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1 Download: 0

19세기 전반 중국 개명인사와 서양 개신교 선교사간의 지적 교류

Title
19세기 전반 중국 개명인사와 서양 개신교 선교사간의 지적 교류
Authors
김의경
Issue Date
199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llectual interchange between the Chinese literati(開明人士) and the western protestant missionaries in the early 19th centur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cultural contac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was very great but to date it has not been studied much. In those times Chinese educated elities were interested in acquiring western knowledge because of their losing the opium war. Chinese interest in world geography and history occurred simultaneously with the efforts of protestant missionaries to educate the ordinary Chinese people. Missionaries, anxious to introduce Christianity and the western culture, had begun publishing secular educational materials written in Chinese(非宗敎書籍) before the opium crisis. Chinese geographers had collected information from the western world and had been interested in the writings of protestant missionaries. In this dissertation we tried to explore the writings of the protestant pioneers in the nineteenth century, and to look into the curious interest in the western world of the Chinese scholars who were not in official positions. This study concentrated on the Chinese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and the understanding between the Chinese educated elities who were interested in the western knowledge and the protestant missionaries who wrote secular writings for the purpose of evangelization. In Chapter Ⅰ we studied the secular writings of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missionaries. The Reverend Morrison s arrival in China in 1807 opened a new channel between the nation and the western world. William Milne and Walter Henry Medhurst were his successors. The missionaries not only published a great many books and journals on China and their experiences but also had their own missionary periodicals. Because preaching was prohibited by the law of Ching, they thought that the written materials were the best means for spreading the Christian message, and built some presses in Canton, Macao, Malacca, Batavia and Singapore. They did a lot of evangelistic work outside the realm of Ching administration, trying to get more missionary experiences in the Southeast Asia. The early protestant missions were characterized outstandingly by the emphasis on what could be called indirect evangelism. Being conscious of the Neo-Confucian biases of Chinese literati, the early missionaries endeavored to introduce protestant Christianity to China as unoffensively as possible, so that they published secular educational materials most of which were written on world geography and history. These works had been bood examples for the later missionary publications. Though the missionaries greatly impressed some Chinese people and some persons in the Southern Asia, particularly the few who were