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실-
dc.creator김현실-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1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14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08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84-
dc.description.abstractThe effects of media violence on the delinquent behavior and violence of children and adolescent are controversial. However, a small but genuine association appears to exist between media violence and aggression or violence. At the present,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 delinquent behavior and violence has become as a way of life in their lives and a major social problem issue as well. One contributing factor to this problem was assumed negative influence of mass medi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theoretical model designed to explain juvenile delinquency by media viol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ver a period of 2 months.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943 adolescents including 707 delinquent adolescents and 1,236 student adolescents in Korea, sampled from Korean student population and delinquent adolescent population confined in juvenile correctional institutions,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ir age ranged between 12 and 18. The actual number of cases put into the analysis was 1,863 adolescents including 657 delinquents and 1,206 student adolescents. Based on the theory of differential association, social learning theory and the problem behavior theory and review of literatures, causal factors affecting the juvenile delinquency were identified and hypothetical model of delinquent behavior influencing by media violence was tested by LISREL path analysis. In this study, exogeneous variable was family dynamic environment and endogeneous variables were character of adolescent including need satisfaction/frustration, sociability,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trend,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media violence themes including the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 total of 18 instruments were used to operationalized concepts in this model. During the pilot study, all 18 instruments were assess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from the data obtained from 44 Korean adolescents using test-retest reliability and Cronbach’s α. A validation study indicated that internal consistencies for the 18 instruments which the researcher used were reliable. The one month test-retest correlation for these instruments ranged from 0.54 to 0.88.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Chi-square, correlation analysi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ovariance structural modeling. First of all, this paper intended to discrimin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their character pattern, family dynamic environment, influence of media violence themes. Inconsistency by parental child rearing patterns tended to affect delinquent behavior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On the other hand, adolescent students were consistently rearing by their parent, their parental attitude were democratic, flexible, trusting their children and reward-oriented. In comparison of both parents in the degree of influence on their children was revealed that paternal child rearing pattern was more influential on their children’s behaviors than maternal’s. The psychological instability of family, disharmonious parent-child relationships tended to be contributing to delinquent behavior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The delinquent adolescents have more depressive trend, more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the higher degree of need frustration, the more maladaptive and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than student adolescents. And the delinquent adolescents have the more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consequently also they behaved the higher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as compared with student adolescents. The 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 (LISREL) modeling process was used to find the best fit model which assumes causal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actual number of subjects got into the analysis of this model was 537 adolescents including 217 delinquent adolescents (199 boys, 18 girls) and 320 student adolescents(195 boys, 125 girls). They responded completely to all the questionnaire for 18 measurement instruments evaluating this model. For the best fit model, the author proceeded by saturating the model, that is, including an arrow