to move from a complete 'object' to a changeable 'place'. 'Site-specificity' having one limited physically and socially to one concrete place has allowed a work not to be permanent but to conform to the state and change of a place. I tried to seek a greater direction to which I will proceed in the future for a door as an object found through works in consideration of site-specific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ⅶ Ⅰ.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1. 오브제(object)로서의 문 = 4 2. 건축과 회화의 유기적 통합 = 7 3. 물체로부터 가변적 ‘장소’로의 전환 = 10 Ⅲ. 작품의 표현 내용 및 방법 = 13 1. 문(門)-중간지대로서의 ‘틀’ = 13 2. 오브제에 가해진 색면 = 15 Ⅳ. 본인 작품분석 = 19 Ⅴ. 결론 = 39 참고작품 = 41 참고문헌 = 43 Abstract = 4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6894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중적 소통의 장(場)으로서의 문(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door as a place for passage-
dc.creator.othernameCho , Eunjoo-
dc.format.pageviii, 4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