students at the Anglo-Chinese college in Malacca, they failed to affect the inhabitants in China itself. It was not untill the 1830s that the protestants found outlets in China for the distribution of their works on geography and history. In Chapter Ⅱ we analyzed the Chinese books on the western topics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Since the heyday of the western miss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when Matteo Ricci s map of the world attracted attention, Chinese knowledge concerning the west had made little progress and remained shadowy and uncertain. There had been indications that the Chinese lack of scholarly concern with the west began to change sightly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even before the coming of the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he introduction of their works on geography and history. But these indications had the form of isolated writings which did not stir general interests. One Chinese noteworth studying, the Hai-lu(海錄, Records of the Sea), dates from about 1820, two decades before the height of the opium crisis. It was compiled by a scholar through the reminiscence of an interpreter who had traveled much in Southeast Asia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In Chapter Ⅲ we examined the protestant missionaries secular writings in 1830 s. The writings of two missionaries, in particular, illustrated western literary efforts to change Chinese attitudes toward the West in the period before the opening of the treaty ports. One of these were a Prussian Missionary Karl Freidrich August Gutzlaff. The other was the first American missionary to China, Elijah Coleman Bridgeman of American Board of Commissioners for Foreign Missions. Gutzlaff s Unerversal Geography(Wan-kuo ti-li ch uan-t u-chi, 『萬國地理全圖集』 Complete illustrated collections of geography), Treaties on Commerce(Mao-i t ung-chih, 『貿易通志』, Commercial Handbook), and Chinese Monthly Magazine(Tung-Hsi-yang k ao mei-yueh t ung-chi-chyan, 『東西洋考每月統記傳』, A general monthly record examing Eastern and Western Ocean) featured geography and history, almost of entirely of Europe and the United State, International relations, trade and current events. Gutzlaff made a deliberate effort to fashion publications that would appeal to his Chinese audience. In the pages of the magazine he referred to Confucius and Mencius. He used fictional Chinese figures in his writing. He wrote the works in order to introduce his Chinese readers to the Western arts and sciences. In short, he wanted to counteract the images of westerners as barbarians . Elijah Coleman Bridgeman s History of the U.S.A.