for all the possible relationships between all the variables. Afterward, a progressive elimination of the nonsignificant relationships, based on the betas that did not show a p<0.05 levels, was performed; this level was chosen for reasons of parsimony since the size of sample implied many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e rusults of this analysis were as follows : (1)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itness of theoretical model to my data, Chi square and goodness of fit index were identified as Chi-square=567.8(p=0.000), df=116, x²/df=4.89, GFI=0.90, AGFI=0.85, NNFI=0.89, NFI=0.87 and RMSR=0.055. These results of Chi-square value(567.8) and lower fitness index scores did not to be fit to the best fit model which hypothesized the causal effect among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author strongly suspected that the theoretical model required some alterations to fit developmental sequences. (2) For constructing the parsimonious best fit model, the endogeneous variable, sociability among character of adolescent, as direct paths to the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was excluded in the theoretical model because of being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delinquent behavior. The parsimonious best fit model included the various constructs defin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need frustration,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depressive trend and media violence themes as direct paths to delinquent behavior. This final modified model yielded a Chi square=143.0(p=0.001), df=93, x²/df=1.54, GFI=0.97, AGFI=0.95, NNFI=0.99, NFI=0.97 and RMSR=0.029 exhibiting very definitely improved goodness of fit indices. (3)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media violence,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on juvenile delinquency were significant positively higher. Especially, the most exerting influential variable on delinquent behavior in this model was media violence themes including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However,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ociability and juvenile delinquency. Family dynamic environment also, as direct and/or indirect paths, was assumed a positive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s well as media violence themes. (4) In this study, juvenile delinquency was hypothesized to be influenced by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family dynamic environment and character of adolescent. In this connection, the results of hypotheses testing were as follows : 1. The hypothesis 1 here is that as the adolescents have to be higher extents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will be the higher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is finding in the final modified model provided powerful support by direct effect of .64 for this hypothesis. 2. The hypothesis 2 is that as the adolescents have to b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will manifest the more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and consequently they will behave the higher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this hypothesis was accepted. 3. The hypothesis 3 is that as the adolescents have to be more unstabl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ey will show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nd consequently they will behave the higher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4. The hypothesis 4 is that the adolescents who have much more frustrated to their psychological need will be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consequently they will behave highly misconduct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Accordingly available findings offered support for this hypothesis that the adolescents who had much more frustrated to their psychological need had some risk of doing an aggressive and/or delinquent behavior. 5. The hypothesis 5 is that the adolescents who have the more maladaptive personality will be not only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but also the higher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e various constructs that are defining the maladaptive personality were classified such as depressive trend,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and sociability. According to the above constructs, the 4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 5-1. The hypothesis 5-1 is that the adolescents who have the more depressive trend will be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consequently they will behave much more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the construct sampling depressive trend was the potential contributor to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or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5-2. The hypothesis 5-2 is that the adolescents who complain of much more psychosomatic symptoms will be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consequently they will behave highly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the construct defining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was indeed significantly contributor to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nd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also supported. 