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오정선-
dc.creator오정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6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57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97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571-
dc.description.abstract일방적인 송신매체인 텔레비젼과는 다르게 비디오는 개인이 영상을 제작하고 변형할 수 있는 매체로서 관객과의 강한 심리적 교류를 이룬다. 개인적 사고가 투사되어 있는 비디오 이미지는 경험과 감정의 시각화를 통해 형성되며 객관적 지각을 통해 관객이 자신들의 경험과 의식작용에 따라 자유롭게 해석하며 재창조할 수 있는 열린 공간을 내포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험과 감정에 기초한 비디오 이미지와 조형물에 의한 비디오 공간을 표현하고 이 공간 안에서 관객의 내재된 경험을 이끌어 내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험과 감정을 신체언어로서 시각화한 영상이미지와 조형물에 의한 비디오 공간을 표현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기본도구는 문헌과 작품표현 및 작품분석이다. 표현대상은 삶의 과정에서 가지게 되는 경험들과 내면의 상황을 드러내는 비디오 이미지를 통한 잠재의식의 표출이다. 표현방법은 경험과 감정 중 내재되어 있는 이중성, 생성과 소멸, 갈 등, 무의식 , 폐쇄성 , 속박과 제약의 상황, 삶의 과정을 표집하여 신체 언어로서 시각화하였다. 표현한 작품 7점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디오 이미지들은 형태에 있어 그 원형의 형상에서 변형되어 새로운 이미지를 갖게 되었으며 그와 병행하여 사용된 음향으로 인해 이미지의 내용은 더욱 강화되는 동시에 강조된 시간의 흐름을 가지게 된다. 화면처리에 있어 사실적 이미지와 합성 이미지를 병행하여 사용하였고, 의식과 무의식의 세계는 컬러와 흑백의 영상으로 처리하였으며 표현내용에 따라 따뜻하고 밝은 색채와 어둡고 무거운 색채를 사용하는 색채의 변용을 이루어 의미의 대비효과를 나타내었다. 모니터와 프로젝션의 전자공간에서 드러나는 영상 이미지는 조형물과의 결합을 통해 관객과의 심리적 교류가 이루어지는 새로운 대화공간을 창출하며 영상의 파장을 통해 그 이미지의 효과를 확장시킨다. 삶의 과정에서 체험되는 내면의 갈등과 억압적 상황 그리고 내재되어 있는 양면성과 무의식의 세계는 영상과 음향 그리고 조형물의 결합된 구조 안에서 표현되었으며, 결합된 형태로서 나타나는 비디오 공간은 어두운 환경 안에 설치됨으로써 관객의 심리적 긴장감을 유발하고 관객을 비디오 공간으로 유도하여 영상을 통해 나타나는 의식세계를 공유하게 한다.;In contrast to a unilateral means of communication, TV, the video allows individuals to produce and transform images, thereby strengthening a psychological bond with its audience. Individual thinking reflected in video image is formed through visualization of experiences and emotions and encompasses the open space where the audience freely interprets and recreates their experiences and cognitive processes by means of objective perce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video images of experiences and emotions and to convey video spaces where th e audience's innate experiences are generated by use of formative arts. This study makes use of video arts literature and creation and interpretation of works as fundamental tools. The object of this study includes life experiences and various expressions of the subconscious by video images that expose the inner qualities of individual producers. The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visualization through a physical language of the dualism inherent in experiences and emotions, life and death, inner struggle, the unconscious, isolationism, and oppression subjugation, and a process of life. The study makes the following conclusions from an analysis of the seven works presented. Video images transform their prototype into novel images. The sound that is used in accordance with video image strengthens the content of the images while emphasizing the passing of the time. Parallel use of actual and composite images expresses the world of the conscious and the unconscious both in colors and in black and white and contrasts meanings with varied use of warm and bright colors and dark and heavy colors. Through its unity with formative arts and a wave of images, the monitor and projector's electronic images creat a new space for a dialogue where psychological exchanges with the audience take place. Life's inner struggle, oppressive conditions, and innate dualism, as well as the world of the unconscious are expressed within a combined structure of images, sound, and formative arts. As a byproduct of this combination, spatial video arts, when located in the dark, engenders a psychological tension in the audience and allows them to share the world of the conscious emerging from video imag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방법 = 2 II. 이론적 배경 = 4 A. 비디오 아트의 역사와 전개 = 4 B. 미학적 비디오에 나타나는 나르시시즘 = 12 C. 인간의 감정과 경험이 투사된 비디오 공간 = 18 III. 표현 내용 및 방법 = 30 A. 표현 내용 = 30 B. 표현 방법 = 33 IV. 작품 분석 = 35 V. 결론 = 65 참고문헌 = 66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237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경험과 감정이 투사된 비디오 공간의 표현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 7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조소과-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