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운동경쟁상황에서의 동기적 분위기가 성취목표지향 및 지각된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운동경쟁상황에서의 동기적 분위기가 성취목표지향 및 지각된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Authors
변영신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첫째는, 운동경쟁상황에서 동기적분위기가 성취목표지향과 특성적 지각된유능감에 미치는 영향의 규명이며 둘째는, 목표지향유형과 지각된유능감 수준(고·저)에 따른 동기행동유형(운동 지속성) 및 감정반응 변인(정서, 운동프로그램 만족감)에의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며, 마지막으로는 목표지향유형과 지각된유능감, 감정반응 변인 및 동기행동유형(운동 지속성)과의 관계에 대한 모형을 작성, 검증하고 이들 변인간의 구체적인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만 18~19세의 여자 대학생으로 집단 I(과제관여 목표지향)과 집단 II(자아관여 목표지향)에 각각 80명씩 무선배정되어 총 160명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측정 도구(성취목표지향질문지, 지각된유능감척도, 정서, 만족감 척도)는 기초검사 과정에서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여 실험실시 전에 성취목표지향질문지와 지각된유능감 척도가 측정되었으며 12주의 실험기간 후에 2차로 모든 도구의 측정이 실시되었으며 운동 지속성은 참여율로 하였다. 실험기간 동안의 동기적 분위기 조성으로는 두 집단에 모두 숙련적이고 경쟁적인 성공성취경험을 할 수 있도록 운동프로그램이 구성되었으며, 집단 I에는 과제관여 목표지향적 동기분위기가 조성되었고 집단 II에서는 차이관여 목표지향적 동기분위기가 조성되었다. 동기적분위기가 성취목표지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측정 시행(1차: 2차)간 t-검증을 실시한 결과 두 집단에서 모두 의의 있는 차이가 나타났다(집단 I; t=-2.01, p<.05, 집단 II; t=-2.41, p<.05). 또한, 집단별 지각된 유능감에 대한 동기적분위기 효과 검증을 위한 이원변량분석 결과 각 집단에서 측정 시행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F_1,289 = 15.66, p < .000 ]. 목표지향 유형과 지각된유능감 수준(고·저)에 따른 동기행동유형(운동 지속성)과 감정반응 변인과의 차이 검증에서는 집단간[ F_1,63 = 9.34, p<.003 ], 지각된유능감의 고·저[ F_1,63 = 22.68, p<.000 ]에 따라 운동 지속성에 유의한 차가 나타났다. 감정반응 변인에서는 정서에서 집단간[ F_1,63 = 6.74, p<.012 ] 유의한 차가 나타났으며, 만족감에서도 집단간[ F_1,63 = 34.62, p<.000 ], 지각된유능감 수준[ F_1,63 = 16.49, p<.000 ]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목표지향유형과 지각된유능감, 감정반응 변인 및 동기행동 유형과의 관계에 과난 모형 검증을 위한 선형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집단 I(X^2 = 2.43 (df : 1, p = .119), GFI = .990, RMSR = .038)과 집단 II(X^2 = 5.44 (df : 1, p = .020), GFI = .979, RMSR = .041)의 변인간 관계 모형은 의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간에도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험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간의 동기적분위기 조성은 개인의 성취목표지향 유형과 특성적 지각된 유능감에 영향을 미쳤으며, 과제관여적 목표지향에서는 유능감 수준에 상관없이 적응행동 유형이 나타나고 자아관여적 목표지향에서는 유능감 수준에 따라 적응·부적응 행동유형이 나타났다. 성취목표지향, 지각된유능감, 감정반응 변인 및 동기행동 유형과의 관계 모형은 그 적합도로 미루어 의의 있는 모형이라 할 수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ree major questions; first, it tries to investgate the effect of motivational climate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trait-perceived competence in a competitive exercise setting, second, the effect of goal orientation pattern and perceived competence level on motivational behaviour pattern ad emotional reaction factors (mood, satisfaction over exercise programs), their, it tries to estabilish the model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 perceived competence, emotional reaction factor and exercise adherence. Subjects are randomly assigned to task-involved goal orientation group(Group I) and ego-involved goal orientation group(Group II). Each group consists of 80 female students aged 18~19. All the experimental tools(TEOSO, Perceived Competence Scale, POMS, Satisfaction Scale) had their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ed befor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Exercise programs were designed to help both groups experience mastery and competitive success achievement. Task-involved motivational climate was constructed for Group I and ego-involved motivational climate for Group II. Concerning 1st question of this purpose,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t-test(t=-2.41, p<.05) concerning the effect of motivational climate on goal orientation. And also, significant difference(F_1,289=15.66, p<.000) was revealed from 2-way ANOVA (Group I, II x test trial 1, 2). The results of 2-way ANOVA (Group(I, II) x perceived competence (high, low) concerning 2nd questions indicated tha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revealed in exercise adherence(F_1,63=9.34. p<.003), mood(F_1,63=6.74, p<.012) and satisfaction(F_1.63=34.63, p<.000) LISREL analysis result supported the model relationship between goal orientations, perceived competence, emotional reaction factors and exercise adher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