( Mei-li-ko Ho-sheng-kuo chih-lueh, 『美理哥合省國志略』, A brief geographic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proceeded from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country to a state-by-state description of locations, famous sights, historical figur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benevolent societies. Like Gutzlaff, Bridgeman could hardly avoid a religious and cultural message in his secular writing. Though these works vary in content and style, they generally portrayed western nations as well-ordered societies worthy of dealing with the Chinese on an equal basis and suggested missionary interest in political change as a preface in China s spiritual conversion. In Chapter Ⅳ we studied the Chinese scholars books on world geography and history. While the missionaries, with help from the merchant community, were busy building up literary materials purposed to change Chinese attitudes toward the West, the Ching empire was facing an unprecedented crisis over the illegal opium traffic perpetuated by westerners. The protestant works of the late 1830 s and early 1840 s eventually received the attention of influential Chinese scholars. A small but influential group set out to expand China s knowledge of the west in the belief that this was essential to China s survival. Imperial Commissioner Lin Tse-hs (林則徐, 1785-1850), a well-known scholar official with a distinguished career, launched a study of the west that led him and other Chinese scholars to the writings of protestant missionaries. In the pursuit of such practical information he employed a team of four assistants whose job seemed to have included the collection of Chinese-language materials on world geography and the translations into Chinese of western-language works such as the English periodicals( Chinese Respository) published on the China coast. The most famous product of Lin s information service was a draft translation of parts of a book. One of his assistants, Leang A-teh(梁亞德), must have used it as a textbook when he studied with the missionaries. This book was Hugh Murray s Encyclopaedia of Geography, with reference to the almighty and efforts to spread the gospel was nicely suited to the missionary purpose. In its Chinese version, Lin s draft translations were the first of several geographical surveys(Ssu-chou chih, 『四洲志』, Geography of the four continents). But such religious concerns seemed to have been missing. What remains of this work today is a straight forward handbook of factual information about the continents and countries of the non-Chinese world. Lin gave to his friend Wei Yuan(魏源, 1794-1856) the materials which had been put together by his staff. During the next year and a half Wei worked through these materials, supplemented them with information drawn from his own research of the wider world, and produced the Hai-kuo t u-chih(『海國圖志』, Illustrated Treaties On the Maritime Countries), the best known modern Chinese geographical work. The HKTC compiled excerpts from various kinds of geographical-historical literature and essays by Wei himself. It was a unique index of information available to Chinese students of the west in the critical years that brought an end to the old Canton trade and the institution of the treaty port system. Wei Yuan s heavy dependence on Prostestant missionary works indicates the extent to which Chinese found them to be