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9 Download: 0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활동이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Title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활동이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of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 on Physical Education Class
Authors
김나연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경숙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활동이 체육수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이를 기초로 여교사의 체육활동 활성화와 초등학교 체육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여교사의 체육활동 경험, 체육활동 인식에 따른 체육수업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병행하였다. 연구대상에서 설문조사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여교사를 유층집락무선표집 방법을 이용하여 16개 학교를 선정한 후 해당학교의 여교사를 대상으로, 총 320명의 표본을 집락표집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299명의 자료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심층면담은 앞서 선정된 학교 중 3개 학교를 방문하여 여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설문지의 경우 빈도분석, χ²(chi-square), 분산분석을 이용하였고, 심층면담은 녹음된 내용을 기록지에 옮겨 적은 후 귀납적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활동이 체육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 대부분이 체육활동을 선호하지 않았고 참여 역시 낮았으며, 이 중 체육수업에 대해서는 체육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자신감을 갖고 즐겁게 수업에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여교사의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체육활동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고, 이 중 정규수업 외 체육활동 참여와 대학교양과목 체육선택 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학창시절 체육활동 선호와 생활체육활동의 참여는 체육수업에 있어 체육교육 목표, 수업환경, 운영내용, 지도방법, 교사환경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체육활동 인식은 여교사 대부분이 평균 이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육활동이 인간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인식함에 따라 초등체육의 중요함을 느끼며 수업에 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체육활동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이 중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여가선용적 측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전반적인 체육활동 인식은 체육수업에 있어 체육교육 목표, 수업환경, 교과 관심도, 지도방법, 운영내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여교사의 체육수업은 체육교육 목표, 수업환경, 운영내용, 지도방법, 교사환경, 교과 관심도에서 평균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연령과 경력이 많을수록 체육수업 인식이 높게 나타났고, 이 중 체육교육 목표, 수업환경, 운영내용, 지도방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체육수업 운영실태에 대한 심층면담결과 여교사들은 시간표에 맞춘 교과과정 진행의 어려움, 종목에 대한 지도 능력 부족, 수업준비과정의 복잡함, 체육 시설 및 환경의 열악함, 기후, 안전사고 등과 같이 여러 가지 문제점과 장애요인이 나타났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는 학생들의 체육에 대한 의식 변화와 더불어 교사교육 활성화를 위한 체육교과전담제 및 체육연수 프로그램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초등학교 여교사의 체육활동은 체육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아이들의 체육에 대한 인식형성에도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평생에 걸쳐 하나의 가치관으로 확립되어질 수 있는 것이기에 여교사들의 적극적인 체육활동의 참여와 경험을 통하여 체육수업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하겠다. 따라서 여교사가 체육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직전교육 및 현직교사를 위한 연수기회 등이 확대되어져야 하며, 교사가 체육수업 지도하는데 필요한 자료가 확충되고 새롭게 개발되어 한다. 또한 교과과정을 구성하는데 있어 이론과 실제가 분리되지 않도록 현장에 대한 연구를 활성화시켜 효율적인 체육수업을 위한 끊임없는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that can be useful in exploring the way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of female teachers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aim, this paper studied influence of physical activity of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ritten questionnaire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Analysis is conducted on physical activity experience of female teachers and possible difference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by recognition of female teachers on physical activity. A multi-stage stratified cluster random sampling technique was used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selected 16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subjects were female teachers in those school. 320 questionnaires distributed, and 299 of them were used in this study. 6 female teachers at 3 schools were chosen for in-depth interviews. As for the Questionnaire, frequency analysis, χ² (chi-square) validation, ANOVA were made, and inductive range analysis was applied to in-depth interviews. Interview data were tape recorded and researcher took field notes. The results of the above mentioned procedures and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First, most of female teachers were found that they don't prefer physical activity and their participation was also very low. But the more experience in physical activity they had, the more positive, active, and confident attitude they showed in their class. Concretely, female teachers who had more age and more carrier showed high level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Whether they had extra activity except for regular class or not and, whether they chose athletics class as their cultural subjects in university or no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ir preference to physical activity in school time and participation in life-time spor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bject of physical education, the environment of the class, the content of process, teaching skills, and the environment of teachers. Second, most of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on physical activity than average. As they understood that physical activity provide positive effects to human life, they put importance on physical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In a concrete way, high level of recognition on physical activity was shown in more aged and high career group. In physical, psychological, social aspects and in making use of spare time,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 general recognition on physical activi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bject of physical education, the environment of the class, interest in class, teaching skills, and content of process. Third, physical education class of female teacher showed that female teacher had higher level of recognition on the object of physical education, the environment of the class, teaching skills, content of process, the environment of teachers, and interest in class. In a concrete way, high level of recognition on physical activity was shown in more aged and high career group. The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bject of physical education, the environment of the class, teaching skills, content of process. In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it was found that female teachers had problems and obstacles such as difficulty in carrying out curriculum set by class schedule, their lack of ability to teach each field, complexity of preparing the class, poor sports facilities and environment, whether, and safety accident. This study foun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se situations, recognition of students on physical activity need to be changed, and full responsibility physical education system, and physical training programs are also required. In conclusion, physical activity of fema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ovide positive effects to physical education class. Furthermore, it can affect building up recognition of children on physical activity. Because this early recognition on physical activity can be established as one complete value in life time,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nducted by female teachers based on their various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 physical activity are very important. In order to promote female teacher to participate in physical activity, such procedures as systemic pre-education of physical training, extended opportunity to training, enough and newly developed data etc. are needed. Also study for actual field has to be activated to prevent division of theory and reality, and continuous researches for effective physical education ar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