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혜-
dc.contributor.author유정희-
dc.creator유정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8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8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3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316-
dc.description.abstract직장동료나 상관이 사회복지사인 일반 사회복지 조직과는 달리 사회복지를 전공하지 않고 경험하지 않은 일반 행정직 공무원 조직내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공무원에게 직장동료와 상관과의 관계는 직무만족과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적인 업무수행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직장동료와 상관과의 관계가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과 전문적인 업무수행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만을 언급하고 동료나 상관이 같이 근무하는 사회복지공무원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 그리고 원활하고 바람직한 관계형성을 위한 방향제시에 대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동료와 상관에 의한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 평가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특히 관료 조직의 특성상 동료와의 관계보다 상관과의 관계, 즉 대다수의 사회복지공무원이 근무하고 있는 일선 읍·면·동장과의 관계가 직무만족과 업무수행에 더 크게 영향을 끼친다는 판단하에 읍·면·동장이 평가하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를 중점적으로 파악하고자 하며 이와 함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능력, 직무태도, 가치관으로 설정하여 이 요인들과 직무성과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 3,510개의 읍·면·동사무소에서 500개를 무작위로 추출·선정하여 설문지를 송부하였고 253부가 회수되었으나 행정구역이 표시되지 않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10부를 제외하고 24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들의 소속기관은 읍사무소 20명(8.2%), 면사무소 93명(38.3%), 동사무소가 130명(53.5%)이며 직급은 6급이 4명(1.6%), 5급이 239명(98.4%)이었다. 성별은 남자가 238명(97.9%), 여자가 5명(2.1%)이며 연령은 30대가 1명(0.4%), 40대가 52명(21.4%), 50대가 190명(78.2%)으로 우리나라 읍·면·동장의 대부분이 30년 이상 장기 재직한 50대임을 알 수 있었다. 읍·면·동장의 학력에 있어서는 4년제 대학을 졸업했다고 응답한 읍·면·동장이 104명(42.8%)으로 가장 높았으며, 공무원으로 재직한 기간을 묻는 질문에서는 137명(56.4%)이 30년에서 40년 미만 동안 근무하여 전체 읍·면·동장의 과반수 이상이 30년 이상 장기 재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읍·면·동사무소에 근무한 기간을 살펴보면 101명(41.6%)이 1년 미만, 126명(51.94%)이 1년 이상 3년 미만으로 응답하였고 현재의 사회복지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기간을 묻는 질문에서는 116명(47.78%)이 1년 미만이라고 응답하였다. 둘째, 읍·면·동장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의식은 전체 읍·면·동장의 139명(57.2%)이 “자유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되 평등도 고려해야 한다??고 응답했으며 성장과 분배에 대한 의식을 묻는 항목에서는 86명(35.4%)이 경제성장보다 분배문제를 우선 고려하는 것에 반대를 하였고 80명은(32.9%) ??분배문제를 우선시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빈곤원인에 대한 의식을 살펴보면 전체 읍?면?동장의 127명(52.3%)이 ??개인적 이유가 다소 크지만 사회제도적 이유도 어느정도 있다??는 응답을 하였고 54명(22.2%)은 개인의 동기부족, 나태, 무절제 등의 개인적 이유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직무성과 전체평균은 4.11점으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었으며 직무성과의 5가지 하위변수 중 선정·조사 업무와, 급여제공 업무가 4.28점으로 제일 높게 평가되었으며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업무가 가장 낮은 점수인 3.90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능력 전체 평균은 4.24점, 직무태도 전체 평균은 4.04점, 가치관 전체 평균은 4.21점으로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넷째, 읍·면·동장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즉 소속기관, 연령, 학력, 재직기간, 현 근무지 재직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사회복지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기간은 1년 미만이 4.20점, 1년 이상이 4.02점으로 t값 2.455(P=0.015)로 유의수준 0.05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읍·면·동장의 자유와 평등에 관한 의식, 성장과 분배에 대한 의견, 빈곤원인에 대한 의견에 따른 직무성과 평가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직무성과와 능력1(전문지식·기술의 보유 및 발휘)의 상관계수는 0.744, 직무성과와 태도4(업무의 배분 활동)의 상관계수는 0.709, 직무성과와 가치관1(사회복지전문가로서의 가치관)의 상관계수는 0.262, 가치관2(전문직업인으로서의 윤리강령 충실도)와의 상관계수는 0.607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성과와 사회복지 의식1(자유와 평등), 의식3(평등 의식)은 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며 사회복지 의식2(성장과 분배), 의식4(빈곤 원인)는 