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유수옥-
dc.creator유수옥-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02Z-
dc.date.issued1995-
dc.identifier.otherOAK-00000000002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12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0020-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how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have effects on the developments of the handicapped children’s social behaviors integrated in kindergarten. The research question set up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Ⅰ. How does the social behavior object of the handicapped children integrated in kindergarten change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and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that? Ⅱ. How does the each social behavior of the handicapped children integrated in kindergarten change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and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that? Ⅲ. How does the each social behavior, especially sub-behaviors of the handicapped children integrated in kindergarten change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and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tha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 handicapped children who were integrated in M kindergarten in Seoul. The subjects were those who had passed the higher level than that of two and half-year-old child in the four items of <Borel Maisonny’s non-verbel test> for the children who are much less developed in comparison with the normal children have difficulty in gaining education effects from the integrated education and in joining their peer group. And then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were put into practice to the seven handicapped children and twenty normal children as a small group. Here structured play activities are highly structured play activities in which the opportunities for the interactions with teacher, toy, and peer are planned in advance. The social behavior were days per week for nine months in free play for about thirty minutes. And the observation methods consisted of 4 social behavioral categories, 9 sub-behaviors, and 41 items in all, which were made by the present investigator on the basis o f field’s observation tables concerning the social behaviors and the precedent studies. The observation data of the handicapped children’s social behaviors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and the period after that was calculated the occurrence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categories and sub-behaviors per one month. On the basis of these data which are represented as tables and diagrams. And these data as well as the records by the present investigator were used in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Ⅰ.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were performed, the dominant social behavior objects of the mildly handicapped four children changed from self(the least developed object)to toys and peer, the advanced objects of their social behaviors object developed from self to toy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intervention, the objects of the seven subjects’ social behaviors object showe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ndicap. The mildly handicapped four children went on choosing peer as the object of their social behaviors after interven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severely handicapped three children, the object of their social behaviors object did not develop into peer but still were remained at toys even after the intervention. Ⅱ.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toy-directed behavior and peer-directed one increased whereas self-directed one decreased. An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that, each social behaviors of the seven handicapped children showed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degree of handicap. In case of mildly handicapped four children, self-directed and teacher-directed behavior were scarcely observed while toy-directed behavior decreased or was maintained and peer-directed behavior had a tendency to increase.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the severely handicapped three children, while their self-directed and teacher directed behavior showed gradual increase as time went on, their toy-directed and peer-directed behavior showed gradual increase as time went on, their toy-directed and peer-directed behavior had a tendency to diminish. Ⅲ.