5-3. The hypothesis 5-3 is that the adolescents who have to be highly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and the more weak ego function will be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consequently they will behave highly misconduct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As expected, the construct defining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highly influenced upon the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nd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supported. 5-4. The hypothesis 5-4 is that the adolescents who have a lack of sociability will be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nd consequently they will behave the higher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hypothesis testing, the construct defining sociability was not sufficiently contributor to the extent of interest in a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nd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Therefore, this hypothesis was rejected. At large,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provided consistent support for this model. In summarized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media violence served as the most contributor to juvenile delinquency by direct effect of 0.64(t=0.18).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ve to be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ing impulsiveness and mode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will show the mor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e single most powerful contributor by total effect of 0.73(t=7.90) (direct effect=0.19, indirect effect=0.54) to the development of delinquent behavior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a construct defin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o be more unstabl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ey became more frustrated to their psychological need, and revealed the more maladaptive personality pattern, consequently they behaved the higher misconduct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media violence. Whereas the construct defining personality factor of adolescent was indirect contributor rather than direct contributor to delinquent behavior through the media violence themes. However, sociability of adolescent had no significant direct and/or indirect influence on delinquent behavior among adolescents. Finally, the author suggests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the theoretical model for explaining the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practically community based psychiatric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for dealing with the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in terms of the hypotheses tested in the study. ; 최근 많은 연구에서 아동의 TV 폭력물 시청과 그들의 비행행동(공격행동) 간의 인과관계를 시사하고 있다. TV, 비디오 및 컴퓨터게임 등 을 포함한 복합매체들은 청소년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왔으며 오늘날 아동. 청소년들은 과거보다 TV.비디오 시청과 컴퓨터게임 등을 접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TV에서 방영되는 범죄.폭력물 등의 시청은 이제 청소년들에게는 놀라울 게 없는 일상적인 생활의 한 부분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청소년들의 범죄.폭력물 등에 대한 올바른 비판능력과 충동성에 대한 자제력 상실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예측하기 위하여 복합연합이론, 사회학습이론 및 문제행동이론을 근거로 폭력매체와 비행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정하여 수정모형을 구축한 후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들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추출 방법은 비례층화 표본추출법(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을 적용하여 지역(서울-지방) 및 조사기관의 유형(중학교, 고등학교, 소년원, 분류심사원)을 함께 고려하여 조사대상 집단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라 서울과 지방의 2개 중학교와 2개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24개 학급학생 1,236명과 전국 11개 소년원 중 4개 소년원과 2개 분류심사원 총 6개의 소년원 및 분류심사원에 재원중인 707명의 비행.범죄청소년을 선정하여, 총 1,943명을 표집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범위는 12세에서 18세 사이에 있는 한국 청소년이었다. 본 연구에서 실제 분석에 사용된 사례는 총 1,863명(비행청소년:657명, 학생청소년:1,206명)이었다. 또한 공변량구조모형분석에 활용된 사례수는 537명(총사례수:1,863명)으로 비행청소년 217명(남성:199명, 여성:18명)과 학생청소년 320명(남성:195명, 여성:125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은 본 연구에 사용된 18개의 측정변수(설문문항)에 모두 반응한 경우이다. 