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희-
dc.contributor.author신나경-
dc.creator신나경-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3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3Z-
dc.date.issued2004-
dc.identifier.otherOAK-00000000979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06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9797-
dc.description.abstractTotal art crosses the borders among fine art, drama, dance, poetry, music and all the other genres of art, relying on the deconstructivism championed by the new world-wide current or post-modernism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Meanwhile, Kim Young-hee has constructed her own unique art style for Korea's modern creative dance by referring to the total ar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how the total art is shown in her creative art works. For this purpose, concept of the total art was examined, and thereupon, Kim Young-hee's choreography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total art. Post-modernism admits the independence and relativity of each genre of art. It does not insist on any single style but pursues some complex style allowing for pluralism and diversity. Such a tendency is expressed in dance art by integrating and disintegrating unique expressions. By 1980's in Korea, the post-civilization began to permeate into nation's arts through mass media, and accordingly, nation's modern creative dance began to reflect the attributes of the total art intended to jointly and equally create unique expressions of each genre of arts. Thus, very experimental and more or less irregular total artistic tendencies have been shown in Kim Young-hee's creative works departing from the typical images of the Korean dance to persue a higher dimension. So, it seems to be essential to review her works systematically in terms of the total art tendencies if we want to arrange a new groundwork for development of our creative dance. Hence, this study reviewed concept and attributes of the total art, and examined Kim Young-hee's creative works by dividing them into those created during her active engagement and those created after establishment of her Boot Dance, and thereupon,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otal art on her creative works. Then, such large-scale and progressive works of hers showing the total art tendencies more vividly as "Moon", "Him within Me" and "Without Saying" were sampled to be analyzed for their themes, contents, expression of movement, and other visual and audible aspects to determine her total art tendencies and thus, suggest th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our creative dance.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relevant literature and used the interview.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Kim Young-hee designed not only choreography but also the entire performance ranging from planning through finishing only to demonstrate her production ability required for a success of the total art works. Furthermore, based on the conditions of the voluminous stage, she designed her performances in such a way that music, costume, set, lighting and dance could be independent but integrated under a common theme. The result is that various genres of art are not complete independently but integrated in a single work to recover a total emotional and enliven the expressions. In short, she has established her own total art stage. Such tendencies of hers are based on her dance philosophy pursuing a new art world based on traditionality, and therefore, they have served to expand the scope of the conventional choreography further. This study may be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esented Kim Young-hee's total art works in diverse expressions and thereby, provided a groundwork for development of Korea's modern creative dance.;본 논문은 20세기 후반의 세계적인 시대사조인 포스트모더니즘이 표방하는 해체(解體)이론에 입각한 미술, 연극, 무용, 시, 음악 등 모든 예술 장르간의 구분과 경계를 없애는 새로운 예술형태인 총체예술이 현대한국창작춤의 흐름 속에서 독자적인 예술스타일을 구축한 김영희의 창작작품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로써 총체예술의 개념을 규명하고 그를 바탕으로 김영희의 안무성향에 있어 총체예술적인 특징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각 예술영역의 독자적이면서 상대성을 인정하는 개념으로 하나의 스타일만을 고집하지 않고, 다원성과 다양성이 공존하는 복합된 스타일을 추구한다. 이러한 경향은 무용예술에서도 예술의 고유한 표현양식을 통합, 해체하는 총체예술을 지향하는 형태로 표현되어졌다. 우리나라에서는 1980년대 접어들면서 대중 매체를 통해 포스트 문명이 스며들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현대한국창작춤에서도 예술장르의 고유한 표현영역을 동등한 가치로서 공동 창조하는 총체예술적인 특징들을 반영하게 되었다. 따라서 한국무용의 전형적인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한 단계 더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김영희의 창작작품에도 기존의 한국무용 공연 형식에서 벗어나 이전에는 시도되지 않았던 매우 실험적이고 다소 파격적인 총체예술의 성향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성향이 김영희의 작품에서 어떠한 형식으로 표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앞으로 현대한국창작춤의 새로운 미래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필수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총체예술의 개념이나 특성들을 살펴보고 김영희가 본격적인 작품활동을 시작한 창무회 활동시의 춤작업과 이후 김영희무트댄스 창단 후의 작품활동을 개괄적으로 파악한 후 총체예술이 김영희의 창작작품에 어떠한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그러한 성향이 보다 스케일이 크고 진보적인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달아』,『내안의 내가』,『말하지 않고』를 선정하여 작품의 주제와 내용, 움직임의 표현적 측면, 시각 · 청각적 측면으로 연구하고 여기에서 도출된 김영희의 총체예술적 성향을 제시하여 김영희 본인의 춤작업 뿐만 아니라 현대한국창작춤에 미친 영향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객관적인 문헌연구과 심층적 연구로써 인터뷰 방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김영희는 안무뿐만 아니라 공연의 총괄적인 디자인을 맡아 작품의 구상단계에서부터 마무리까지 전폭적으로 참여하여 총체예술작품의 성공적인 완성을 위한 필수요소인 연출적 기능을 훌륭히 발휘하였으며 무대의 입체성을 토대로 하여 음악, 의상, 무대세트, 조명, 그리고 춤이 공통된 주제아래 각자의 의미를 내포하는 독립성을 지니면서도 각 장르의 예술이 개별적으로 완성되는 것을 지양하고 단일한 작품 속에서 하나의 예술적 주제아래 총체적 완성을 이룩하는 감성의 총체적인 회복을 지향함으로써 극도의 표현성을 살려내는 자신만의 감각적인 총체예술무대를 이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성향은 전통성을 기반으로 새로움을 추구하려는 자신의 무용철학에 기초한 것으로 이로 인해 기존의 안무 방식의 범위를 더욱 확대시키고 또 다른 표현양상으로써의 방향을 김영희의 총체예술 작품을 통해 제시함으로써 앞으로 새로운 현대한국창작춤의 발전을 위한 토대가 되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 4 C.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총체예술의 개념과 특징 = 7 B. 총체예술의 발전과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 = 10 C. 무용에 있어서의 총체예술 = 13 Ⅲ. 김영희의 작품활동 및 예술성향 = 18 A. 창무회 활동시의 춤작업 = 18 B. 김영희 무트댄스에서의 춤작업 = 24 C. 작품활동에서 나타난 예술성향 = 34 Ⅳ. 김영희 작품에 나타난 총체예술적 성향 = 41 A. 2002년 『달아』 = 41 1. 작품의 주제와 구성 = 41 2. 움직임의 표현적 측면 = 44 3. 시각 · 청각적 측면 = 47 B. 2003년 『내안의 내가』 = 50 1. 작품의 주제와 구성 = 51 2. 움직임의 표현적 측면 = 53 3. 시각 · 청각적 측면 = 54 C. 2004년 『말하지 않고』 = 59 1. 작품의 주제와 내용 = 60 2. 움직임의 표현적 측면 = 62 3. 시각 · 청각적 측면 = 64 Ⅴ. 결론 = 68 참고문헌 = 73 ABSTRACT = 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796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김영희 창작작품에 나타난 총체예술적 성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Tendencies of Total Art shown in Kim Young-hee's Creative Works-
dc.creator.othernameShin, Na Kyoung-
dc.format.page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
dc.date.awarded200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