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0 Download: 0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태

Title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 실태
Other Titles
A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Self-Inspection for Improvement of Teaching
Authors
김한솔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이
Abstract
국가의 경쟁력은 교육의 경쟁력이다. 교육이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교원의 질이 향상되어야 한다. 교원의 질이 향상된다는 것은 교원의 전문화가 이루어진다는 의미이다. 교원의 전문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수업활동의 전문화가 필요하며, 이러한 수업활동의 전문화를 위해서는 교원들의 끊임없는 장학활동이 필요하다. 이렇게 교원들의 장학활동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교사들의 장학에 대한 인식은 좋은 편이 아니기 때문에, 그 효과가 반감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비교적 교사들이 선호하며 자율의지를 가지고 있는 자기장학이 우리나라 교육현장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업 개선을 위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자기장학에 대한 인식과 자기장학의 실태, 그리고 효과적인 자기장학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학교의 개선과 교수활동의 개선에 도움을 주고, 자기장학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여 교원들의 전문화를 통해 수업을 개선하고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의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인식은 성별, 경력별, 직위별, 최종학력별로 차이를 보이는가? 2)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 활동 실태는 어떠한가? 이러한 자기장학의 실시는 성별, 경력별, 직위별, 최종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3) 초등학교 교사들이 자기장학 실시 후 실제로 학교 현장에서 수업개선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자기장학의 방법은 무엇이라고 인식하는가? 이러한 자기장학의 인식은 성별, 경력별, 직위별, 최종학력별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사대상으로 서울시내 초등학교 15개 학교의 교사 331명을 무선 표집하여, 질문지를 배부하여 조사·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윈도우용 SPS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문제 1번은 T-검정, 분산분석, 다중응답분석으로 연구문제 2번은 T-검정,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으로 연구문제 3번은 T-검정, 분산분석, 다중응답분석을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가설검증을 위한 유의수준은 α=0.1로 설정하였으며, 이상의 과정을 거쳐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 교사들의 자기장학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이었다. 이는 자기장학 활동이 다른 장학에 비해 부담이 없으며 교사들 스스로의 필요와 요구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인 것으로 보여 진다.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의 필요성에 대해서 초등 교사들은 변인에 관계없이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Likert 5점 척도에서 4.13으로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라는 응답에 가장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장학의 수행 이유에 대해서 교사들의 과반수에 가까운 47.2%가 ‘교사 자신의 교수활동에 대한 자기반성과 자기수정’이라고 응답하였으나, 직위가 부장교사이거나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일수록 ‘교사도 전문가이기 때문에 스스로 모든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다른 변인에 비해 높게 조사된 것으로 보아 직위가 부장교사이거나,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이상 일수록 교사를 전문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자기장학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중점을 두는 부분은 전체 교사의 34.1%가 ‘교수자료, 교재교구 활용 개발'이라고 대답하여 자기장학이 교사의 수업방법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준다는 인식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수업방법의 향상은 수업개선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임으로 초등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수업개선을 위해서 자기장학은 필요하며, 자기장학이 수업개선에 효과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생활지도방법‘이라는 의견도 29.1%로 학생을 지도하는 부분에도 자기장학이 큰 도움을 준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 교사의 자기장학 실태는 자기장학의 유형선호도와 참여도로 조사, 분석하였다. 초등 교사들은 자기장학의 8가지 유형 중에 ‘수업과 관련된 서적, 전문자료를 탐색·활용(인터넷 포함)’을 전체 교사의 44.4%가 응답하여 자기장학의 8가지 유형 중 교사들이 비교적 수행하기 용이한 방법을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단위학교 내에 컴퓨터의 보급으로 이러한 유형의 자기장학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기장학의 참여도는 전체 초등 교사의 37.8%가 ‘연1~2회’라고 응답하여 자기장학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에 비해 그 참여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교사들이 자기장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단위학교 내에서 여건을 마련해 주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교사들 스스로도 수업개선을 위해 자기장학을 하고자하는 의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자기장학 참여도에 있어서 그 경력이 20년 이상일수록,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일수록 ‘연4회 이상’이라는 응답이 많이 나온 것으로 분석되어 이러한 집단이 자기장학에 보다 적극적인 