자료처리는 연구자와 보조연구원들이 면담, 설문지법 및 기타 재원생활기록이나 학교생활기록 등에서 얻은 자료를 종합 검토하여 불충분한 자료를 제거하고 전산코딩 및 입력 등을 한 후에 IBM PC 컴퓨터를 이용하여 SAS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x²검정, 단순상관분석, 주성분분석 및 공변량구조모형(LISREL)등이 적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내생변수는 욕구충족/좌절, 사회성 성향, 반사회적 성격양상,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우울성향 및 폭력매체 요인 등이 포함되었으며, 외생변수에는 가정역동적 환경변수가 선정되었다. 이들 이론변수에 대한 측정변수는 모두 18개였다. 다음에는 측정변수별에 따른 학생청소년과의 비행청소년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와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측정변수별에 따라 학생청소년과 비행청소년간의 비교 분석에서 비행청소년들의 부친과 모친은 학생청소년의 부친과 모친보다 양육방식에 일관성이 없었다. 즉 부친 및 모친의 일관성 없는 자녀 양육방식은 청소년 자녀들의 비행행동에 큰 영향을 주었고, 부친이 모친보다 청소년 자녀들의 행동에 더 강력한 영향을 주었다. 반면 학생청소년들의 부친 및 모친은 대체로 일관성 있는 양육태도를 보여주었다. 비행청소년들의 가정안정도는 대체로 불안정성을 나타내었고 부모와의 관계도 원만하지 않았으며, 가족원들도 가정에 불만이 많았고, 가족원간의 관계도 원만하지 않았다. 비행청소년들의 모친은 학생청소년과 비교해 볼 때 사회활동이 적었다. 그외에 성격특성면에서 비행청소년들은 학생청소년보다 우울성향,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및 욕구좌절성향이 높고, 사회 부적응적이며 반사회적 성격양상이 높았다. 비행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관심이 높고, 폭력매체를 접하는 시간이 많았고 폭력장면을 모방하고 싶어하며 실제로 모방한 적도 많았다. 물론 비행행동도 학생청소년보다 비행청소년들이 많이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변량구조모형의 적합도는 LISREL 7.16을 이용한 공변량 구조분석으로 수집된 자료에 의해 적합성을 검정하였다. 가설적 모형 설정단계에서는 연구변수들간의 가능성 있는 인과관계를 모두 설정하여 포화모형이 이루어졌으나 p값이 0.05이상의 beta 값을 보여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의미가 없는 변수는 제거하거나 의미없는 통로는 폐쇄하였다. 이러한 분석과정에서 처음에 얻어진 전반적 지수는 다음과 같다. 즉 전반적 지수는 Chi-square=567.8(p=0.000), df=116, x²/df=4.89, GFI=0.90, AGFI=0.85, NNFI=0.89, NFI=0.87, RMSR=0.055로 이상적인 적합도를 보여주지 않았다. 가설적 모형에 대한 세부적 지수를 살펴보면 비행행동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준 변수는 폭력매체요인(β=0.64)이었다. 사회성 성향의 경우는 폭력매체요인이나 비행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미약하고 세부적 지수에서도 모형에 대한 기여도가 작아서 이 이론변수는 제거하였다. 전반적인 적합도를 증대 시키고 보다 간명한 모형을 선택하기 위해 이론적인 타당성을 고려하여 이론변수인 사회성 성향을 제거하고, 우울성향이 폭력매체요인 및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직접경로를 제거한 후 추가지수의 값이 큰 14개의 고정특징수를 자유특징수로 바꾸었다. 수정모형의 적합도는 Chi-square=143.0(p=0.001), df=93, x²/df=1.54, GFI=0.97, AGFI=0.95, NNFI=0.99, NFI=0.97, RMSR=0.029로 적합도가 크게 개선된 모형이었다. 수정모형에서의 결과를 보면 비행행동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수는 폭력매체요인(β=0.64)이었고, 가정역동적 환경(총효과 : 0.73)은 비행행동에 대한 총효과면에서 가장 큰 영향을 주었다. 특히 가정역동적 환경은 비행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β=0.19)보다 폭력매체요인을 경유하는 간접효과(β=0.47)가 월등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욕구충족/좌절 요인은 폭력매체요인이나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등의 매개 경로를 경유하여 청소년 비행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않았다. 이런점에서 폭력매체요인이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대하여 아주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검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설 1.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을수록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비행행동에 중대한 영향을 비쳤으며 그 직접적인 영향효과가 매우 커서 이 가설은 지지 되었다. 가설 2.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을수록 반사회적 성격양상이 많이 나타나고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반사회적 성격양상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반사회적 성격양상을 경유하여 비행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두드러져 이 가설은 지지 되었다. 가설 3. 가정역동적 환경이 불안정할수록 폭력개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아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가정역동적 환경이 다른 내생변수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폭력매체요인을 경유하여 비행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매우 커서 이 가설은 지지 되었다. 가설 4. 욕구좌절이 많은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아 욕구충족을 위하여 비합리적인 방법으로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욕구좌절에서 비행행동으로 하는 직접적인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욕구좌절에서 반사회적 성격양상 및 폭력매체요인을 경유하는 간접효과가 매우 커서 이 가설은 지지 되었다. 가설 5. 부적응적 성격특성을 가진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아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가설 5-1. 우울성향이 높은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아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우울성향은 폭력매체요인이나 비행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이나 반사회적 성격양상을 경유하여 폭력매체요인에 주는 영향이 매우 유의하여 이 가설은 지지 되었다. 가설 5-2.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이 높은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아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은 폭력매체요인 및 비행행동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폭력매체요인을 경유한 간접효과도 크게 나타나 이 가설은 지지 되었다. 가설 5-3. 반사회적 성격양상이나 갈등적이고 자아기능이 약한 성격양상을 보이는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아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반사회적 성격양상은 폭력매체요인 및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쳤으므로 이 가설은 지지 되었다. 