부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일곱째,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능력(β=0.310), 직무태도(β=0.546)이며 설명력은 71.3%로 p<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반면에 사회복지공무원의 가치관과 읍·면·동장의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읍·면·동장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사회복지공무원과 함께 근무한 기간도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력, 직무태도, 가치관, 읍·면·동장의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 함께 근무한 기간 변수들의 하위요인들 중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능력 요인의 전문지식·기술의 보유 및 발휘(β=0.261), 인간관계 능력(β=0.146), 직무태도 중 상담시의 적극적 태도(β=0.116), 업무의 배분활동(β=0.211), 능력개발 노력(β=0.130),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 중 빈곤원인에 대한 의견(β=-0.075)으로 나타났으며 본 모형의 설명력은 72%이며 p< 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 이에 본 연구의 함의는 첫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 중 지역사회 자원에 대한 정보제공이나 후원자를 적극적으로 개발하여 연계·지원하는 사회복지서비스 제공 업무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기 때문에 이를 위한 사회복지공무원의 개인적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지식·기술 능력을 향상시키는 보수교육이 직무의 변화에 맞게 정기적으로 제공되어야 하며 전문적 실천능력을 갖춘 사회복지 직렬의 중간 관리자가 많이 확대되어 일선 담당자의 슈퍼바이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슈퍼바이저에게 리더십 및 인간관계, 의사소통 기술 훈련을 비롯, 예산 및 기획 등의 교육을 시켜 행정 전반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다양한 사례별 대처능력을 향상시켜 사회복지공무원들에게 바람직한 모델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공무원이 각종 워크샵이나 학회, 세미나 등에 연 몇 회 이상 참석할 경우 이를 교육점수에 반영하도록 하거나 사회복지 업무와 관련된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법 등의 제도적인 뒷받침이 필요하다. 넷째, 전문가로서의 역할 수행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한 사회복지공무원 각자의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차원에서도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교육 및 훈련방법 등이 연구되어야 한다. 즉,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 실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현행 교육·훈련 과정의 전면적인 검토를 위한 진지한 논의가 필요하며 사회복지공무원의 의견이 반영된 교육·훈련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다양한 욕구를 가진 대상자에게 그에 적합한 질 높은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공무원의 인력확충 방안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사회복지공무원의 배치기준을 현재 국민기초수급자 가구수에서 노인, 장애인, 모·부자 가정, 보육료 등 기타 복지서비스대상자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섯째, 지자체 간부 공무원들의 의식은 각 지자체의 사회복지 정책이나 방향을 결정하는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회복지에 대한 기본 개념과 가치, 윤리에 대한 교육과정을 5급 지도자 과정 중에 포함할 필요성이 있다. 일곱째,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사회복지공무원 스스로가 책임감을 갖고 좀 더 적극적으로 직무에 임해야 하며 그러한 직무 분위기를 제공해주기 위한 방법들이 강구되어야 한다. 별도의 상담실 마련이나 해외 연수기회 제공, 타 시·군·구 사회복지공무원들과의 정기적인 업무 연찬회 등이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나 현 전달체계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해서는 현재 시범 실시되고 있는 사회복지사무소가 전국적으로 확대·설치되어야 할 것이다.;This study realized the need of job performance evaluation of public social workers as a peer and a senior officer. More so, the relationship with a senior is treated rather than a peer. The relationship with leaders of Eup, Myeon, and Dong, where most of public social workers work, might have on influence on work satisfac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this fact, the study centered their work on a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orkers, which was judged by a senior. The research set up a standard of job performance concerning ability, the attitude of work, and the officers' value that have influence on judgment, as well that might find a relation between those facts and a job performance. To achieve the goal of the research, the researcher randomly sent 500 questionaires to the whole country, 3,510 and received 253 papers. And 243 papers were finally used except 10, which had insincere respon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4th to October 30th in 2004. In short, the results were: First of all, in a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the average was 4.11, the standard of ability was 4.24, the attitude of work was 4.04, and officers' value was 4.21. The result was very positive.