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1 Download: 0

한국가족의 집단성격과 부모자녀관계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Title
한국가족의 집단성격과 부모자녀관계에 관한 심리학적 연구
Authors
김재은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 目的 - 本 硏究는 우리나라의 父母-子女關係와 家族의 集團的 性格(family syntality)을 心理學的인 槪念과 方法論을 土臺로 硏究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父母-子女關係와 家族의 集團的 性格을 하나의 全一體로서의 家族(family as a whole)이라는 틀 속에서 다루려 하였다. 窮極的으로 이 硏究는 韓國人의 性格特徵과 行動樣式을 이해하기 위한 理論이나 說明方法을 찾아내며, 家庭의 子女養育및 家庭敎育의 指針이 될 수 있는 原理를 찾아내기 위한 硏究의 一部인 것이다. 過去의 硏究動向을 보면 父母-子女關係나 家庭環境과 兒童의 行動間의 關係를, 主로 父母→子女와 같은 一万向的 硏究設計로 다루어 왔었으나, 여기서는 父母⇔子女의 兩方向的 設計로 다루었으며, 父母와 子女의 相互作用의 結果로 생겨나는 家族의 集團的 性格(獨立變因으로도 또 中介變因으로도 볼 수 있음)에 따라 父母-子女關係가 어떻게 다른지를 檢討하려고 하였다. 이 硏究를 위한 보다 合理的인 設計를 꾸미기 위해서 이 方向의 硏究地圖를 簡單히 作成했으며, 또한 過去의 硏究成果를 槪觀·論評하였다. 이와같은 作業을 通해서 다음과 같은 다섯개의 硏究問題를 設定하였다. - 問題 - (1) 父母行動과 父母-子女關係를 主軸으로 하는 韓國家族의 一般的·心理的 特徵을 解明하며, 同時에 그 特徵을 記述해줄 方法과 道具가 妥當하고 信賴로운지를 밝힌다. (2) 父母行動을 主軸으로 하는 韓國家族은, 하나의 全一體로서 어떤 集團的 性格構造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며, 어떤 主要 構成要素로서 組織되어 있고, 그 要素들 間의 相互關係는 어떠한가를 밝힌다. (3) 우리나라 家庭에서의 家族員 相互間이 知覺하는 心理學的 意味는 무엇이며, 家族員間의 心理的 距離는 어떻게 布置되어 있는지를 밝힌다. (4) 家庭의 心理的 特徵(syntaliety)에 따라 父母·子女間의 性格및 行動特徵에는 어떤 類似性과 差異가 存在하는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5) 韓國家族의 父母-子女關係와 集團的 性格을 解明해줄 理論的 틀을 定刑化하며, 이들을 規定하고 있는 社會·文化的 또는 歷史的 條件을 밝히며, 이 兩者間의 相互關係로 밝히려 한다. - 方法 - 硏究의 方法 및 道具에 關해서 說明하면 다음과 같다. 이 硏究를 위해서 準備한 道具는 Fels PBR의 韓國改訂板인 「가정환경 진단척도」, 「대인관계 진단척도」, 「간편MMPI인성검사」, 「가족관계 진단용 SDS」등 네가지이다. 이중「가정환경 진단척도」「대인관계 진단척도」「가족관계 진단용 SDS」는 本硏究를 위해 製作된 것이며, MMPI만은 商品化된 檢査를 사용했다. 全國의 大都市, 中小都市, 農漁村에 걸쳐서 一次로 284個 家族을 標集해서, 調査者로 하여금 이들 家族에게 가정환경 진단척도를 觀察을 통해서 評定하게 했다. 評定의 結果에서 基本的으로 X, SD및 33個(실제로는 30個만) 變因間의 相互相關度를 算出했으며, 이 相關行列表에서 다시 要因分析을 하였다. 二次도 거의 같은 地域에 1年後에 다시 251個 家族을 添加해서(都合 535個 家族으로 分析했으며) 調査하였으며, 一次와 같은 方法으로 分析하였다. 그 結果로서 韓國家族의 一般的·心理的 特徵을 全體的 傾向, 地域間의 比較, 家族의 宗敎的 背景등에 따라 分析, 比較했으며, 相互相關度에서는 家族의 心理的인 特徵群을 分析했다. 要因分析을 통해서는 7~8個의 要因을 얻게 되었다. 「가정 환경 진단척도」의 再檢査信賴度는 매우 滿足스러웠으나(.769~.977), 評定者間 信賴度는 이에 比해 多少 낮은 편이었다(.632~.890). 그리고 家族槪念에 대한 意味의 分析과 그 槪念이 차지하는 意味空間을 確認하기 위해서 家族의 心理的 特徵과 集團性格 解明을 위해서 사용한 標本과는 다른 標本을 選定해서 (N=230), 이들에게 Osgood가 發展시킨 SD尺度를 실시하였다. 이 硏究에서 採擇한 家族槪念은 할아버지를 비롯한 12個 槪念이며, 尺度는 10個의 形容詞로 된 7点評定尺度이다. - 結果 - 韓國家族의 一般的인 心理的 特徵을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韓國의 中流階層家族은 뚜렷하게 偏向된 特徵이 없다. 一般的으로 家庭內에서 서로 잘 適應하고 있으며, 父母와 子女사이가 매우 密接한 關係에 있으며, 父母가 子女에게 매우 獻身的으로 대한다는 점이 가장 두드러진 特徵이다. 家庭의 雰圍氣는 비교적 適應과 調和가 이루어져 있으며, 平穩하고 安定되고 平和롭기는 하나 活氣는 없는 편이다. 父母-子女사이의 接觸이 많고 활발하며, 父母는 子女에게 穩健·柔和的이며 中道的인 態度로 대한다. 그러나 중대한 문제의 결정에 있어서는 專制的이며 嚴格하다. 訓育은 成功的인 편이나 訓育態度에 一貫性이 적고 現實主義的이다. 子女의 <養育方法과 保護> 領域에 있어서는 一般的으로 中道的이며, 중요한 문제에 있어서는 子女들을 過保護한다. 子女들에게 非難보다는 칭찬을 하는 편이나 그 칭찬이 사탕발림일 때가 많으며, 批判이나 好奇心의 만족같은 것이 適時에 이루어지지 못하여 또한 效果的으로 이루어지지도 않는다. 父母와 子女는 情緖的으로 密接한 關係에 있고, 父母는 子女들을 感情的으로 대하며, 愛情으로 子女들을 돌보기는 하나, 子女를 충분히 이해하지는 못하고 있다. 夫婦(父母)關係는 비교적 調和로우며, 父母로서의 役割遂行을 만족스럽게 느끼고 있는 편이다. 특히 子女에 대한 理解, 批判, 指示實踐의 努力, 子女에 대한 說明의 態度와 感情등과 같은 父母行動 變因과, 家庭內의 調和, 子女中心性, 父母一子女間의 摩擦과 같은 家庭內의 雰圍氣에 있어서 매우 큰 家庭差가 나타났다. 都市와 地方家族의 一般的인 心理的 特徵間에는 實質的인 差異가 없고, 다만 都市家庭이 좀더 訓育方法이 合理的이나 地方家庭은 專制的이며, 都市家庭이 指示實踐에 있어서 다구치는 反面, 地方家族은 徐徐히 하며, 都市家庭이 좀 더 批判的인 反面, 地方家庭이 批判하지 않는 편으로 나타났을 뿐이다. 그리고 夫婦間에도 都市家庭이 相互適應이 잘 되어있는 편이다. 家族의 宗敎的 背景에 따라서 家族의 心理的 特徵에는 顯著한 差異가 나타났다. 佛敎家庭이 다른 家庭에 비해 잘 適應되어 있고, 家族間에 調和도 잘 되어 있다. 宗敎가 있는 家庭이 없는 가정에 비해 罰이 엄격하고 子女를 지나치게 돕는 편이며, 또한 夫婦間이 愛情的이며, 相互 잘 適應되고 있으며, 父母로서의 役割을 만족스럽게 遂行하고 있다고 느끼고 있다. 