useful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west. But Lin, Wei, and other statecraft scholars never showed the slightest indications of submitting to the religious doctrine subtly incorporated into protestant works on world geography and history. They saw Christianity only as a curious feature of western culture. Indeed the more they knew about the strength of Christianity as an expanding religion, the more apprehensive about it they were. The missionaries, thinking they could expand Christianity in China, had addressed themselves to people like Lin Tse-hsu and Wei Y?n. However, the missionaries misjudged the ideological commitment of Confucian scholars, who used secular works issued by the mission press only to obtain practical knowledge. Lin, Wei, and other statecraft scholars never showed the slightest indication of submitting to the religious doctrine subtly incorporated into Protestant works on geography and history. They saw Christianity only as a curious feature of western culture. Indeed, the more they knew about the strength of Christianity as an expanding religion, the more reason they had to be apprehensive about it. In the pages of the early protestant works in Chinese was a stimulus for internal reform in China. National independence, parliamentary government, individual rights, steamship transportation, and foreign relations based on reciprocity and trade were topics introduced by protestant missionaries. The Chinese strategists of the Opium War period hardly heralded full-scale reform in China, but they were willing to consider new methods of maritime defense and recognized the validity of western sources of information about the west. Though they pursued such innovations for traditional reasons, to preserve Chinese institutions from foreign threat, they nevertheless provided a context for change with China and prepared the way for the self-strengtheners of a later period. Authors of early protestant missionary works in Chinese and Chinese students of the west in the 1840 s a had a good deal in common. Both groups recognized China s need for "useful knowledge" in an age of intensified Sino-western contact. Both found it strategically advantageous to produce written materials on world geography and history. Both regarded Christianity as a major featur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gave attention to the subject of western religion in their geographical works. However, the two groups pursued very different objectives. From the missionary point of view, information about the West promised to encourage China s receptivity to western commerce and the gospel. For the Chinese, operation on a Know your enemy basis, such information could be useful in countering western intrusion. Ironically, considering their intentions, the missionaries contributed themselves to the Chinese continuous resistance to Western intrusion. They defined the western world values as those that had no equivalents in the Chinese tradition and seemed to threaten the very foundations of China. Their ardent