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6 Download: 0

한국의 국가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의 국가 성격 변화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선향
Issue Date
1994
Department/Major
대학원 정치외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o the state character of South Korea from 1948 to 1987. The framework of analysis is historical-structura approach to the character of the state that did not experience internal and voluntary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elements that comprise state character, such as political power structure, ideology, social economic base and influence of the capitalist world system, and unique character shown from their accumulated relation and their social, political meaning. Firstly I analyzed the mixture of the historical character of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 property of the capitalist state in terms of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ideology, social economic base and influence of the capitalist world system which comprise the state character. From the ideology side, there has been a mixture of traditional ethics and liberal democracy. Liberal democracy was the dominant ideology, but sometimes two opposite characters of the traditional moral principles and modern state were adopted as a slogan. At the sometime according to the political necessity. Therefore, the conflicts between the ideology and political reality could not be avoided as two opposite values traditional obedience to state and liberal democracy. In the area of political power structure, the object of analysis is the structure and character of political power. I intended to analyze the combination of traditional dominance of state and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through the base of the power structur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ociety. Although the political process and the system adopted western liberal democracy, in reality repressive state apparatus prevailed through total control of state organizations. Also, state has monopolized the economical decision making and also controled the economy completely in contrast to the capitalist social principles. And the capitalist world system has played the part of the structural restriction of the state a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character of the state. The correlation of these four components and which element dominates has made the unique character of the state. From 1945 to 1960 ‘the state by outside interference’ was based not on the support and consent of the civil society, but on the influence from a foreign country. In this regard, state itself had nothing to do with the civil society in all aspects of ideology, power structure, economy and international relation. Using the aid from capitalist world system, state developed the economic base ready, maintained the ideological predominance. That is, state at this time was similar the traditional state. State power was overextended to exercise holistic dominant power to society. This state has two alternatives. One is the reinforcement of a police state without regard to civil society. The other is the collapse by the resistance of civil society. In South Korea ‘the state by outside interference’ was collapsed by the resistance of civil society and support with drawl of the support from the United States. The collapse of ‘the state by outside interference’ followed the setting up of military state(1961-1979) by military coup. It changed in qualiy of the character of state. State institutionalized the power structure to form repressive state apparatus, oppressed the resistance and the development of the civil society, presented the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as the state goal, and made a complete mobilization of the social resources. That is, the mobilization character of state expressed itself not only in the promotion of the state controlled industrialization policy, but also in the process of the administration of the state apparatus, the solidification of ideology, and state controlled social movement. The characters of state at this time were the hierarchical organization as the president at the center of