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 difference from a job performance which was related to demography. But the working period with the public social workers statistically showed. Also there was no statistic difference from a job evaluation which was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of Eup, Myeon, and Dong. Third, when total job performance was resulted in a dependent variable, the explanation rates of regression analysis, an abilty, attitude of work, officer's value,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 working period with the public social workers and analysis was 72%, tha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on 0.001. In a variable, which influenced a total result of work, showed by owned special knowledge and skill from ability(β=0.261), ability of human relationship(β=0.146), positive attitude at the time of consultation from working attitude(β=0.116), distribution of duty(β=0.211), effort of development of ability(β=0.130), the opinion of the reason of indigence from a consciousness of social welfare(β=-0.075).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belows: First, public social workers must put forth effort to offer a social welfare collecting supporters and information about local property. Second, that people recognize themselves as specialists and need to reinforce deficiency in man power through self-support or social welfare. Further, the society needs a supervisor in the midst there. Third, to improve their specialists, serious discussion is required for full-scale investigation about the current education and procedure. The education and method that is resulted by the opinion of public social workers must be improved. Forth, ability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in accomplishing their job. For this reason, public social workers must make increased efforts to develop themsel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Ⅰ.서론 = 5 A. 문제제기 = 5 B. 연구목적 = 7 C. 연구의 제한점 = 8 Ⅱ.이론적 배경 = 9 A. 공공복지전달체계와 사회복지공무원 = 9 1. 사회복지공무원 제도의 특징 = 9 2.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 = 10 3. 공공복지전달체계의 구조 및 근무여건 = 12 4. 사회복지공무원의 전문적 역할 = 14 B. 직무성과 = 15 1. 직무성과의 개념 및 구성요소 = 15 가. 직무성과의 개념 = 15 나. 직무성과의 구성요소 = 17 2. 직무성과 평가방법 = 22 3.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4 가. 능력 요인 = 24 나. 직무태도 요인 = 26 다. 가치관 요인 = 28 Ⅲ. 연구방법 = 29 A. 연구설계 = 29 1. 연구질문 = 29 2. 연구모형 = 30 B. 연구방법 = 31 1. 연구대상 = 31 2. 변수의 정의 및 조사도구 = 34 가. 인구사회학적 특성 = 34 나.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 = 34 다. 직무성과 = 35 라. 능력 = 35 마. 직무태도 = 35 바. 가치관 = 36 3. 분석방법 = 36 Ⅳ.연구결과 및 분석 = 38 A. 조사대상자의 기술적 분석 = 38 1. 인구사회학적 특성 = 38 2. 가치차원의 사회복지 의식 = 41 3.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 평가 = 44 4. 사회복지공무원의 능력 평가 = 45 5. 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태도 평가 = 46 6. 사회복지공무원의 가치관 평가 = 47 B.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성과 평가 차이 = 48 C. 사회복지 의식에 따른 직무성과 평가 차이 = 49 D.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 50 E.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3 Ⅴ.결론 = 59 A. 연구결과 요약 = 59 B. 함의 = 64 C. 제언 = 68 참고문헌 = 69 설문지 = 72 Abst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52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subject.ddc300-
dc.title사회복지공무원의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a job performance of public social workers - Focused on leaders of Eup, Myeon, and Dong --
dc.creator.othernameYou, Jung Hee-
dc.format.pageiv,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