efforts to transform China were far less subtle than they imagined. Indeed, by introducing up-to-date information about Western commercial and religious expansion, the missionaries alerted defense-mined Chinese to its dangers. Though the circumstances are complex, Protestant missionaries and Chinese scholars together promote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into China in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At the same time, they also encouraged continuing Chinese resistance to the West. ; 지금까지의 東洋과 西洋의 문화교류사에 대한 연구는 일일이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연구성과는 16세기말에서 18세기까지, 또 19세기 후반부에 치중되어, 명말청초 예수회 선교사들의 서학전파와 漢人士大夫의 대응, 反植民 反封建투쟁으로서의 기독교와 그 선교사에 대한 反基督敎運動에 집중되어 왔다. 그리하여 19세기 초기 중국어로 비종교서적을 출판하여 중국 지식인과 접촉을 시도했던 개신교 선교사들과 이러한 서적을 중국인의 서양이해에 이용한 중국인 개명인사의 교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시도되지 않고 있는 형편이다. 이 두 그룹의 문화교류가 明末淸初 이후 동서양 知識人간에 있었던 첫 교류였다는 점을 주목할 때, 그 내용과 전달, 수용의 정도를 살펴 보고 더 나아가 그 한계와 실패를 규명하는 것이 중국근대사를 이해하는데 매우 주요한 연구과제라 아니할 수 없다. 중국근, 현대사에서 반드시 부딪쳐야 할 서양과의 접촉, 서양의 충격과 중국의 대응, 전통과 근대, 제국주의라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있어서도 중서 지식인의 상호인식과 수용정도를 파악하는 작업은 선행되어야 하겠다. 이와같은 문제의식하에 본고는 1807년 모리슨의 중국도래 이후 아편전쟁직후까지 중국에 들어왔던 선교사 그룹의 비종교서술과 아편전쟁을 전후하여 서양의 실상과 정보에 관심을 가지며 선교사들의 비종교서술을 주목하였던 중국인 개명인사들의 저술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제1장에서는 19세기 초기 개신교 선교사의 중국접근에 모델을 제시했던 명말청초 예수회 선교사들의 중국접근방식과 개신교 선교조직의 확립을 살펴 보고 아울러 淸朝의 금교상황을 배경적으로 살펴보았다. 또 중국에 도래한 최초의 서양 개신교 선교사 모리슨을 필두로 밀른, 메드헐스트등 19세기 비종교서적 저술의 효시를 이룬 선교사들의 생애와 저술을 분석하였다. 그들은 중국에 도래할 초기에 예수회 선교사의 前例를 그대로 좇아서 중국에 적응하려 하였으나, 이미 달라진 시대상황때문에 자신들의 접근양식을 변화시키게 된다. 즉 청조가 시행한 엄격한 금교의 상황속에서 간접적 복음주의라는 선교방식을 채택하여 선교가 비교적 용이했던 동남아일대의 화교를 대상으로 선교학교, 선교인쇄소, 비종교서적의 저술을 힘쓰게 되는 것이다. 이 시기 선교사들의 비종교저술은 지리, 역사적인 분야였는데, 종교적인 내용속에 지리, 역사적인 내용이 첨가된 정도였고 노골적인 기독교선교의 내용이 드러나 있었다. 또 이 시기의 개신교 선교사들은 중국의 미래는 서양의 손에 달려 있다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었고 중국에 기독교라는 종교가 없으므로 중국의 문명발달에 치명적 약점이었다고 간주했다. 제 Ⅱ장에서는 중국이 아직 서양의 접근이나 존재에 대하여 인식하지 못하였던 19세기 초, 서양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던 중국의 서학관계 서적들을 분석함으로써 서양 개신교 선교사들이 중국에 접근하기 이전 소수의 중국 지식인들이 가지고 있었던 서양에 대한 지식의 정도를 살펴 보았다. 이 시기의 중국의 西學書의 수준은 초보적이고 단편적인 정보만을 모아 놓은 것에 불과했고, 표면적인 관찰과 奇談을 통하여 서양을 인식하였기 때문에 도리어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킬 내용을 담고 있었다. 다만 『海錄』은 19세기에 들어와서 본격적으로 중국인이 세계를 인식하기 시작하는 신호가 되는 저서로서, 중국인으로서는 몸소 해외로 항해하며 목격한 서구국가의 정황을 비교적 정확하고 상세하게 소개한 책이었다. 이는 아편전쟁을 전후하여 서양에 관한 정보를 알고 싶어했던 중국 개명인사들에게 유일한 의미를 가졌던 중국 서학서라는 점에서 가치를 지니는 저서라고 하겠다. 1830년대에 들어오게 되면 점차 개명적인 중국인 지식계층이 서양에 관한 저술에 관심을 가지게 되는데, 蘇令裕의 『記英吉利』, 葉鐘進의 『英吉利國夷情記略』, 兪正燮의 『癸巳類稿』등이 대표적이다. 이들의 내용에서 이미 1830년대에 소수의 중국 지식인들이 영국에 대한 地理, 風俗, 美國에 대한 基礎情報, 英國의 侵掠性, 기독교가 서구문화의 중요한 요소를 이루고 있었다는 사실 등을 인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들 서적은 개신교 선교사들이 그렇게 중국 지식인이 필독하기를 바라면서 저술한 비종교서적을 전혀 인용하지 않았으며, 『海錄』의 내용이나 그 이전 서학서의 내용을 중복, 반복 서술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 중국인들의 서양인식이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자료들이 魏源의 『海國圖志』에 거의 전부가 수록되어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아 동서문화가 접촉하는 통로의 역할을 미약하게나마 담당하였다는데서 그 의의를 인정할 수 있을 뿐이다. 