宗敎 家庭은 無宗敎 家庭에 비해 訓育方式이 分明하며, 佛敎家庭은 基督敎 家庭에 비해서 開放的이며, 無宗敎 家庭에 비해서는 訓育이 成功하고 있고, 또 指示도 많고, 子女에게 批判的이다. 韓國家庭의 父母-子女關係의 一般的 特徵은 父母들의 態度가 愛情的이며 親密하다. 訓育은 現實主義的이고 또 中道的이다. 家庭의 雰圍氣는 비교적 調和로우나 子女들을 理知的으로 理解하고, 好奇心을 만족시켜줄 方法에 대한 관심이 부족한 듯하다. 이를 要因構造의 次元에서 綜合하면, 父母는 子女에게 專制的인 統制보다는 다소간 民主的으로 지도하는 편이며, 家族들끼리는 퍽 和睦한 편이다. 子女의 訓育이나 統制에 있어서 嚴格하거나 許容的이 아니다. 父母는 子女에게 극성스럽거나 放任하지 아니하며, 子女들을 客觀的인 態度로나 主觀的인 態度로 다루지 아니한다. 이 점에서 매우 中道的인 態度를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家庭은 다소 進取的인 편이다. 韓國家族의 心理的 構造의 分析을 위한 硏究의 一部로서 特徵群(syndrome)을 分析하였는데,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二次에 걸친 特徵群의 分析에서 3個의 主軸 特徵群과 3個의 副次 特徵群이 確認되었다. 3個의 主軸 特徵群은 家庭의 和睦, 父母의 許容的 態度, 父母一子女間의 親愛의 3個이다. 副次的 特徵群으로는, 嚴格한 態度, 잔소리, 過保護의 3個이다. 이 3個의 主軸 特徵群은 韓國家庭의 心理的 構造의 簡便分析 方法으로서, 要因分析에 의해서 抽出되어질 要因構造에 비해 簡單하고 便利한 類目들인 것이다. 이 3個의 特徵群을 다시 서로 類關表를 만들어 相互關聯을 지으면, 다른 3個의 中間的 特徵群이 나온다. 卽 親和-分裂, 溺愛-拒否, 溫和-硬化의 3個 特徵群이다. 따라서 이 여섯개의 特徵은 韓國家庭의 心理的 構造를 이룬 主要 要素들이며, 要因分析에 의해 밝혀진 7個要因의 說明을 더욱 豊富하게 해준다. 특히 特徵群間의 類關表에서 確認된 矛盾·不一致 또는 混合型의 可能性에 關해서는, 韓國의 傳統的 家族機能 또는 韓國人의 性格特徵으로 解明해 보았다. III章에 이어 家族의 心理的 構造를 이루고 있는 基本的인 構成要素를 確認하기 위해서 30個 變因이 抽出되었다. 一,二次分析사이에는 構成에 差가 多少間 있으며, 要因 負荷符號가 正·負로 뒤바뀐 것이 2個 나타났다. 이것으로 一次 家族集團의 心理的 構造의 差를 읽어낼 수 있다. 一次分析에서는 家庭의 和睦, 父母의 許容的 態度, 父母一子女間의 葛藤, 放任, 民主的, 指導, 家族의 進取性, 父母一子女間의 調和, 父母의 大凡한 態度의 8個가 抽出되었고, 二次에는 專制的 統制, 許容的 態度, 극성, 父母一子女間의 葛藤, 家庭의 和睦, 父母의 客觀性, 家庭의 進取性의 7個이다. 이 결과는 앞의 特徵群과 結付시켰을 때, 가정의 和睦-不和, 許容-嚴格한 태도, 父母-子女間의 葛藤-親愛 또는 專制的-民主的 指導, 放任-극성의 다섯가지 차원이 韓國家庭의 特徵構造의 가장 重要한 要素가 아닌가 생각된다. 이 다섯가지 次元이 變量도 비교적 크고, 變量의 크기의 순서로도 다섯번째 까지이며, 特徵群 分析에서 얻은 세개의 特徵群과도 一致하는 要因들이다. 韓國의 家族槪念에 대한 語意分析을 한 결과, 女性을 表示하는 槪念이 男性槪念보다 높은 評價 尺度点을 받고 있으며, 卑屬이 尊屬보다 높은 評價尺度点을 얻었다. 할아버지만은 中立点에 가깝고 다를 家族員槪念은 모두 正的 方向으로 높은 點數를 받았다. 力能要因에서는 男性이 뚜렷이 女性보다 優位에 있으며, 手上家族員이 手下家族보다 뚜렷하게 더 높이 評價되고 있다. 出嫁外人이 될 女性家族員의 點數가 낮고, 오빠가 가장 높은 點數를 받았으며, 딸이 가장 낮은 點數를 받았다. 活動要因에서는 女性이 男性보다 높은 尺度点을 받았다. 딸과 어머니가 가장 높고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가장 낮다. 意味空間안에서의 家族槪念間의 距離를 보면, 6極과 4 cluster가 있다. 즉 어머니, 아버지, 할머니, 할아버지, 누나, 남동생의 6極이 있으나 할아버지와 할머니는 cluster를 이루지 못하고 單獨으로 極을 이루고 있다. 家族中 서로 가장 먼 距離에 있는 家族員은 할아버지와 딸이고 그 中間地点에 할머니가 있어서, 할머니는 누구에게나 가장 가까운 存在이다. 韓國의 家族槪念은 주로 力能의 次元에서 認知되고 있으며, 評價次元에서는 가장 弱하게 認知되고 있다. 여기서 男性-女性槪念과, 手上, 手下가 뚜렷이 分化되어 있다. 아버지와 오빠가 가장 뚜렷한 의미를 가진 槪念이며, 할아버지, 할머니가 가장 不明한 槪念으로 나타났다. 8個 家族 集團性格에 따른 家族員의 性格및 行動特徵의 類類性및 差異를 分析한 결과는 대략 다음과 같다. 우선 各 集團性格 次元을 尺度値의 프로필에서 上·中·下의 3個 類型으로 나누고, 이 3個類型間의 特徵을 比較하였다. 그리고 한 集團性格 次元과 다른 次元의 類關表를 만들어 그들 間의 相關關係도 檢討하였다. 여기서 24個의 類型(8x3)과 28個의 類關表(8x7÷2)가 만들어졌다. 韓國家庭의 心理的 特徵을 類型別로 검토한 결과, 約 半數의 家庭이 中間型의 家庭으로 分類되어 나왔다. 이것은 家庭의 雰圍氣, 자녀統制方法, 訓育, 父母의 態度등에 있어서 어느 한쪽 極端으로도 偏向되지 않고, 中道的이거나 不一致한 경우를 말한다. 4分의 1의 家庭이 民主-專制중의 어느 한쪽에 속하며, 和睦하거나, 保守的이거나, 극성스럽거나, 夫婦가 不調和한 家庭이며, 3分의 1의 家庭은 放任型이거나 夫婦關係가 調和롭다. 한 集團性格 次元의 세 類型은 다른 性格次元의 세 類型과 正相關이 있으나, 中間型은 다른 性格次元의 正·負類型과는 關係가 거의 없다. 民主的 家庭의 家族員은 性格이 비교적 健全하나, 專制的 家庭은 家族員이 性格上의 문제가 비교적 많다. 和睦한 家族은 性格上의 문제가 적은 반면, 不和한 家庭은 家族員이 모두 다소, 神經症, 精神病的 傾向에로 異常的인 反應을 보인다. 그러나 大體로 中間型家庭에는 두드러진 문제가 없다. 民主的 家庭은 子-女間에 同一化가 있으며, 專制的 家庭에서는 父-子와 母-女間에 强한 同一化가 일어나고 있다. 화목한 家庭에는 同一化가 크게 보이며, 不和한 家庭에서는 父母, 子女간에 同一화가 보인다. 극성스러운 家庭은 同一化가 일어나지 않으며, 放任하는 家庭은 父-子,母-女間에 同一化가 보인다. 中間型 家庭은 대체로 뚜렷한 傾向이 없다. 要因分析을 통해서 家族員間의 cluster를 確認한 결과 1~5個의 要因이 抽出되었는데, 여기서 뚜렷한 事實은 대체로 父·子는 뚜렷한 要因으로 나왔고, 女는 二重構造(要因의 중첩)를, 母는 擴散的인 性格으로 나타났다. 家族員의 對人行動上의 特徵으로 보면, 民主的 家庭은 非支配的이며, 中間型家庭과 專制的 家庭은 支配的인 것으로 나타났다. 和睦한 家庭과 中間型 家庭도 父母는 多少 支配的이다. 民主的 家庭은 行動에 있어서 父-母, 母-子간에 同一化가 일어나고 있으며 專制的 家庭에서는 子女에 대한 父母의 영향력이 크고, 中間型 家庭은 家族員 全體가 同調行動을 보였다. 