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4 Download: 0

취업주부의 비용과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에 관한 연구

Title
취업주부의 비용과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에 관한 연구
Authors
김혜연
Issue Date
199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는 취업주부가 소비하는 시간, 금전, 심리적자원, 즉 취업비용과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을 밝히고, 그와 관련된 변수를 분석함으로써 주부의 취업에 있어서 가사노동의 가치가 갖는 중요성과 그에 따른 주부의 취업여부 및 취업실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업 주부와 취업주부의 자원사용 실태 및 가치인식을 비교분석하였는데, 이는 취업주부의 비용과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이 전업주부와 비교된 상대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전업주부 339명, 취업주부 313명, 총 652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빈도, %, 요인분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중회귀분석, Tobit분석, Probit분석 등의 통계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주부는 전업주부에 비해 가사노동시간은 적지만, 직장노동시간으로 인해 총노동시간은 긴 수준이며, 여가시간과 수면시간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막중한 노동부담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취업주부의 시간소비는 자녀의 특성 및 가족형태에 의해 유의한 영향을 받았으며, 직장노동시간은 직업의 종류 및 가정소득과 관계가 있었다. 둘째, 취업주부 가정의 시장재와 서비스에 대한 지출 및 주부개인의 의복비, 교통비 등의 지출비는 전업주부 가정에 비해 유의하게 많아 주부의 취업으로 인해 금전비용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총지출은 주부소득의 1/4에 해당하는 금액이었지만, 주부의 취업여부 뿐 아니라 가정소득에 의한 영향도 있었으므로 소득의 효과도 있었다. 취업 가정의 지출은 주로 자녀관리와 가정의 경제적 상태와 관련되어 있어서 가정상황에 따라 각항목의 지출비가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취업주부가 경험하고 있는 역할갈등은 전업주부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어서 취업주부의 심리적 비용이 되고 있음이 분명하게 제시되었다. 이러한 취업주부의 역할갈등은 자녀의 연령이 증가하면서 적어지는 경향이 있었고, 주부자신의 직업지위와 취업에 대한 태도 등 취업과 관련된 변수가 영향을 주었다. 넷째, 취업주부와 전업주부가 평가하는 가사노동의 가치는 거의 차이가 없었으며, 심리적인 가치평가 절하의 현상이 뚜렷하게 작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은 가정소득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주부의 계층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 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전업주부와 취업주부가 인식하고 있는 가사노동의 가치에 대해 주부의 일반적 특성과 함께 주부의 시간비용, 금전비용 및 심리적 비용은 유의한 예측변수였다. 그러나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비용 중 예측변수에는 차이가 있었으며, 동일한 변수라 할지라도 가사노동의 일반적, 주관적 가치에 대한 예측의 방향이 달랐다. 여섯째, 역할갈등의 심리적 비용은 전업주부와 취업주부 모두 가사노동의 일반적 가치인식에 대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였고, 가사노동의 주관적 가치인식은 가정소득 및 금전비용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특히 전업주부는 자녀와 관련된 가정지출이 증가하면 주관적 가치를 낮게 평가하였지만, 취업주부는 취업으로 인한 자녀관리비가 증가할 때 오히려 주관적 가치를 인식하였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취업주부의 비용이 전업주부에 비해 높은 수준이어서 주부의 취업을 제약하고, 취업주부에게 부담이 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취업주부는 이러한 자원의 부담과 그에 따른 가사노동의 가치를 객관적으로 인식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더욱이 주부의 취업은 주로 자아실현의 동기라기보다는 경제적 이유로 용인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취업주부는 자신의 시간비용과 심리적 비용은 간과하고, 금전비용을 최소화함으로써 경제적 효용을 높이려할 것이다. 따라서 주부의 취업시 가정 및 주부가 취업의 혜택과 비용 및 기회비용을 객관적으로 고려하여 주부의 선호를 반영할 뿐 아니라 가정의 효용도 도모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앞으로 취업주부의 비용과 가사노동의 가치인식을 중심으로 한 후속연구와 취업주부의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한 가정 및 사회의 노력이 계속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In recent decades, the role of wive’s earnings in keeping many families out of poverty and in improving the level of living was emphasized. But also the discussions of cost of employment caused by the dual roles were increa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information for enhancing the well-being og working wives by analysing the cost of employment and the evaluation of their household work. This is because that the employment of housewife was likely to be determined by the value of doing household work. For this purpose, the data from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that had been distributed to full time housewives and working wives were used to examine the objective cost and perception of working wives. The methods for analysing the data was gathered from 339 of full time housewives and 313 working wives were Frequency, Percentile, Facto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robit Analysis and Tobit Analysis.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otal working time of working wives was longer and their resort time was shorter than full time housewives. Also, the role conflict of working wives in contrast to full time wives was noticed. So the employment of housewives needed additional resources, namely time, money, and personal resources. 2. The factors of relation to the time cost and pychological cost were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housewives and the situation of employment, for example, age of youngest child, family type, income, the attitude to the employment, or the status of job. In contrast to the cost of time, personal resource of working wives was relatively unflexible, the money cost of working wives was different from the economic situaltion of household, the need of family members, and the arrangement of child care. In particular, as the low income families want more income from employment, the money cost will be minimal. 3. The general percetion and subjective estimation of household work was low. This is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value of household work is inclined to be devaluated by psychological evaluation rather than real value. As these evaluations, general percetion and subjective estimation, of household work were influenced by income, the economic status of housewives might be important variables. 4. The estimation of household work could be predicted using the employment cost including the variables of sleeping time, expenditures on market goods and services, personal expenditures and role conflict. But the variables related to the estimation of household work was different from between working wives and full time wives and the prediction to the evaluation of household work between general percetion and subjective estimation was not same. 5. In the case of general percetion of household work, the psycological cost, namely role conflict of housewives was influencial variable. In contrast to this, the subjective estimation of household work was influenced by income and money cost. Therefore, the evaluation of household work, furthermore, the question of whether a housewife will have a job or not, might be depended on the economic situation and traditional sex rold attitude of housewife. These findings show that substantial work-realted costs are incurred in dual-earner families and the value of household work was evaluted differently. Neverthless, it is another issue whether the working wives perceive the additional consumption of resoruces for keeping employment as cost. Also, it is questionalbe that the working wives perceive the opportunity cost of employment on the basis of the value of household work. Because of these, for aiding working wives, including full time wives who want to have jobs, the studies on the employment cost and the estimation of household work are needed continually and have to suggest the data of objective cos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