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in all seven handicapped children, their sub-social behaviors improved qualitatively during the intervention of the structured play activities. The self-directed behavior showed considerable advancements from isolation to approach proximity to peer, and their teacher-directed behavior made progress from the negative one such as merely looking at teacher to the positive one like the direct interactions with teacher. In case of toy-directed behavior, they played with toys for away from peer at first, but they gradually came to play with toys near peer. And the peer-directed behavior showed gradual developments from the negative one like looking, at peer to the more positive one toward peer,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of the negative behavior toward peer were very low.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after intervention, the qualitatively developed social behaviors of the subjects by means of the intervention of structured play activities did not degenerate but were maintained on end. ; 본 연구의 목적은 ‘구조적 놀이 활동’ 중재가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 행동 대상은 구조적 놀이 활동 중재 시기와 중재이후 관찰시기에 어떻게 변화하는가? 2.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각 사회적 행동은 구조적 놀이 활동 중재시기와 중재이후 관찰시기에 어떻게 변화하는가? 3.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각 사회적 행동의 하위 행동은 구조적 놀이활동 중재시기와 중재이후 관찰시기에 어떻게 변화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에 위치한 M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 남녀 7명이었다. 연구대상은 <Borel-Maisony 비언어성 검사>에서 4개 항목 모두 발달 연령이 2세 6개월 수준 이상을 수행한 유아로 선정하였다. 이는 발달정도가 정상유아에 비해 지나치게 낮은 경우 통합교육으로부터 교육적 이익을 얻기 어려우며, 또래들에게 수용되기 못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선정된 장애유아 7명과 정상유아 20명에게 소집단으로 ‘구조적 놀이 활동’을 실시하였다. ‘구조적 놀이 활동’이란 교사, 놀이감, 그리고 또래와 상화작용 기회가 미리 계획되어 있는 구조화가 높은 놀이활동이다. 관찰은 시간 표집법으로, 자유놀이 시간(1시간 30분간)에 매주 4일씩, 9개월동안 이루어졌으며, 중재시기와 중재이후 관찰시기의 사회적 행동을 관찰하였다. 관찰도구는 Field의 <사회적 행동 관찰표>와 선행 연구를 기초로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으며, 4개 사회적 행동 범주, 9개 하위 행동, 그리고 총 41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대상 유아 7명의 통합 초기와 통합 말기의 사회적 행동을 일화 기록하였다. 행동 범주별, 하위 행동별로 발생빈도와 발생비율을 산출하여, 이를 표와 그림으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관찰일지와 함께 중재 효과를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재시기에 대상유아 7명의 사회적 행동 대상을 보면, 장애정도가 양호한 4명의 유아들의 사회적 행동 대상은 자기에서 놀이감을 거쳐 또래로 발전하였다. 반면에 장애정도가 양호하지 않은 3명의 유아들의 사회적 행동 대상은 자기에서 놀이감까지만 발전하였다. 중재이후 관찰시기나 대상유아 7명의 사회적 행동 대상은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 정도가 양호한 4명의 유아들은 자신의 생활 연령에 적합한 또래를 사회적 행동 대상으로 계속 선택하였다. 반면에 장애정도가 양호하지 못한 3명의 유아들은 자신의 생활 연령에 적합한 또래로 발전하지 못하고, 이전 사회적 행동 대상인 놀이감에 계속 머물렀다. 둘째, 중재시기에 대상유아 7명의 자기를 향한 행동은 감소하였고, 놀이감과 또래를 향한 행동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중재이후 관찰시기에는 대상유아 7명의 각 사회적 행동이 장애정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장애정도가 양호한 4명의 유아들에게서 자기와 교사를 향한 행동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놀이감을 향한 행동은 감소하거나 유지되었고, 또래를 향한 행동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장애정도가 양호하지 않은 3명의 유아들의 자기와 교사를 향한 행동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조금씩 증가하였으며, 놀이감과 또래를 향한 행동은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중재시기에 대상유아 7명의 각 사회적 행동의 하위행동은 질적인 면에서 향상되었다. 자기를 향한 행동은 또래로부터 고립된 행동에서 또래에게 근접하여 나타나는 행동으로 향상되었으며, 교사를 향한 행동은 교사 쳐다보기와 같은 소극적 행동에서 교사와 직접 상호작용하는 적극적 행동으로 향상되었다. 놀이감을 향한 행동은 또래에게서 고립되어 놀이감을 가지고 노는 행동에서 점차 또래 가까이에서 놀이감을 가지고 노는 행동으로 향상되었으며, 또래를 향한 행동은 또래 쳐다보기에서 점차 또래를 향한 긍정적 행동으로 향상되었다. 또래를 향한 부정적 행동은 매우 낮은 비율로 가끔씩 나타났다. 중재이후 관찰시기에 ‘구조적 놀이 활동’을 통하여 질적으로 향상된 각 사회적 행동의 하위행동은 퇴보되지 않고 계속 유지되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및 문제 ---------------------------------------------- 9 C. 용어의 정의 ------------------------------------------------------ 10 Ⅱ. 이론적 배경 ------------------------------------------------------ 13 A. 장애유아와 정상유아와의 통합 교육 -------------------------------- 13 B. 장애유아와 정상유아의 사회적 행동 대상 발달 ---------------------- 18 1. 정상유아의 사회적 행동 대상 발달 -------------------------------- 18 2. 장애유아의 사회적 행동 대상 발달 -------------------------------- 24 C. 장애유아와 정상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증진을 위한 중재방법 ------- 28 D. 관련연구 --------------------------------------------------------- 43 Ⅲ. 연구의 방법 ------------------------------------------------------ 49 A. 연구대상 --------------------------------------------------------- 49 B. 연구도구 --------------------------------------------------------- 55 C. 연구절차 --------------------------------------------------------- 57 D. 자료분석 --------------------------------------------------------- 66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68 Ⅴ. 논의 및 결론 -----------------------------------------------------143 참고문헌 -------------------------------------------------------------155 부록 -----------------------------------------------------------------170 영문초록 -------------------------------------------------------------20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2316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구조적놀이 중재가 유치원에 통합된 장애유아의 사회적행동 발달에 미치는 효과-
dc.typeDoctoral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9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