power, the development of administrative and the economic system and the control and mobilization of civil society by the strengthening of the repressive state apparatus. Through state apparatus, the state monopolized and exercised the distributing power of economic resources, and took its place as the center of a social order in terms of the social integration and national security. To maintain ideological advantage, it forced people to obey the state and adapt to traditional loyalty and standardization by redefining the democracy. The Reinforcement of this mobilization character of state was mainly based on political power structure and the economic power. In the long run, the possibility of growth of the various part of civil society was restricted by this mobilization by the state. This mobilization character of state has two alternatives. One is recreation of political power b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replacement of the regime inside the power group. The other is the opposition from the civil society against the mobilization by the repressive state. State at this time was not able to find a way to cope with the accumulated social contradiction owing to the regime monopolized by president, encountered with an unexpected event by an internal disagreement, and finally collapsed. The opposition of civil society produced indirect cause to the collapse of state, but because of historical-structural factor the relation of state ans civil society did not reverse. The cowered civil society could not take change. The substitutive political groups were then in a state of doldrums. In this political vacuum, the military groups tried to regrasp political power, and reorganized military state. Because of the resurgence of military regime, state against went through the monopoly of political, economical power against the resistance of civil society, checked and predominated the civil society. That is, the state at this time had the character of checking the possibility of gradual progress of civil society, maintaining the established state predominance. In the political power, state exercised the naked coercive political power through the repressive state apparatus. Or the other hand, state confronted the opposition and resistance of civil society, advocating the will of the peaceful and democratic change of regime. And also, it induced the support of civil society by the policy of economic stabilization, and never permitted the organization and political claim. In this aspect, state at this time had the character of checking the civil society. It construed the principle of liberal democracy by limiting the president’s tenure only one term, while stressing the traditional good morals and manners and historical duties, which exposed ts limitations of ideal ambiguity. In economical aspect, the liberalization policy of economy did not make progress towards the economic democracy. As a result of that, state failed to assure the economic justice. Taking advantage of the New conservatism of capitalist world system, it monopolized the ideological vested rights, political power, economic rights. But statute checking civil society confronted the growing claim of civil rights. This state have two alternatives, too. Either violently put down the claim of civil society and maintains the political power, or try to compromise with the civil society. The state at this time picked the latter. Owing to the internal, external limitations of state, and gradual progress of civil society, the violent response of state was not possible, and the civil society has progressed gradually. Through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tate chracte, I founded the fact that ‘seeking for the proper place of state and civil society’ from which civil society checks the abuse of state power, secures an autonomy from state would come true, unless state had monopolized the political power and exercised the repressive influence. When I think the future prospect in these terms, it furnishes a key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 to break from the intermixture of the property of traditional and capitalist state, which defined the character of state in the aspects of ideology, political power