和睦한 家庭은 父-母, 父-女間에 同一化가 보이며, 不和한 家庭은 父-子, 父-女間에 同一化가 보인다. 中間型 家庭은 母子만이 同一化가 일어나고 있다. 극성스러운 家庭은 母-子間, 放任하는 家庭에는 父-子間에 同一化가 있다. 中間型 家庭은 대체로 全員의 同調行動을 볼 수 있다. 行動樣式에 있어서는 1~2個의 要因이 抽出되었는데, 民主的 및 中間型 家庭에서는 母의 要因 負荷가 뚜렷하며, 專制的 家庭에서는 父母-子女로 二元構造로 分化되었으며, 和睦한 家庭은 子와 基他家族員으로, 不和한 家庭은 單一要因으로, 中間型家庭은 父가 中心이된 單一要因으로 극성스러운 家庭은 父子, 放任하는 家庭은 父女가 中心이 되고 있다. 中間型 家庭은 單一要因이다. -考察- 本 硏究에서 밝혀진 사실이난 淨刻된 문제를 考察하기 전에 本 硏究의 몇가지 制限点을 밝혀두어야 겠다. 첫째는 對象家族은 한국의 全家族母集團을 대표할 수 잇는 標本이 아니란 점, 둘째는 家庭의 物理的·經濟·社會的, 文化的 變因들은 다루지 않았다는 점, 셋째로 對象 家族을 核家族으로 單純化했다는 점, 넷째는 父母나 子女의 心理·社會的 變因은 다루지 않았다는 점, 다섯째로 父母子女의 行動·性格을 局限된 몇가지 領域에 제한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밝혀진 다음과 같은 사실에 관한 考察 하였다. (1) 家族 雰圍氣의 調和와 和睦이 韓國家庭의 매우 중요한 特徵으로 되고 있는데, 이것을 閉鎖的인 家族主義의 所産이라고도 보겠으나, 子女들의 情緖的 安定感 또는 퍼스날리티의 安定을 이해서는 바람직하며, 人格的 適應에 유익한 환경조건이 될 수 있다. (2) 家族의 集團性格중 중요한 次元은 民主的 指導냐 專制的 統制냐, 和睦하냐, 不和하냐에 있고, 이것이 韓國의 各己 家族의 性格을 좌우한다고 보겠다. (3) 父·母의 役割일 分化되어 있고, 家族員 相互間은 和睦하고 調和되어 있으나, 家族 中心的이기 때문에, 家族外의 共同體(同族除外)와는 閉鎖的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4) 父母-子女關係및 家族의 心理的 構造는 韓國의 傳統的인 文化樣式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地域間의 차이보다 宗敎的 背景間의 차이가 큰 것으로, 地域이란 사실상 같은 母集團에 속해 있으며 공통된 文化圈에 속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都鄙를 막론하고 아직도 傳統的인 家族價値觀과 態度등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5) 父母의 子女養育 態度와 統制方法의 中道的 경향을 考察했는데, 이것은 父母의 態度가 尺度의 兩極中 어느 한쪽으로 偏向되지 않고, 中間地帶를 占하고 있는 現象을 말하는 것이다. 家庭은 平穩하고 안정되어 있으나 활기가 없고, 家庭內의 調和, 規律에 대한 父母의 態度, 罰, 指示, 指示實踐의 노력, 보호의 정도등도 대체로 中道的이다. 이것은 父母의 태도가 모호하거나, 우왕좌왕하는 변덕이거나, 아니면 中庸之道로 해설할 수도 있다. 本 論文에서는 이것을 現實主義的 態度와 中庸之道로 해석했다. (6) 父母-子女사이가 親密하고, 父母가 子女를 愛情으로 대하나 子女를 客觀的으로 이해하거나 그들의 知的 好奇心을 만족시켜주지 못하는 것은, 父母가 子女를 理知的으로 다루지 못하고 感情的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라 해석된다. (7) 한국부모는 價値觀, 態度, 意識構造, 行動에 있어서 二重構造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價値와 行動, 自己家族과 他家族, 自己子女와 他人의 子女, 言表와 意思 決定등에서 二重性을 가지고 잇다. 이것은 家族主義的 영향과 態度의 不明確性등이 뒷받침되고 있다. (8) 家族員의 心理學的 分化現象을 보면, 父權的 男性 優位的 男兒尊重的 경향을 보였으며, 어머니와 딸은 擴散 내지 二重構造를 보였다. 이것은 儒敎 傳統에서 온 男尊女卑, 祖上崇拜, 孝思想, 家門繼承 思想과 같은 영향에서 온 것이다. (9) 어머니 要因의 擴散, 浸透現象은, 個性없는 忍從의 化身으로서가 아니라, 家族員의 性格特徵속에 浸透되고 있는 현상으로 본다. (10) 家族員間의 同一化現象을 보면 父-子, 母-女의 同一化가 많으나, 性格에 있어서는 어머니와의 同一化가 많은 것은 흥미있는 現象이다. 다음으로, 위와 같은 硏究결과와 고찰을 토대로, 父母-子女關係 理論化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세가지 命題를 제시한다. (1) 父母-子女關係란 認知와 情意性에 있어서 未分化된 縱的인 非二元的 關係이며, 또한 共生的 關係다. (2) 父母-子女關係란, 家族, 集團內에서 複雜 多岐 하게 작용하는 力學的 束의 總體的인 關係에 의해서 결정되어 진다. 그리고 父母-子女間의 相互關係 또는 內部構造를 이해한다면 家族의 集團性格을 알 수 있고 또 그 逆도 眞實이다. (3) 父母-子女間의 關係는, 父母의 연령에 수반되는 諸能力및 發達課業과, 子女의 연령에 수반되는 諸能力및 發達課業간의 函數關係에 있다. 父母-子女關係의 발전은 保護-依存, 權威-服從, 支配-被支配, 他律-自律과 같은 縱的 關係의 持續的인 발전이지만, 이 兩極間의 力學은 父母의 老衰와 함께 逆關係로 발전될 수도 있고, 그것이 交叉되는 時期에 가서는 牽制關係나 反目의 關係가 될 수도 있으며 深刻한 敵對關係가 되기도 한다. 그것이 韓國的 文化樣式속에서는 돌보기-기대기,다루기-맞추기에서 기대기-돌보기, 기대기-모시기의 關係로 發展되며, 父母들은 老後나 死後까지도 子女에게는 權威로서 남아있게 된다. ; - Introduction - This study aims at studying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group syntality of Korean family on the basis of psychological conceptualizations and methodologies. In present study,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amily syntality were treated within the frame of family as a group and family as a whole. Ultimately this study is a part of larger program of research focusing on theorizing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patterns of Korean people and also a part of research interests searching