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9 Download: 0

연습시행의 증가에 따른 동작의 시제적 구조 변화

Title
연습시행의 증가에 따른 동작의 시제적 구조 변화
Authors
이만령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the process of motor skill acquisition through analyses of temporal changes in movement and in changes of acceleration graph. The experiment was designed in a within-subject design and all the results were handled by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on block that consisted of 10 blocks of 5 trials, that is, a total of 50 trial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s on time error, time of response initiation(t1), movement time(MT), magnitude of peak force(P.F) and absolute interval between the time of peak force onset and the end of movement completion(t4) in perfoming a ballistic coincidence timing linear task were shown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function of practice. However, the analyses of movement completion time(t2) along with the absolute interval between the time of peak force onset and the time of movement beginning(t5) were not significant.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block by block by block for chec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emporal variables and timing error of movement. As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effects were evid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block 1, block 7 and block 9. In sum,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esponse initiation time decreased gradually late in practice phase in accordance with repeated practices. Movement time became shorter as practice increased. In a similar vein, the magnitude of peak force in movement performance decreased as shown in the acceleration profile. The onset point of peak force in movement performance was made as close to the start time of response as possible rather than to the movement completion time.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vement variables were controlled early in movement planning time before the response was initiated, as practice trials increased in the case of rapid movement.;이 연구의 목적은 반복되는 연습시행에 따른 운동기술 습득과정의 본질을 구명하기 위한 것으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반복되는 연습시행에 따라 학습자의 반응시작 시간은 길어질 것이며, 탄도적 직선과제 수행에 대한 실제 동작시간은 시간오차가 감소됨에 따라 비슷한 양상으로 줄어들 것이다. 반복되는 연습시행에 따라 최고역치(最高力値)(Peak Force)(P.F)는 점차적으로 작아질 것이며, 또한 연습시행이 증가됨에 따라 동작 수행에서 최고 가속을 일으키는 시간은 동작이 끝나는 지점의 시간에 가까워질 것이다. 이러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반복되는 연습시행에 따른 동작내의 시제적 변화와 가속도 그래프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실험과제는 빠르게 움직이는 자극에 반응하여 주어진 직선과제를 신속하게 탄도적으로 움직이는 것으로서, 마지막 자극불빛이 켜지는 시간과 직선동작과제의 목표지점을 통과했을 때의 절대오차시간이 기록되었다. 또한 과제수행시 가속도계의 감식기를 통해 모든 시행의 움직임에 대한 가속도 그래프를 컴퓨터에 입력하여 실험이 끝난 후 실제시간 등으로 계산하였다. 실험 후의 결과 처리는 전체 50회 시행에서 5회 시행을 한분단(5시행X10분단)으로 반복측정에 의한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with Repeated-Measures on Block)으로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반복되는 연습시행에 따른 직선과제 수행에 대한 시간오차와 가속도기록에 나타난 반응시작시간(t_1), 반응이 시작되어 동작이 끝날 때까지의 동작시간(MT), 최고역치의 크기와, 최고역치가 발생하는 최고가속 지점의 시간과 동작이 완료되는 시간간의 절대시간 간격(t_4)에 대한 정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동작이 완료되는 시간(t_2)과 동작이 시작된 시간인 t_1과 최고역치가 발생하는 최고가속지점 시간 간의 절대시간 간격(t_5)에 대한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시제적 변수와 동작시간 오차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된 분단별 중다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 analysis) 결과, 분단1, 분단7, 분단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분단1의 경우 각각의 시제적 변수의 측정치가 시간오차 변량의 58.2%를 설명해 주며 이러한 변수들 중 시간오차에 영향을 미친 변수는 t_4와 t_5였다. 분단7의 경우는 각각의 시제적 변수의 측정치가 시간오차 변량의 83.0%를 설명해 주며 이러한 변수들 중 시간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t_2와 t_5였으며, 분단9의 경우 각각의 시제적 변수의 측정치가 시간오차 변량의 89.9%를 설명해 주며 이러한 변수들 중 시간오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t_2였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반복되는 연습시행에 따른 동작내의 시제적 변화에서 학습자는 연습시행의 결과 과제 수행에 있어 반응시작시간이 점차 늦어지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과제에 익숙해짐에 따라 학습자는 반응시작을 미리 서두르지 않으며 동작수행에 대한 충분한 여유를 갖게 된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동작시간의 경우 시행의 증가에 따라 짧아졌는데 기술화된 수행은 동작의 능숙함으로 적절한 위치에서 주저하지 않고 동작수행을 완성하기 때문이다. 가속도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동작수행에 따른 최고역치의 크기는 점차 감소됨을 나타냈는데 연습초기에는 빠른 자극에 반응하는데 있어 적절한 힘의 조절이 불가능하므로 동작수행 동안 전반적으로 많은 힘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계속되는 연습시행의 증가에 따라 동작수행이 유연해지면서 최고역치의 크기는 작아지게 된다. 동작이 끝나는 지점과 반응이 시작된 지점에서 최고역치가 발생되는 시간과의 간격을 살펴보면 동작수행에서 학습자가 최고가속을 일으키는 지점은 동작이 끝나는 시간에서 보다는 반응이 시작되는 시간 가까이에서 이루어 진다. 결국 학습자들은 빠른 동작수행의 경우 동작시작과 관련된 변수들을 연습초기와는 달리 반복되는 연습시행의 증가에 따라 반응시작 이전에 제어한 후 동작수행을 완성하는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