제 Ⅲ장에서는 모리슨, 밀른, 메드헐스트 이후 계속된 개신교 선교사들의 비종교서적이 내용을 분석하여 개신교 선교사들이 중국인 개명인사들에게 주기 위하여 준비한 비종교서적의 내용이 과연 어떠한 것이며, 그들이 이러한 정보를 어떠한 태도로 전달하고자 하였는가를 고찰하였다. 중국어로 된 비종교서적을 본격적으로 저술하기 시작한 굿?W라프와 브릿지만 같은 선교사들은 지리, 역사적 정보와 함께 기독교적 가치관을 중국인에게 주입하려 하였다. 사실상 이 시기의 개신교 선교사들의 비종교서적의 첫번째 목표는 중국에 서구의 발전과 사회─정치적인 조직의 개념을 소개하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발전의 원동력이 바로 기독교라는 것을 궁극적으로 전달하고 싶어했다. 비종교서적은 중국인을 종교적으로 설득하려는 목적을 행간에 깔고 있었던 것이다. 선교사들은 중국인이 서구문화, 특히 기독교에 대해 가지고 있었던 본능적인 거부감을 잘 파악하고 있었으므로 기독교적인 내용과 색채를 가능한 한 배제하고 ?일반적? 지리, 역사 정보를 전달하는 문맥안에서 종교적인 메세지를 숨기려고 하였다. 굿?W라프와 브릿지만이 저술한 비종교서적의 내용에서 이러한 특징은 잘 드러나고 있다. 서구 사회에서 교육받은 그들은 쉽게 과학과 종교적 구원이라는 두가지 관심사를 결합할 수 있었다. 굿?W라프가 서술한 비종교서적의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그의 기독교에 대한 언급은 後代로 올수록 완곡하고 간접적이 되었고, 그의 책들이 중국인 개명인사들에게 전폭적으로 채택이 되었다는 점을 그 업적과 의의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특히 굿?W라프의 비종교서적의 내용 분석에서 가장 특징적으로 도출할 수 있었던 결론은 첫째, 중국인 개명인사가 자신들의 저서속에 인용한 굿?W라프의 책 내용이 현재 남아있는 굿?W라프의 저서의 원본기록보다 종교적인 의도를 많이 생략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이러한 생략이 굿?W라프에 의한 것인지 중국인 개명인사에 의한 것인지 확실하지 않지만, 굿?W라프가 의도한 대로 비종교서적의 내용이 중국인 개명인사에게 흡수되지 못하였다는 것은 확실하다. 굿?W라프가 간접적이고 완곡하게, 또는 행간에 감추어서 중국인 지식인에게 전달하고자 하였던 서구 기독교가 서구문명에 끼친 거대한 영향력, 그것이 중국에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암시는 중국인 개명인사가 거의 관심을 두지 않았다. 둘째, 그의 비종교서적의 기본적인 저술태도는 서구문명과 서구인이 중국보다 우수하다는 우월감이 바탕이 된 것이었다. 기독교를 바탕으로 번영하였던 서구의 경제적, 문화적 우수성을 중국인에게 일방적으로 주입하겠다는 의도가 곳곳에서 발견된다. 굿?W라프는 정열적으로 중국인에게 서양문명을 소개하려고 노력하였던 서양인이었지만, 그가 추구한 문화교류는 동등한 입장에서 서로의 우수성과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아니고 어디까지나 우월적인 입장에서 일방적 통행을 강요하는 태도를 견지하였던 것이다. 브릿지만의 『美理哥合省國志略』을 분석해 본 결과 그는 종교적 적극성과 진취성에 있어서, 모리슨이나 밀른보다 정도가 덜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가 중국어를 공부하는 데 있어서나 처음으로 중국어로 번역하는 대상을 종교적인 소책자가 아닌 미국에 관한 일반적인 소개를 담은 책으로 결정하였다는 점, 굿?W라프처럼 중국인이 이야기하는 서술방법을 쓰지 않고 자신의 중국이름, 高理文을 맨 앞 페이지에서 명확히 밝였다는 점, 중국인에게 익숙한 내용 어필하고자 했던 서술기법이 중국인 개명인사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점, 브릿지만의 원본과 중국 개명인사들이 인용한 브릿지만의 서술을 비교할 때 후자에 종교적 내용이 삭제되어 있다는 점등을 결론으로 도출해 낼 수 있었다. 그러나 브릿지만 또한 미국만이 중국이 직면한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비종교서적과 교육선교라는 작업은 중국에 있던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에게 중국인이 종교적 개종, 가치관 변화, 중국의 사회적 전환을 실현하기 위한 기초작업이었다. 그러나 개신교 선교사들은 그들이 그렇게도 열렬하게 계몽시키고자 했던 중국인의 전통과 문화에 관한 진정한 의미의 이해를 하지 못하였다. 우월자적인 입장에서 중국인에게 발달된 서양 문명을 계도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중국인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여서 자신들의 영광스러웠던 발자취를 따라오게 하는 것이 그들의 기본적인 노선이었다. 제 Ⅳ장에서는 前述한 개신교 선교사의 비종교서적을 받아들인 林則徐, 魏源, 梁廷枏, 姚瑩의 著述을 중심으로, 그들이 과연 개신교 선교사들이 소개한 비종교서적의 내용을 얼마만큼 이해하고 그것을 어떻게 동시대의 중국인들에게 소개하였는지를 고찰하기 위하여 그들이 번역한 서양 소개서, 저서등을 분석하였다. 이들은 개신교 선교사들이 그토록 전달하고 싶어하던 비종교서적이라는 자료에 관심을 가졌다. 그들은 중국에게 절실하게 필요하였기 때문에 중화사상을 바탕으로 하였던 전통적인 학자의 태도에서 벗어나 비록 비정통적인 주제라 할지라도 그러한 정보의 가치와 중요성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인정하였다. 