for practical guidelines in child rearing and home education. In the past, most researches relating to parent-child relationships or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variables ad children s behaviors have been conducted with one way rather two way research design which included mutual influences rather parents effects upon child s personality ad behavior. But present study have been proceded on the presupposition of two way design which included interaction and reciprocity between parent and child. The mutuality between parent and child was regarded as a most important frame of reference in clarifying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family syntality in the present study. Parent-child relationships vary according to the family syntality resulting mainly from parental behaviors and child s responses to them and vice versa. Research map was drawn and literatures were reviewed for clarifying the contextual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problems. - Problems - Present study included five major research problems. They are (1) to find out gener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in Korean famil, and at the same time,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thods and tools for describing those characteristics, (2) to find out the syntality structure of Korean family as a whole, and find out the interrelations among the elements of that syntality, (3) to understand semantic meaning of "family member concepts" perceived by family members and to clarity configurations of family concepts in semantic space, (4) to identify similarities or differences of personality and behavior patterns among family members according to the family syntality, and (5) to formulate theoretical frames for explaining characteristics of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syntality of Korean family. In addition to that, present study aimed at clarifying socio-cultural and historical determinants which regulate those relationships and syntality. - Methods - Following are the descriptions of methods and tools applied in the present study. For investigating the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family syntality, Fels PBR Scale was applied after meticulous version and experimentation in order to have it adjusted to Korean cultural context. MMPI and Interpersonal Behavior Scale were used for identify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personality and behavior patterns among family members.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meaning of "family member concepts", SD of Osgood was adopted after experimental tryout. Out of those four scales, IPB Scale, Korean-revised Fels Scale, and SD were purposely developed for present study, but MMPI only was a commercial form. Sampling design was as follows. The samples were 284 families across the whole country covering metropolitan area, middle city, farms and fishing villages. Those families were supposed to belong to the middle or middle-upper classes. Korean Fels PBR was applied to those families by trained observers and interview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erms of profile of individual family, mean and standard devation as a group, and correlations and factors as parameters. A year after, same procedures were repeated to another 251 families to check the differences or variability of family characteristics along the temporal