실천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수업개선을 위한 초등 교사의 자기장학 실태를 구체적인 유형 8가지로 분류하여 그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모든 유형 수행에 있어서 변인별로는 남교사일수록, 경력이 오래될수록, 부장교사일수록,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일수록 대체로 자기장학활동을 비교적 적극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초등 교사는 적극적인 자기장학 활동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전문기관을 방문하여 전문가와 면담’을 통한 자기장학활동과 ‘1인 1과제 연구 혹은 개인(현장)연구’와 같은 자기장학활동의 경우는 각각 초등 교사의 40.2%, 45.9%가 ‘전혀 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자기장학을 실행하는 데 교사들이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러한 유형의 자기장학은 교사들이 우리나라 학교 현장에서 여건이 갖추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자신의 수업을 녹음 또는 녹화’하거나 ‘TV, 라디오 등의 방송매체 활용 또는 비디오테이프 시청’, ‘각종 연수, 강연회, 시범수업 공개회 등의 참석’과 같은 자기장학의 유형 실태에 있어서도 적극적인 자기장학 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다. 이는 교사들이 이러한 자기장학의 방법을 잘 알지 못한 것에서 기인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는 자기장학 방법의 연수 등을 통해 활성화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학원 수강’의 자기장학활동의 경우는 전체 교사의 37.8%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여 다른 자기장학 유형보다는 그 수행 실태가 비교적 높았으나, ‘대학원 수강’의 자기장학의 경우 경제적 지원이 없기 때문에 수행하기 용이하지 않다는 의견을 보여 자기장학활동에 대한 경제적 지원도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수업과 관련하여 학생들과의 의견을 교환’하는 자기장학 유형은 Likert 5점 척도에서 3.43으로 ‘보통이다’라는 응답에 가장 가깝게 조사 되었고, ‘수업 관련 서적, 전문자료 탐색·활용(인터넷 포함)’을 통한 자기장학의 유형도 전체 교사의 41.7%가 ‘월1~2회’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수행하기에 다른 자기장학 유형에 비해 비교적 용이함에도 불구하고 그 활동 실태가 비교적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 초등 교사 스스로도 자기장학 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교사들도 교사 스스로의 내적 동기화와 함께 자기장학활동에 대한 의지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의 모형단계별 수행 실태의 경우, 그 계획 수립에 있어서는 초등 교사의 44.1%가 올해 수립한 자기장학계획이 ‘없다’고 응답하여 자기장학 계획 수립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실태는 적극적이지 않았다. 그러나 경력이 20년 이상이거나 부장교사,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인 경우에 다른 집단에 비해 자기장학에 대한 계획 수립을 비교적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장학 실천 단계에서도 교사들의 대부분은 평균 3.23으로 ‘보통이다’라는 응답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자기장학을 계획하면 실천은 하고 있지만, 적극적으로 실천하고 있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다른 변인에 비해 부장교사가 비교적 높은 실천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장학 결과협의 단계에 있어서는 전체 초등교사의 평균의 2.46으로 ‘그렇지 않은 편이다’에 가장 가까운 점수를 나타내었다. 자기장학 활동 후의 교장, 교감 또는 동료교사와의 협의회를 가지는 경우는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경 변인별로 남교사일수록, 부장교사일수록, 그리고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 일수록 결과협의를 더 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 단계인 자기장학 활동 후 활용에 있어서는 전체 교사의 평균이 3.21로 ‘보통이다’라는 응답에 가장 가까웠다. 자기장학 활용에 있어서는 변인별로 남교사일수록, 부장교사일수록,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일수록 더 잘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기장학 모형 단계별 수행 실태에 있어서는 경력 변인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지만 남교사일수록, 부장교사일수록,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일수록 더 잘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자기장학 실시 후 수업개선 효과에 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전체 교사의 33.8%가 ‘전반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였으며, 28.4%가 ‘약간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하여 자기장학 활동이 수업개선에 도움이 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변인에 따라서는 부장교사일수록, 최종학력이 대학원 재학 이상일수록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수업개선에 가장 효과적인 자기장학 유형은 ‘각종 연수, 강연회, 시범수업 공개회 등의 참석’과 ‘수업관련 서적, 전문자료 탐색·활용(인터넷 포함)’이 거의 비슷한 수준의 %로 가장 효과적인 자기장학 유형이라고 응답하였다. 이는 교사들의 선호도와 거의 일치하는 응답이었다. 변인에 따라서는 거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나, 대학원 재학이상의 집단의 경우 대학원 수강이 효과적이었다는 응답이 다른 변인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자기장학 활동을 하는데 비교적 쉽게 실행할 수 있으며, 자신들의 여건과 상황에 맞는 자기장학활동이 수업개선에 효과적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자기장학 활동을 통해서 초등 교사의 과반수에 가까운 46.0%가 특히 수업 방법(기술)이 향상되었다고 인식하였으며 수업 방법의 향상은 수업개선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교사들이 자기장학 실시 후에도 자기장학활동이 수업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섯째로, 자기장학이 수업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긴 하지만, 그 수행 실태에 있어서는 적극적이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에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선행되어야 