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A study on Venetian Games (1960-61) by Witold Lutoslawski

Title
A study on Venetian Games (1960-61) by Witold Lutoslawski
Authors
김소리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Michael Sidney Timpson
Abstract
The present study is about Venetian Games written by Witold Lutoslawski in 1960-61 and focuses on the general analysis of the piece. Venetian Games, composed of four movements, is the pivotal work as transitional and composer’s musical development. After being influenced from American composer John Cage’s work Concert for Piano and Orchestra (1957-58), this work is important because Lutoslawski used aleatory techniques first time. However, unlike the Cage’s “indeterminate” music, the composer utilized “limited aleatory” into his work, Venetian Games. On the controlled material of the way to play, harmony, rhythm and dynamics, the composer intends to sound “aleatory”, which is came from the freedom of playing (ad libitum). From this stand point, this work has the significant role of contemporary music history in the late 20th century and early 21st century. Thus, this thesis centers on two critical points. First, focusing the sound organization, the paper studies the timbre, rhythm and harmony. Moreover,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each movement is also going to be examined. This work, with four movements, processes with mostly contrasting features. Each orchestration group represents the contrasting features between the texture, timbre, harmony and register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shown in all four movements commonly. Therefore, the paper is demonstrating that each movement connects organically.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work, this article also studies how Lutoslawksi used the limited aleatorism into his work. Furthermore, in focusing on Lutoslawski’s and Cage’s “chance music”, the dissimilarities between two composers are provided in the aleatory techniques, feature of notation, and musical effectiveness aspects. Therefore, this thesis demonstrates the sound organization and aleatory technique in Venetian Games. The composer uses his new musical language into the work and this influences other composers later. In his composition, each instrument makes their own harmony horizontally, and when merged, each instrumental group creates its own pitch collection. Through this sound organization, the composer intends to make the aleatory counterpoint vertically and horizontally. Moreover, the performer play ad libitum within the controlled circumstances, so that the work is able to create “limited aleatory”, thus resulting the notational change of Lutoslawski’s work.;본 논문은 비톨드 루토슬라브스키 (Witold Lutoslawski)의 관현악곡 “베네치안 게임 (Venetian Games, 1960-61)”에 관한 연구이다. 민속 음악 (folk music)에 영항을 받은 그의 이전 시기의 작품들과 달리, “베네치안 게임”을 계기로 하여 그는 자신의 음악 어법을 한 단계 발전시키는 과도기를 맞이하게 된다. 미국 작곡가 존 케이지 (John Cage)의 작품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콘서트 (Concert for Piano and Orchestra, 1957-58)”의 영향을 받은 루토슬라브스키는 이 작품을 통해 처음으로 ‘우연성 기법 (aleatory technique)’을 작품 안에 도입하였으며, 그의 후기에 이 기법을 더욱 발전시켰다. 루토슬라브스키의 우연성 음악 기법을 연구함에 있어,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케이지가 사용한 우연성의 기법과 달리 ‘제한된 알레아 기법 (limited aleatory technique)’을 사용했다는 점이다. 그래픽적인 요소를 악보에 도입하여 연주자의 주관적인 해석을 통한 우연성을 이끌어낸 케이지와 달리, 루토슬라브스키는 음구조, 리듬, 다이내믹, 연주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며, 주어진 틀 안에서 ‘연주의 자유 (ad libitum)’를 연주자에게 부여하여 그 안에서 나타나는 우연성을 추구하였다. 이와 같이, 우연성 기법을 작곡가의 독자적인 방법으로 발전시킨 점과 악곡 내에 제시된 독창적인 음구조의 사용이 이 작품의 주된 특징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위의 두 가지 특징을 착안하여 다음의 두 가지 주요한 목적을 가진다. 첫째, 음 구조 (sound organization)를 중심으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음악적 색채, 리듬, 화음도 함께 연구하여, 작품 전체의 구조와 각 악장별 세부사항을 고찰한다. 각 악장을 분석함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다양한 편성을 가진 악기 그룹간의 ‘대조’이다. 음색의 대조, 다양한 편성으로 구성된 악기 그룹간의 대조, 화음의 대조, 음역의 대조 등이 나타난다. 1악장은 우연적인 요소가 사용된 악기의 그룹과 전통적인 음악 요소가 사용된 나머지 그룹의 대조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며, 화음도 이에 따라 각각 다른 음 구성이 나타난다. 2악장에서는 전통적인 박절의 진행 안에서 현악기군과 나머지 오케스트라 그룹의 대조적인 텍스처, 리듬의 진행이 보인다. 3악장의 독주악기와 이에 따른 오케스트라 반주의 대조, 계속적으로 진행하는 독주악기의 진행 안에서 오케스트라의 대위적인 우연성 기법 등의 사용이 두드러지게 사용된다. 마지막 4악장에서는 앞의 3개의 악장에서 나타난 각 악기군의 텍스처, 박자(tempo), 리듬, 화음 등의 대조가 함축되어 있으나, 이전의 악장들과는 달리 더욱 발전적인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요소를 특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작곡가는 독창적인 기보법을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전체 4개의 악장에서 나타나는 주제적 요소, 화음, 우연성 기법, 리듬 등을 통해 각 악장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제한된 알레아 기법’의 특징과 이 작품에 사용된 방법론을 연구한다. 루토슬라브스키의 알레아 기법을 고찰하기 위하여, 이 기법에 영감을 준 케이지의 ‘우연성 음악’을 선행연구로 분석하여 두 작곡가의 ‘우연성 기법’간의 차이점 또한 연구한다. 케이지는 작곡가가 일정하게 제시된 모호한 기보법 안에서 간략한 연주 방법을 부여하여, 연주자로 하여금 그만의 독자적이고 주관적인 연주가 나올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반연에 루토슬라브스키는 작곡가가 정확한 악보 안에서 연주자에게 자유를 주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통제된 요소 안에서 이루어지는 방식을 채택하여 예상 가능한 결과를 얻고자하는 ‘제한된 알레아 기법’을 사용하였다. 서로 다른 우연성 기법의 특징이 나타나는 두 작품의 분석을 통해, 작곡가들이 이러한 양식을 표현하기위해 사용한 기보법적 특징과 각각의 효율성에 대해서도 분석한다. 그러므로 이 작품에 사용된 음 구조와 알레아 기법을 고찰함에 따라, 다음의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각 악기들은 수평적으로 독자적인 화음을 만들어 나가며 나아가 악기의 그룹이 모였을 때 이루어지는 음 구성을 통해, 작곡가는 수직적, 수평적인 대위법적 우연성 음악(aleatory counterpoint)을 만들고자 하였다. 또한 통제되어있는 다양한 음악적 요소들 안에서, 연주의 자유로움을 부여하여 그 안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미시적, 거시적 움직임의 ‘우연성’을 강조하였다. 전통적인 방식과 새로운 방식의 두 가지 기보법이 그의 작품 안에서 공존하며, 이를 더욱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기 위하여 '단편적인 악보의 형태(cut-out score)'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20세기 말, 21세기 초 현대음악사에서 이 작품이 지닌 의미는 새로운 기보법을 제시하였다는 점과 그 만의 독창적인 방법으로 ‘제한된 알레아 음악’을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