sequence. Final analysis was made with all the samples including first and second samples(N=535) as well, and same procedures of analysis were applied. Based on the central tendency and variability on the Fels Scale, general and differenti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y were described in terms of population and subgroup traits like locality and religions. From correlational analysis, dimensions and patterns of family syndrome and syntality were identified. The retest reliabilities of Fels PBR were as high as .769-.977 according not variables included in that scale and interrater reliability were as high as .632-.890. For studying the meanings of "Family member concepts," SD Scale was constructed specifically for this study following Og s text. The scale included 10 adjectives rating scales to test the 12 family member concepts. - Results - Following are the summary of gener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 families. (1) Families of middle or upper middle class(here, simply expressed as "Korean family") do not reveal any deviated characteristics to extremities. They have members well adjusted each other. Parent and child are in a close relationship and parents clearly accepts their child. The home atmosphere is relatively peaceful and harmony, but devoid of vitality. Contacts of parent with child are extensive and vigorous. Parental attitudes toward their child is moderate and mild, and are characterized as mid-way philosophy. But in decision-making process on serious familial problems, parent tends to be autocratic and strict to their child. Discipline is more or less successful but inconsistent and realistic. In the babying and protection domain, parents are somewhere on the mid-way, but in critical situations, they are inclined to overprotect their child sometime. Parents give indications of praising rather blaming their child, but sometimes the praises are sugar-coated. Though parents try to satisfy the curiosity of their child, their answers are seldom given at proper occasion to the child. While parent and child are in a close emotional tie, and parent is very affectionate toward the child, parent lack objective understanding of their child. Father-mother relationship is relationship is relatively harmonious, and they feel satisfied with their role playing as parents. Parental behaviors like understanding of the child, criticism, readiness of enforcement, readiness of explanation, and emotionality toward the child have great family differences, Home atmosphere variables like harmony in the home, child-centeredness, disciplinary friction have also great family differences. In terms of regional differences between city-local dichotomies in their family characteristics, little essential differences were found but a few variables like rationality versus dictatorship of discipline, acceleratory versus retardatory in accelerational attempt,, critical versus non critical in a readiness of explanation, and mutual adjustment versus male justment between husband and wif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three religious groups(Christianity, Buddism and non-committed) in the variables like adjustment of home, severity of actual penalties, affections between husband and wife, role playing as parent, clarity of between husband and wife, role playing as parent, clarity of policy, sociability of family, effectiveness of policy, qualities of suggestion, and