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양비-
dc.creator양비-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7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5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9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580-
dc.description.abstract近代 중국어 語音연구에 있어서 중국어 자료 외에, 여타 표음문자와 중국어간의 대음 자료 또한 매우 훌륭한 자료가 될 수 있다. <朝鮮館譯語> 는 명대 관방에서 편찬한 한국어와 중국의 간의 對譯 辭典으로, 명대 관화음 연구를 위한 새로운 자료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朝鮮館譯語> 는 주로 한국어 어음 체계를 고찰하기 위한 자료로 연구되어왔다. 본고는 중국어 음운학의 각도에서, <朝鮮館譯語> 에 반영된 어음 체계와 근대 중국어 연구에 있어 쟁점이 되고 있는 문제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도출한 <朝鮮館譯語> 의 대음자에 반영된 聲母체계와 韻母체계는 아래와 같다. <朝鮮館譯語> 에 반영된 성모 체계에는 모두 19개의 성모가 존재한다. 성모 체계의 특정으로 첫째 全燭聲母가 淸化하였으며, 청화 후에 平聲字는 送氣淸音으로, 仄聲字는 不送氣淸音으로 변하였다. 둘째 ‘知’계 성모와 ‘照’계 성모가 합류하였으며, 운모의 洪細에 따라 ‘知二莊’과 洪音이 결합하고 ‘知三章’과 細音이 결합되는 두 가지 형태를 보였다. 셋째 중고의 ‘影喩疑微’ 네 성모가 합류하였다. 지금까지의 중국어 음운 자료에 의하면 1607년의 〈重訂司馬溫公等韻圖經〉 에서 최초로 이러한 어음변화를 반영하였으나, <朝鮮館譯語> 는 이 시기를 15세기 중엽으로까지 앞당겼다. 운모 계통은 모두 38가지가 존재하며, 그 특징으로 첫째 입성 운미 -p -t -k가 소실되었다. 둘째 對音 상황에 의하면 閉口韻과 ‘寒山桓歡’의 대립이 소실과정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부 對音은 變讀 상태를 보이고 있다. 이 외에 중국학자의 연구에 의하면 ‘∂’ 음은 明代 초기 즉 15세기 중엽에 출현하였는데, <朝鮮館譯語> 의 대음 체계에 최초로 이러한 음운현상이 반영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朝鮮館譯語> 는‘寒山’과 ‘先天’의 합류 및 ‘見’계 이동운자의 顎化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본고는 여타의 명대 관화음과의 공시적인 비교를 통하여 <朝鮮館譯語> 에 반영된 어음계통이 일반 명대 관화음의 성질을 지니고 있는 외에 北京 音系에 접근해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에 의하면, <朝鮮館譯語> 는 명대 관화음 연구 방면에 있어 매우 가치있는 자료라고 할 수 있다.;在近代漢語語音硏究中, 除了漢語音韻學的資料以外, 其他병音文字與漢語對音資料也是十分重要的依據. 《朝鮮館譯語》作爲明代官方編纂的韓國語和漢語的對譯辭書, 是硏究明代官話音的一項新資料. 흘今爲止, 對於《朝鮮館譯語》的硏究和利用主要集中在對韓國語語音體系的考察方面, 本文則是從漢語音韻學的角度, 對타所反映的語音系統以及近代漢語硏究中的有爭議的問題進行討論. 通過考察, 我們總結出了《朝鮮館譯語》對音字所反映聲母系統和韻母系統. 這個系統共有十九個聲母, 타的特點是, 全濁聲母淸化, 竝且淸化後, 平聲字變爲送氣的淸音, 仄聲字變爲不送氣的淸音. 第二, 知系聲母和照系聲母合流, 竝因韻母洪細音的不同而分爲兩組. 知二莊爲一組, 與洪音相병, 知三章爲一組, 與細音相병. 第三, 中古的影, 喩, 疑, 微四母合而爲一. 在漢語音韻資料中, 最早反映這一變化的是1607年的《重訂司馬溫公等韻圖經》, 《朝鮮館譯語》可以把這個時間提前到十五世紀中葉. 韻母系統共包括三十八個韻母. 首先, 타反映了入聲韻母-p, -t, -k的消失. 其次, 從對音情況看, 閉口韻和寒山桓歡的對立正趨於消失, 因此, 有些對音呈現出變讀狀態. 령外, 根據中國學者的硏究, ∂音産生於明代初期, 卽十五世紀中葉, 《朝鮮館譯語》的對音系統最早記錄了這一語音現象. 最後, 《朝鮮館譯語》還反映了寒山與先天合流及見系二等韻字的顎化現象. 本文通過與其他明代官話音系的共時比較, 認爲《朝鮮館譯語》所反映的語音系統除了具有一般明代官話音的性質以外, 還與北京音系相近. 從以上所得出的結論看, 《朝鮮館譯語》實在可以說是明代官話硏究方面一項有價値的材料.-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國文提要 = iii I. 緖論 = 1 1.1 硏究目的 = 1 1.2 硏究狀況 = 3 1.3 硏究資料 = 4 1.4 硏究方法 = 5 II. 聲母對音 = 6 2.1 聲母對音譜 = 6 2.2 關於聲母的討論 = 9 2.2.1 全濁聲母的分化 = 9 2.2.2 β的對應 = 10 2.2.3 知照系的分合及音値 = 10 2.2.4 影喩疑微的合流 = 13 2.3 〈朝鮮館譯語〉 對音聲母表 = 14 III. 韻母對音 = 17 3.1 韻母對音譜 = 17 3.2 關於韻母的討論 = 25 3.2.1 塞音韻尾的對應 = 25 3.2.2 鼻音韻尾的對應 = 27 3.2.3 ∂音的形成 = 29 3.2.4 寒山與桓歡不對立 = 31 3.2.5 寒山與先天不對立 = 32 3.2.6 二等喉牙音i介音的産生 = 32 3.3 〈朝鮮館譯語〉 對音韻母表 = 33 IV. 〈朝鮮館譯語〉 聲韻配合對音字表 = 36 V. 結論 = 38 附錄 〈朝鮮館譯語〉 對音解讀表 = 40 ◎ 參考文獻 = 77 ◎ 中文提要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238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조선관역어>> 대음소반영적 명대관화음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중어중문학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중어중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