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정민-
dc.creator오정민-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51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51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61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103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613-
dc.description.abstractA self-determination skill is essential for anyone to live a life with dignity within a community. Even though most students with disabilities lack such self-determination skills, instead of being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acquire those skills, they are conditioned to wait and follow the decisions of their teachers and adults. Eventually, the experiences of teacher-directed education may result in unsuccessful adult outcome in the future.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an individual with disabilities in his or her adult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understanding and implementation of self-determination skills are critical.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questionnaire made based on a former study. Three hundred thirty six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a group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Koungkido were surveyed. The response rate of the questionnaire was 72 percent and the result was analyzed by t-test or one way ANOVA. Scheffe post hoc test was subsequent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the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skill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it. Whether or not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participated in an in-service program within two years had quite a bit of influence on the perception on and implementation of one or two sub-domains of self-determination skills. Teachers had lower perception on and implementation of self-determination skills as the cognitive disabilities of a student became more severe. The level of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self-determination skill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t regular school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eachers at special schools. The same was true for the implementation of i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everal implications; teachers' low expectation of the students with severe disabilities and the importance of the in-service and inclusive education. For more specific details, please refer to the thesis in its entirety.;지역사회에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필요한 자기결정 기술이 장애인에게 부족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장애학생들은 학교에서 자기결정의 기회를 갖기보다는 교사나 성인의 결정을 기다리고 따르는데 너무 익숙해져 있다. 결국 이러한 교사 주도의 교육 경험은 학교 졸업 후의 삶에서 부정적인 결과를 낳게 된다. 그러므로 특수교육 교사의 인식과 태도는 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기술 습득에 영향을 미칠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자기결정 개념은 한국 특수교육 분야에 소개된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자기결정 기술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가 점차로 증가되는 추세이지만 자기결정 기술과 관련하여 특수교육 교사에게 설문한 기초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를 조사하여 자기결정 기술과 관련한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근거로 작성된 설문지를 연구도구로 사용하였으며 서울시와 경기도 지역의 특수학교, 특수학급의 초등, 중등 특수교육 교사를 대상으로 했다. 설문지 회수율은 72%(360명)였고 결과분석은 전체문항별, 구성요소의 영역별, 문항별로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연구문제에 따라 t검증 또는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고 사후분석이 필요한 경우에는 Scheffe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 전반적으로 특수교육 교사는 자기결정이 장애학생에게 중요한 기술이라고 여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보았을 때 '자기옹호'와 '자기인식 및 자신에 대한 지식' 영역이 가장 중요하다고 여겼으며, '결정' 영역이 가장 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에 따른 중요도 인식에는 대체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수 여부에 따라 '자기인식 및 자신에 대한 지식' 영역의 문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학생 변인에 따라 중요도 인식에서 대체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의 인지적 장애가 심할수록 특수교육 교사는 자기결정 기술이 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학급에 있는 교사보다 특수학교에 있는 교사가 자기결정 기술이 덜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리고 초등 특수교육 교사가 중등 특수교육 교사보다 자기결정 기술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교수 실행도 전반적으로 특수교육 교사는 장애학생을 가르칠 때 자기결정 기술을 교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보았을 때 특수교육 교사는 다른 영역에 비해 '자기옹호'와 '문제해결' 영역의 교수를 실행하고 있으며, '결정' 영역의 교수가 가장 실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변인에 따른 교수 실행도에서 전체문항별, 영역별, 문항별로 보았을 때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나지 않았다. 학생의 인지적 장애가 심할수록 특수교육 교사는 자기결정 기술의 교수를 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수학급에 있는 교사보다 특수학교에 있는 교사가 자기결정 기술의 교수를 덜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중요도 인식의 결과와는 상반되게 중등 특수교육 교사가 초등 특수교육 교사보다 자기결정 기술의 교수를 더 많이 실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의 상관관계 대체로 자기결정 기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반해 자기결정 기술의 교수는 잘 실행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의 상관관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특수교육 교사가 자기결정 기술이 중요하다는 인식도와 교수를 실행하는 정도는 틀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애학생의 인지적 장애가 심할수록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는 낮게 보고된 것을 통해서 특수교육 교사가 중도장애학생의 자기결정 기술 습득에 대해서 낮은 기대를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II. 이론적 배경 = 7 A. 자기결정의 개관 = 7 1. 자기결정의 개념과 역사적 배경 = 7 2. 자기결정의 특성과 구성요소 = 11 3. 자기결정과 삶의 질 = 18 B. 자기결정 기술의 교수에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성 = 20 C. 자기결정 기술의 교수 실제 = 23 III. 연구방법 및 절차 = 26 A. 연구 대상 = 26 B. 연구 도구 = 28 C. 자료 수집 절차 = 30 1. 설문지 타당도 검증을 위한 예비조사 = 30 2. 설문지의 신뢰도 산출 = 31 3. 본조사 = 31 D. 자료처리 = 32 IV. 연구결과 = 33 A. 특수교육 교사의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 = 33 1. 특수교육 교사의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중요도 인식 = 33 2. 교사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 차이 분석 = 36 3. 학생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 차이 분석 = 41 B. 특수교육 교사의 자기결정 기술의 교수 실행도 = 50 1. 특수교육 교사의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교수 실행도 = 50 2. 교사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 실행도 차이 분석 = 52 3. 학생 변인에 따른 특수교육 교사의 교수 실행도 차이 분석 = 56 C. 특수교육 교사의 자기결정 기술에 대한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도의 상관관계 = 64 V. 논의 및 제언 = 65 A. 논의 = 65 B. 연구의 제한점 = 76 C. 제언 = 77 참고문헌 = 78 부록 = 86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55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기결정에 대한 특수교육 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교수 실행에 관한 조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x, 10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특수교육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특수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