readiness of criticism. Generally, family groups of Christian or Buddism have more or less desirable qualities in home atmosphere, parental control, and parental harmony variables then non-committed families. With the results obtained from factorial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family, following description may be possible. That is, parent guides child in a democratic way of control rather than in a autocratic control, and all the family members are in an accordance. Parent keeps mid-way between strictness and permissiveness, hustle and laissez-faire, and subjectivity and objectivity. (2) Syndrome analysis was made as a part of inquiring psychological structure of Korean family. Three main syndromes and three secondary syndromes were found out from intercorrelation matrix of thirty variables. Those syndromes are as follows. Three main syndromes are: accordance in home, permissive attitudes of parent toward child, and affections between parent and child. Three secondary syndromes are: strict attitudes of parent, nagging, and overprotection. (3) As a part of studies on psychological structure of Korean family, factor analysis was made from intercorrelation tables of thirty variables of Korean Fels Scale. Eight factors were extracted at first analysis, and seven factors at the second time one year later with double numble of Ss (N=535). Through first and second analysis, considerable coincident compositions of factors were identified. Factors can be labeled as follows: autocratic control (F_1), permissive attitude (F_2), hustling(F_3), conflicts between parent and child (F_4), peace and harmony(F_5), objectivity (F_6), and progressiveness(F_7). First five factors out of seven and three main syndromes extracted as above my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which characterize Korean family syntality. (4)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meaning on "family member concepts" by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In these analysis, twelve family member concepts including grandfather through daughter and seven point rating scale including ten adjective were applied. Female concepts show a little higher scale values than ale ones, and inferior concepts show also a little higher scale values than superior s on Evaluation factor. All but "grandfather" show positive values. The highest values reflect "daughter" concept, but the lowest, "grandfather" concept. Male concepts show distinctly higher value than female ones, and superior concepts show distinctly higher value than inferior ones in Potency (P) factor. Eldest brother (from sister s side) show highest values, and daughter, the lowest in P factor. Female concepts show higher scale values than male ones. "Mother" and "daughter" show highest values, and "grandparents", the lowest on Activity (A)factor. Configurations of meaning of family member concepts in semantic space show four poles and six clusters. The six poles are father, mother, grandfather, grandmother, elder sister(from brother side), and younger brother. But grandparents did not form any cluster. They are soled concepts in semantic space. The farthest concepts on semantic space are grandfather and daughter, and the half-way between the two concepts is grandmother: thus grandmother may be regarded as a mediator among family members the family member concepts in Korean family are recognized in term of Potency dimension not