structure, economic bas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To cleanse the traditional rule and overextended state power in all areas of civil society the democratic principles must be fixed and spread not only as the institution of political process and law but also as inward value. The growth of political, social, civil rights will be accomplished through the ideological flexibility and organizational vitality of civil society. And also, The social change by the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must lead to new social order and norm as well as the economic modernization. State in essence would be rebuilt unless the external influence and limitation of international relations had inflicted the structural limitations on the relation of state and civil society. Above all, the historical accumulation of resistance experience of civil society against the overextended state has been the very resources of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Therefore, the gradual progress of civil society checking the abuse of state power in itself stands for the diffusion of democratic order all over the civil society. This thesis tried to present the alternative framework of research. Because there has been the complex and accumulated factor in historical, structural aspect, we can not avoid making the limitations of a one sided and fragmentary view by the theory of capitalist state. In South Korea, state is different from the western state because of the historical and structural limitations. In general theory of the capitalist state, we can analyze the process of capitalist industrialization, social change and the logic of capitalism that intended to maintain the capitalist social formation, etc. But because the traditional factor have inflicted a limitations on the capitalist state, we also need to concentrate on the problem. On the other hand, it is not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nge of character of the capitalist state only through the framework cling to the traditional factor that results in the modern authoritarianism. Bringing these problems, I intended to present the framework of historical-structural approach. For these historical-structural factor, I would give attention to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economic base, ideology, and capitalist world system. These factors have defined the character of state organically forming the correlation of one factor with other factors. Through these factors we could understand the complex and accumulated character of state in South Korea from 1950’s to 1980’s. We need to give warning to economic determinism that concentrates on the definition of one factor, because it has one sided view. And also, while the historical-structural approach to the western state has paid attention to the political power structure, economy, military, ideology, in the case of non western state that were affected by the external power especially during the transition to modern society, it need to substitute the factor of capitalist world system for military. Because in non western states, the capitalist world system have had an important effect not only upon the state but also upon civil society at large. In terms of that, I think that the historical-structural approach is the proper research tool for analysis on the complex character of South Korea after 1945.;이 논문에서는 해방 이후 국가 성격 분석을 위해 전통국가 이래 국가의 과잉확대가 사회 전 영역에 관철되어온 측면을 규명할 수 있는 분석틀이 모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즉 한국 국가의 성격을 기존의 국가론으로서는 총체적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대안적 분석틀에 의한 접근을 시도한 것이다. 전통국가와 자본주의 국가의 역사적, 구조적 요인이 혼재, 누적되었기 때문에 서구 자본주의 국가와 차별성을 보여준다는 문제인식을 전제로 한국 국가의 복합적 측면을 동시에 파악하고자 하는 역사구조적 접근을 제안하였다. 국가의 성격은 역사구조적 분석틀을 바탕으로 전통사회적 성격의 영향과 더불어 권력구조, 이데올로기, 사회경제적 기반, 대외관계의 특징과 유기적 관계를 통해 그 본질에 접근할 수 있다는 인식을 전제로 하였다. 이러한 네가지 측면에서 전통적 요소와 자본주의 국가적 요소의 혼재성을 바탕으로 국가의 성격을 구조화하였다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다음의 특성을 논리화하였다. 우선 해방 이후 국가는 권력구조의 측면에서 시민사회적 합의나 지지를 바탕으로 하기 보다는 외세의 인정과 지지나, 도는 물리적 강제력등을 일차적인 자원으로 삼음으로써 본질적으로 시민사회와 무관한 성격을 갖게 되고, 시민사회의 견제나 저항을 근본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해방 이후 사회 다른부문에 비해 국가권력이 가장 먼저 정비됨으로써 전통사회적 국가 우위가 유지되었다. 