할 과제에 대해서 초등 교사들은 ‘잡무경감조치’ ‘각종 연수에 부담 없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 마련’ ‘교사 스스로 수업전문성을 위한 자율성과 자기발전의지, 의욕의 고취’ 순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학교 현장 내에서도 교사들의 자기장학 활성화를 위해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하고, 교사들 스스로도 수업개선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국 수업개선을 위한 자기장학 활성화방안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교육행정가와 교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nd analyz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self-inspection and conditions of their self-inspection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improve the elementary school education and teaching activities through teachers' active self-inspection.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study points were set up; 1) How do elementary teachers perceive their self-inspection for improvement of teaching?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such a perception depending on teachers' sex, career length, status and academic background? 2) How much do elementary teachers make efforts for self-inspection for improvement of teaching?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such efforts depending on teachers' sex, career length, status and academic background? 3) What is the most effective way perceived by elementary teachers to improve teaching based on their self-inspection?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of such a perception depending on teachers' sex, career length, status and academic backgrou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elementary teachers had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self-inspection, probably due to the less psychological burden for the self-inspection and their need for and desire of it. Regardless of their demographic variables, elementary students felt that self-inspection would be essential for their teach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elementary teachers' preferences of self-inspection types and their participation in self-inspection, it was found that 44.4% of them preferred 'reference to and use of the books and special data about teaching' most among 8 types of self-inspection, which suggests that elementary teachers tend to rely on the relatively easy methods of self-inspection. Third, as a consequence of classifying elementary teachers' self-inspection into 8 types, it was found that male senior teachers with a longer career and an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were inspecting themselves more. However, the majority of the elementary teachers were not positively engaged in self-inspection. Fourth, 44.1% of the elementary teachers answered that they had not planned any phased model self-inspection schedule, which suggests that many elementary teachers are not positive in self-inspection plans. Fifth,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teachers felt positively for the effects of self-inspection. Senior teachers with an academic background of graduate school or higher perceived the effects more positively. The self-inspection type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teaching were 'participation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lectures and model open classrooms' and 'reference to educational books and special data including Internet data'. Sixth, in order to activate self-inspection for improvement of teaching, the most important challenge perceived by elementary teachers was 'relief of miscellaneous jobs', followed by 'free participation in various training programs' and 'autonomy, self-development and encouragement for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ir order. All in all,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elementary schools should provide the teachers with the opportunities for self-inspection and that teachers should make effort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In order to activate teachers' self-inspection, it is deemed required of both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teachers to make more effor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