of Evolution one. There can be found clear differiation of meaning between male and female concepts, superior and inferior concepts. (5)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sis of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mong family members in their personality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ight family syntalities which were class fied by the factorial analysis. From the continence tables which were cross-tabulated with different syntality dimensions, several important facts can be revealed. First, about half of the Korean families are belong to the mid-way(or mixed) type syntality. These facts mean that home atmosphere, control, discipline, and parents attitudes toward their child are on the half-way between two extreme poles. In other sense, half-way means sometimes mid-way philosophy per sei, sometime mixed types, sometime intraparental or interparental inconsistencies. One fourth of the families belongs to the syntality pattern of either democratic, autocratic, peaceharmonious, conservative, hustling, or disharmony between husband and wife. Syntality dimension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ther syntality dimensions. Members of democratic family have relatively health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members of autocratic family have relatively unhealthy personality characteristic, members of harmonious family have little problems in personality, but members of disharmonious family show more or less abnormal tendency with neurotic and psychotic symptoms. But in general, mixed syntality family shows no distinct problems. In democratic syntality identification (similarities)between son and daughter is found. But in autocratic syntality identification between father and son, and mother and daughter are found. There is overall identification in thei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mong family members in the harmonious syntality. But father-mother identification and mother-daughter identification are found in disharmonious syntality. There is found no sign of identification in the hustling syntality. But in the laissez-faire syntality, there is found father-son and mother-daughter identification. There is no distinct tendency in the mixed type synta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actorial structures of family syntality, factor analysis was proceeded, then consequently 1 to 5 factor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family syntality. Most distinguished facts found are as follows. Father and son are facterially isolated clearly, but daughter is spread among other members dually in terms of factors. Mother variable is diffused among all the members. Describing of the interpersonal behaviors, members of democratic family show non-managerial behavior, but members of mixed or autocratic family show managerial behaviors. Parents of harmonious family and harmonious-disharmonious mixed type family are a little managerial. In the democratic family, identification between father and mother, and mother and son are found. In the autocratic family, parents influences are prominent. In the democratic-autocratic mixed type family, all the family members show high conformity in behavioral dimensions. In the harmonious family, father-mother identification, and father-daughter identification are found. Father-son, and father-daughter identification are found in disharmonious