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0 Download: 0

분청사기 어문(魚文)을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Title
분청사기 어문(魚文)을 응용한 도자조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Fish Motif in the Korean Buncheong Ware for A Creative Application in Ceramic Art
Authors
조찬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분청사기는 고려왕조의 몰락을 배경으로 고려청자가 조선왕조의 건립 후 유교 및 성리학 성리학에 바탕을 두고 탄생하여 조선 백자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태동한 독특한 우리문화의 상징이라 할 수 있다. 추상적이면서도 자유분방하고 활달하게 표현된 다양한 문양들은 고려청자의 귀족적이고 장식적인 아름다움보다는 자유롭고 현대적 감각을 느끼게 한다. 분청사기의 문양 중에서 많이 등장한 어문은 본 연구자로 하여금 전통문양 속에서 살펴볼 수 있는 물고기의 다산(多産), 부귀(富貴), 출세(出世) 등의 여러 가지 상징적인 의미와 부합되어 현대도자로 표현하고자 하는 동기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분청사기의 2차원적인 어문들을 단순화하고 강조와 변형 그리고 반복을 통해 3차원적인 입체작품으로 조형화하여 도자예술로 재탄생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론에서는 먼저 전통문양에 나타난 물고기들의 다양한 의미를 알아보고 그 다음으로 분청사기에 표현된 어문들을 기법별로 나누어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이를 이론적인 배경으로 삼았다. 또한 분청사기에 나타난 어문의 이미지를 이용하여 표현한 현대 도예작품의 사례들도 살펴보았다. 조형과정에서는 분청사기 어문에 나타난 자유롭고 대담한 표현을 바탕으로 사실적 표현에서부터 본 연구자의 시각으로 새롭게 재구성하여 추상화시키는 작업을 함께 시도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제작방법으로는 자유로운 형태 표현을 위하여 코일링 기법과 핀칭기법을 사용하였고 반복 제작을 위해 석고 틀을 이용한 가압성형 방법을 택하였다. 또 판성형과 물레성형을 이용하기도 하였다. 작품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분청사기 표면 장식에 이용되었던 분장(紛莊), 상감(象嵌), 철화(鐵畵), 인화(印花)기법 등의 여러 가지 장식요소들을 사용하였다. 태토는 주로 석기질 점토와 청자토, 환원 소성시 철분 꽃이 피는 세인토를 사용하였다. 발색을 위해 일부는 초벌한 후 안료가 첨가된 테라 시질라타(Terra Sigillate)를 표면에 발라주었다. 유약은 화장토의 느낌과 테라 시질라타의 색상을 살리기 위해 투명유를 사용하였고, 단순화된 작품들은 형태의 강조를 위해 부분적으로 소금물을 바르거나 전체를 동일한 유약으로 분무해 시유하였다. 또 개별적인 특징이 두드러지는 작품에는 각기 산화물과 유약을 달리하여 다양한 색상의 효과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분청사기에 나타난 어문은 다양하고 역동적인 형태로 무한한 영감을 주고 지속적인 고찰과 조형화작업에 유용한 소재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2차원적 문양을 3차원의 현대도자로 표현함에 있어서 전통과 현대의 조화로운 세계를 가지고 창조적 형태로 나타낼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전통은 과거로부터 현재, 미래에 까지 그 사회에 속한 구성원들에게 공감을 줄 수 있는 고유한 특성을 지니면서 시대와 인간을 초월하여 영원히 존속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그래서 전통에서 나타난 문양의 형태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작품을 형상화하는 작업은 현대도자에서도 끊임없이 추구되어야하며 더 연구되어야 할 과제임을 알게 되었다.;The buncheong ware of Korea began with the collapse of the Goryeo Dynasty and following the Goryeo celadon, the buncheong developed in a period when changes were taking place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Joseon Dynasty. The buncheong ware, a distinct symbol of the Korean culture, was made in a time when Confucian beliefs and Neo-Confucian philosophy was wide spread. In comparison to the noble and decorative nature of the Goryeo celadon, the buncheong is more abstract and liberalized in its expression. It is magnanimous with a large variety of surface expressions that is both aesthetically attractive and contemporary in its appearance. As a means to create works in ceramics, an aspect of the buncheong ware was chosen for a more specific observation. For this, the study focused on the fish motif that recurs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in which the buncheong was made in Korea. The symbolic meanings behind the fish motif were first researched. History shows that it signifies fecundity, wealth and success in addition to others. In using the motif to be translated into clay, it appeared important for its symbolic meanings to be presented in today's ceramics. Hence the reason for conducting this research. In the clay work, the fish motif was first expressed in a secondary method by simply using it in a two-dimensional form. Therefore the fish motif was exaggerated and transformed on the clay surfaces. Secondly, this was taken a step further to create three dimensional expressions. Here the fish was expressed in a more abstract and a sculptural method. In the main factual research for the study, the different methods of which the fish was expressed in buncheong have been examined. These were then divided into different categories for further analysis. The analysis on the buncheong fish pattern was then put in comparison with different contemporary expressions in ceramics on the same subject. The study has concentrated mostly on the magnanimous quality of the buncheong ware in addition to its liberalized shapes. There are realistic depictions in addition to abstract transformations. The clay works were made using the coiling, pinching and press-molding techniques. Forms were made in the coiling and pinching techniques for a freer expression while the press-molding method was applied for efficiency. In addition to these, the slab-building and the wheel-throwing methods were also incorporated. With the decorative aspects of the work, the study has included a variety of different buncheong techniques such as the brushing, sang-gam(inlaying), iron brush-works, stamping and others. Most of the work was made using a stoneware clay body, celadon clay and a special clay body with iron contents. For a white surface effect, some of the works were decorated using terra sigillata. This was also mixed with different colored slips for other effects. Transparent glaze was applied on many of these surfaces while some were partially treated with salt. Different oxides and glazes were also used for versatility. The study has proven that the fish motif found in the Korean buncheong ware opened a multitude of different expressions. It is rich with information and inspiration. Therefore a continued research on the subject would bring more interesting and fulfilling results. The two different methods in translating the fish motif into clay, two-dimensional and three-dimensional studies, provided a means to combine tradition with a contemporary express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