가설 5-4. 사회성이 결여된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모방충동, 모방도, 관심도 및 노출도가 높아 비행행동을 많이 할 것이다. 사회성성향은 폭력매체요인 및 비행행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다. 따라서 이 가설은 기각되었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가설검정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가장 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폭력매체 요인이었고 총체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가정역동적 환경요인 이었다. 다시 말해서 청소년들이 폭력매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폭력매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고 폭력 장면을 모방하고 싶은 충동이나 실제적인 모방횟수가 많을수록 비행(범죄) 행동을 많이 하였고, 가정환경이 불안정하면 할수록 청소년들은 그들의 가정에서 파생된 욕구좌절이나 정신신체증상을 텔레비전·라디오·영화·만화·비디오등과 같은 매체를 통해서 폭력 내용물에 대한 관심과 모방충동 및 실제 모방하는 빈도가 높아져 결국 비행행동화의 경로를 밟았다. 따라서 폭력매체 요인은 청소년들이 비행행동을 야기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가정환경이나 청소년 개개인의 성격 특성들에 의해서 영향 받아 비행행동을 유발하는데 매개적 역할도 하였다. 그러나 청소년들의 우울성향이나 욕구좌절 요인은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은 주지 않았으며 폭력매체요인이나 청소년 자신의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반사회적 성격양상을 경유한 간접적인 영향만 주었다. 다시 말해서 청소년들의 우울성향이 높거나 욕구좌절이 많다고 그것 자체만으로는 비행행동화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폭력매체요인과 같은 비행행동의 매개역할을 하는 요인에 영향을 주어 증폭효과를 나타내었다. 청소년들의 가정역동적 환경은 비행행동은 물론 폭력매체요인, 청소년들의 반사회적 성격양상, 욕구충족/좌절,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및 우울성향에 모두 직·간접효과를 주었다. 다시 말해서 청소년들의 가정의 심리풍토가 불안정 할수록 청소년들은 다양한 반응을 나타내었다. 즉 청소년들이 바로 비행행동으로 직행하는 반응을 보이거나 또는 우울성향이나 정신신체증상을 호소하던가 반사회적 행동을 보이던가 아니면 이런 성격요인을 경유하여 폭력매체 장면에 노출되어 결국 비행행동화 경로를 밟게 되는 등의 반응 양상을 나타내었다. 중심단어: 폭력매체·청소년 비행·구조모형개발-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 3 3. 용어정의 --------------------------------------------------------- 3 4. 본 연구의 제한점 ------------------------------------------------- 6 Ⅱ.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 7 1. 이론적 배경 ------------------------------------------------------ 7 2. 선행연구의 방법론 및 논쟁점 -------------------------------------- 16 Ⅲ.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 및 가설도출과정 ---------------------------- 19 1.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 -------------------------------------------- 19 2. 가설도출과정 ----------------------------------------------------- 21 Ⅳ. 연구내용 및 방법 ------------------------------------------------- 25 1. 연구설계 및 질문지 구성방법 -------------------------------------- 25 2. 연구대상 --------------------------------------------------------- 25 3. 연구내용 영역 및 측정도구 ---------------------------------------- 26 (1). 가정역동적 환경 영역 ------------------------------------------ 26 (2). 개인내적 특성(성격특성) 영역 ---------------------------------- 29 (3). 폭력매체요인 영역 --------------------------------------------- 31 (4). 비행행동 영역 ------------------------------------------------- 33 4. 연구방법 --------------------------------------------------------- 37 Ⅴ. 조사결과 --------------------------------------------------------- 38 1. 비행청소년과 학생청소년의 개인내적 및 환경변수간의 차이에 대한 서술통계분석 ----------------------------------------------------- 38 (1).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 38 (2). 주요독립변수군의 주성분분석 ----------------------------------- 40 (3). 주성분변수별 비행청소년과 학생 소년간의 비교분석 -------------- 43 2. 공변량구조모형 --------------------------------------------------- 48 (1). 연구변수간 상관관계분석 --------------------------------------- 48 (2). 가설적 모형의 분석 -------------------------------------------- 50 1). 가설적 모형의 인정가능성 검토 --------------------------------- 50 2). 가설적 모형의 평가 절차 --------------------------------------- 50 3). 모형의 적합도 검정 -------------------------------------------- 51 4). 측정모형의 요인계수 ------------------------------------------- 53 5). 이론모형의 요인계수 ------------------------------------------- 57 6). 총효과 -------------------------------------------------------- 60 7). 세부적 지수 --------------------------------------------------- 61 (3). 가설적 모형 수정 ---------------------------------------------- 62 1). 수정모형의 적합도 평가 ---------------------------------------- 62 2). 수정모형의 요인계수 ------------------------------------------- 63 3). 오차변량추정 -------------------------------------------------- 63 4). 수정모형의 특징수 추정 및 효과 -------------------------------- 68 5). 수정모형의 세부적 지수 ---------------------------------------- 73 6). 가설검정 ------------------------------------------------------ 74 Ⅵ. 논의 ------------------------------------------------------------- 79 Ⅶ. 결론 및 제언 ----------------------------------------------------- 89 참고문헌 ------------------------------------------------------------- 98 영문초록 -------------------------------------------------------------109 부록1 설문지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5143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dc.title폭력매체에 의한 비행행동의 구조모형개발-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9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