family. Harmonious-disharmonious mixed type family has identification between mother-son identification is found, but in the laissex-faire family, there is only identification between father and son. Hustling-laissez-faire mixed type family has relatively high conformity among all the family members. Only one or two factors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on behavioral dimensions. In the democratic and democratic autocratic mixed type family, the loadings of mother factor are distinctive. But in the autocratic family, tow-fold factor loadings on both parents and son are distinguished. Son and all other members are differentiated in the factor loadings in harmonious syntality, but single factor is fond in disharmonious syntality. Harmonious-disharmonious mixed type family has single factor loaded around father variable. In the hustling family, father-son factor is found, but in the laissez-faire family, father-daughter factor is identified. Single factor is found in hustling-laissez-faire family. - Restrictions - Here are some restictions in present study. (1) The Ss used here are not representative of all Korean family population, (2) physical, economic, and socio-cultural variables of family were not considered except region and religion, (3) families sampled hee represent a nuclear family in abstracted form as including both parents, son, and daughter, (4) psycho-social variables of parents were not dealt with, and (5) personality and behavior characteristics were delimited to a few dimensions. - Discussions - (1) Harmony and peace can be regarded as most important qualities of home atmosphere of Korea, and those characteristics may be pre-ducts of closed familianism. Harmony and peace in the home atmosphere are conductive to emotional and personality stabilization and to personal adjustment of family member as well. (2) The most important family syntality can be described by the two syntality dimension: that is, democratic-autocratic, harmonious disharmonious dimensions. (3) Father and mother are differentiated clearly in their roles in terms of instrumental and expressives. Even though family is in harmonious and peaceful atmosphere, family is enclosed in itself against outer community by the family-centered culture patterns. (4) Parent-child relationships and psychological structure of family are closely related to traditional confucian-oriented cultural patterns of Korean. (5) The mid-way philosophy of discipline and control characterizes the attitudes of Korean parents, but sometimes it can be interpreted as an inconsistency, sometimes as middle-of the-road, and sometimes as a caprice. (6) The mid-way philosophy of discipline and control characterizes the attitudes of Korean parents, but sometimes it can be interpreted as an inconsistency, sometimes as middle- of the -road, and sometimes as a caprice. (7) Korean parents handle their children emotionally not intellectually. Korean parents have dual systems of value, attitude, and behavior. This dual systems of value and behavior can be said to be reflecting the confusion philosophy. (8) One of the most prominent facts found here is diffusions of mother characteristics into whole family members. (9) Clear identification was found between father and son, and mother and daughter. Family members identify themselves with father in the their behavior patterns, but with mother in their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