그들은 이미 선교사계층을 통해서 서양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明末淸初의 경험이 있었으므로 선교사들로 부터 정보를 입수하는데 전혀 경계나 저항을 보이지 않고 있다. 본문에서 이러한 책들을 분석해 본 결과, 각자 특징적으로 서양에 관한 자신들의 지식을 확장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이 임칙서와 위원의 책인데 임칙서의 가장 위대한 업적은 선구적으로 서구에 대한 ?실용? 지식확장?? 눈을 떠서 개신교 선교사들이 접근시도에 중국측 최초로 대응을 하였다는데 있다. 그러나 임칙서의 서구연구에 대한 관심은 선교사들이 의도했던 대로 기독교로 유도되는 관심이 아니었고, 청제국의 질서와 제도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군사적 지식과 방법에 국한되는 것이었다. 도리어 임칙서는 기독교적 메세지를 생략하는 새로운 전통을 만들었다. 다음으로 위원은 鴉片戰爭 前後에 서구에 관해 관심을 가졌던 일련의 經世學派 학자들 중에 가장 활동적이고 중심적이었던 인물로 3번에 걸쳐 『海國圖志』를 증보, 개편하였다. 19세기 초 서학관계서적들이 과거의 과거의 海外 奇聞에 대한 小說家的 관심의 수준에 머무르던 한계를 뛰어 넘어서 『해국도지』는 전술적 정보자료로서 經世學의 학문적 연구대상을 넓힌 역작이었다. 위원은 그 이전 중국에서 나온 서양에 관한 지리 저술을 요약, 편집하였을 뿐만 아니라, 서구인에 의한 중국어로 된 자료정리라는 매우 가치있는 공헌을 더하였다는 점에서 그 위대성을 인정받는다. 사실상 이러한 작품이 중국인들 사이에 알려지게 된 것도 현재까지 남아 있는 것도 모두 위원에 의하여 『해국도지』에 그 내용이 실렸기 때문이다. 그러나 위원 역시 서양 개신교 선교사들이 원했던 대로 비종교서적을 자신의 저서에 받아들이기는 하였지만, 그들이 의도한 기독교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나 선교의지가 담긴 내용은 전혀 『해국도지』에 수록하고 있지 않으며, 도리어 한 걸음 더 나아가서 旣往의 중국적인 反基督敎傳統을 따르는 태도를 확실하게 표명하고 있다. 결국 위원도 임칙서와 같은 맥락으로 중국에 필요하다고 생각한 실용적인 정보를 자신이 판정해서 고의적으로 선별, 채택하여 『해국도지』에 수록하였던 것이다. 여기에서 1830년대 중국인 개명인사들의 서양인식의 공통적인 특징이 위원에게서도 예외없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요영과 양정남 또한 임칙서, 위원과 동일한 시기에 서양에 관한 실용적 정보획득이라는 문제에 관심을 가졌던 중국 지식인들로, 비종교서적으로부터 당시 중국에 필요한 실용적인 정보는 수용하였지만 기독교는 거부했던 중국인 개명인사들의 서양문화 수용태도의 전형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 1840년대에 서구를 배우던 중국인과 중국어로 비종교적 서술을 했던 개신교 선교사들은 많은 부분 공통적인 데가 있었다. 이 두 그룹은 19세기 중국에 “실용적 지식”이 필수적인 요소라고 인식했다. 이들은 세계지리, 역사에 관한 저술을 하여 서로에게 소개하는데 여러가지 상황적으로 유리하였다. 둘 다 기독교를 서구 문화의 주요 특징으로 간주하며 자신들의 지리서술에서 서구종교라는 항목에 주의를 기울였다. 그러나 이들은 매우 다른 목표를 추구하고 있었다. 서양 개신교 선교사들은 기독교에 대해 굳게 문을 잠그고 있었던 청조지배체제하에 중국인들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중국어로 제시할 수 있었던 선견지명이 있었다. 그들의 이러한 작업은 이후 중국인이 서양을 인식하고 이해하는데 기초를 마련하였다는 데서 역사적 의의를 지닌다. 한편 중국인 개명인사들도 당시의 시대상황과 분위기하에서는 시도되기 어려웠던 서양인식에 대한 과감한 개방성과 수용을 보여 주었다. 그러나 선교사 입장에서 서구에 관한 정보의 궁극적 목표는 중국이 서구에 문을 열어 통상과 복음전파가 자유롭게 되는 것이었다. 중국인들은 서양에 관한 정보를 “적을 알기 위해” 받아들였고, 서구의 침략에 대응하는 측면에서 의미를 가지는 것이었다. 변화되지 않는 가치관과 이상에 사로 잡혔던 것이 개신교 선교사들과 중국 개명인사들 사이의 적응 노력의 한계였다. 수용은 중국과 서구사이의 긴장을 완화시켜야 했는데, 수용의 한계는 상호이해를 가로막는 장벽을 구축하였다. 실용적인 이유로 몇몇 중국 개명인사들이 서구의 배와 총, 국제법, 종교에 흥미를 지녔으나, 그렇다고 서구적 가치관과 종교에 동조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서구인에 대한 중국인의 적대감을 축소시키기보다는 차라리 확장시켰다. 반면 초기 개신교 선교사들은 청조의 금령이라는 배경하에서 비종교서적을 통한 서양소개에 중점을 두었으나, 그렇다고 자신들의 종교적 욕구를 축소한 것은 아니었다. 그들의 궁극적 목표는 기독교를 중국에 선교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작업을 행하면서 성취감보다는 수많은 좌절감을 맛보아야 했던 개신교 선교사들은 서구측의 입장에서 중국을 변화시키는 입장을 계속 강화시켜 갔다. 그러나 아이로니컬하게도 선교사들은 서구침략에 대한 중국인의 저항을 계속하게 하였다. 그들이 표방하던 서구세계는 중국전통과 공존할 수 없는 가치체계였고 중국이라는 국가 기초를 위협하는 것이었다. 그들은 서양의 입장에서 중국을 전환하려고 열렬히 노력했고 중국인들은 중국의 입장에서 방어적인 태도만을 강화하였다. 역사적 상황이 복잡하게 얽히는 가운데 개신교 선교사와 중국인 개명인사들은 19세기 초기 중국에 서양 문명을 소개하는 공동의 역할을 맡았었지만, 동시에 중국인의 서구에 관한 저항을 더욱 고무시키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게 된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