강압적 국가기구가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였고, 대통령을 정점으로 하여 수직적인 명령체계의 구조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현상은 국가기구의 정비, 조직화, 운영과정에서도 분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이데올로기적 측면에서 국가는 자유민주주의를 지배이데올로기로 주장하면서 경우에 따라 전통적 요소와 근대국가적 성격의 정반대적 속성이 동시에 주장되면서 혼재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국가에 대한 전통적 복종과 자유민주주의의 상반된 이념적 가치를 주장하였기 때문에 이념적 가치와 정치현실간의 괴리를 피할 수 없었다. 경제적 측면에서는 국가기구를 통해 경제적 자원을 분배, 관리하는 권한을 국가가 독점적으로 행사하면서 사회경제적 주도계급의 부상보다는 ‘사회운영과 통합’, 또 국가안보의 측면에서 질서의 지주로서 자리를 잡아갔다. 국가는 경제적 토대를 반영한다는 논리와는 달리, 해방 이후 사회 다른 분야에 비해 국가권력이 가장 먼저 정비되어 경제기반 구축과 산업화 과정에 결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했다. 이러한 사실은 근대국가 형성 과정에 미친 외부적 영향력과 무관하지 않다. 외세와의 결탁관계를 기반으로 국가기구를 장악함으로써 정치적 지배세력이 형성되고 이들을 중심으로 경제사회적 변화가 주도되었으며 정치사회가 구조화되고 지배 이데올로기가 강화되었다. 즉 외세의 영향은 해방 이후 국가의 이념적, 정치적, 경제적, 군사적인 구조적 틀로서 작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역사진행의 과정에서 이러한 구성요소의 특성과 상호작용에 의해 국가 성격이 변화되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우선 외삽국가(1948-1960)는 시민사회의 지지와 합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외세의 지지가 권력장악의 중요한 자원이 되는 국가로서 이념, 권력구조, 경제적 권한, 그리고 대외관계의 측면에서 본질적으로 시민사회와 무관한 성격을 갖게 된다. 즉 세계체제가 외삽국가의 형성에 가중 주요한 요소로 작용하여 외세의 지원하에서 경제기반의 마련과 이데올로기적 우위를 확보하는 성격을 보여준다. 전통국가의 경우와 별 다름없이 총체적으로 사회를 지배하는 국가권력의 과잉확대, 경제영역에 대한 정치권력의 침투현상을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외삽국가는 시민사회와 무관하게 강제력에 의존한 전제적 지배를 더욱 강화해 나가거나, 정치적 경제적 위기국면에서 시민사회적 저항에 부딪친다. 이 경우 구체적인 정치적 사안을 둘러싼 시민사회적 저항과 외삽국가의 지탱기반인 미국의 지지 철회는 외삽국가의 붕괴로 이어지는 결과를 낳는다. 시민사회의 취약성은 정치적 과도기를 초래하고 군부쿠데타에 의한 군부통치체제 수립으로 이어지면서 국가 성격의 변화를 보여준다. 군부가 통치하는 국가(1961-1979)는 강압적 국가기구를 중심으로 권력구조를 제도화하고 시민사회의 저항이나 성장의 여지를 봉쇄하는 한편 국가 목표로서 산업화를 제시하여 사회자원을 총동원하는 동원 국가적 성격으로 전개된다. 즉 동원국가의 성격은 국가 주도의 산업화 정책 뿐만 아니라 국가기구의 운영, 이데올로기적 강화, 국가 주도의 사회운동 과정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대통령 중심의 수직적인 명령체계화, 행정적 국가기구의 정비과정, 경제적 국가기구의 운영과정, 억압기구 강화에 의한 시민사회 통제와 동원이 이 시기 국가 성격의 특징을 보여준다. 국가는 이념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국가의 우위성과 민주주의를 결합시킨 민주주의의 재규정을 통해 전통사회적 충성심과 획일성을 요구하면서 국가의 통치 질서와 그에 대한 복종을 강요하였다. 이러한 동원국가의 성격을 강화하는 데 권력구조와 경제적 주도권의 측면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일반적으로 동원 국가 변동의 과정은 권력집단 내부에서의 정권 교체 제도화를 통해 권력을 재창출하거나, 억압적 동원국가의 한계에 대한 시민사회적 저항에 직면하게 된다. 대통령 중심의 일인 권력독점체제는 누적된 사회적 모순과 저항에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지 못함으로써 권력집단 내부 분열에 의한 돌발적인 해체의 국면을 맞이한다. 시민사회적 저항이 동원국가 붕괴의 간접적 요인을 제공했으나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를 규정해온 역사적, 구조적인 제약요인에 의해 그 관계가 역전되지는 못했다. 여전히 취약한 시민사회에서 대안적 정치세력의 등장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었고 이러한 공백기에 군부는 폭력적으로 재집권을 시도함으로써 군부통치제제의 재편이 이루어진다. 군부의 재집권으로 국가는 시민사회적 저항에 대해 정치, 경제권력의 독점을 관철시키면선 사회경제적 구조 변동과 민주주의의 경험을 바탕으로 잠재적으로 성장하는 시민사회를 견제하는 성격(1980-1987)을 보여준다. 정치권력의 측면에서는 강제적 국가기구에 의한 강압적 권력 행사의 성격이 노골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데올로기적으로 민주주의의 이념을 평화적 정권교체 실현이라는 절차적 원리에 초점을 맞추어 시민사회의 저항과 도전에 대응해 나간다. 또 경제적 안정 정책을 기조로 하여 시민사회의 지지를 유도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사회의 조직화나 정치적 요구는 인정하지 않는 견제 국가의 성격을 보여준다. 견제국가는 자유민주주의 원리를 절차의 강조(單任의 실현)에 집중시키는 한편, 여전히 전통적 미풍양식과 역사의식을 강조함으로써 이념적 모호성의 한계를 내보인다. 경제적 측면에서도 경제자율화 정책을 경제민주화로 진전시키지 못하는 한계에 부딪치므로써 경제정의 확보에 실패한다. 이 시기 국가는 세계체제의 신보수주의화에 의거하여 반공전선의 강화라는 이념적 공세, 강압적 국가기구의 노골적 행사에 의한 정치권력 강화, 경제정책의 변화 등을 통해 국가 우위성을 고수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시민사회의 시민권 확대 요구에 직면하게 되는 견제국가는 시민사회의 요구를 폭력적으로 진압하고 권력을 유지하던지 아니면, 시민사회와 일정한 타협을 모색하게 된다. 견제국가의 대내외적 한계와 시민사회의 성장으로 인해 견제국가의 폭력적 대응은 저지되고 일정한 정치적 요구를 관철시킨 시민사회의 입지는 점진적으로 강화되어 간다. 시민사회가 국가권력의 남용을 제어하고 국가권력으로부터 자율성 확보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의 ‘제자리 찾기’는 국가권력의 독점과 억압적 영향력이 지속되는 한 불가능하다는 점을 국가 성격의 변화 과정을 통해 살펴보았다. 국가의 ‘과잉확대’로 인해 시민사회적 영역의 자발적 존립 가능성은 상당히 위축되어왔다. 시민사회의 부재 도는 취약성은 경제적 이유에서 뿐만 아니라, 자본주의적 산업화의 추구가 국가에 의해 주도됨으로써 나타난 정치적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시민사회의 정치사회적 역량은 위축되었고 恣意的 국가권력을 견제할 시민사회적 성장을 지연시켰다. 이러한 국가권력 강화의 성격은 역사적으로 형성될 계기를 갖지 못했던 시민사회의 성장 가능성을 가로막는 한계로서 작용했다. 시민사회적 저항이 기존체제 해체의 배경을 제공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저항의 결과는 여전히 정치 권력의 독점, 경제적 자원에 대한 통제적 장악, 물리적 폭력의 행사권 등 강압적 국가기구의 영향력 증대로 이어졌다. 이러한 맥락에서 앞으로의 전망과 연결지워 볼 때 이데올로기, 권력구조, 경제적 기반, 그리고 대외관계의 측면에서 국가 성격을 규정한 전통적 요소와 자본주의 국가적 요소의 혼재성의 탈피가 정치사회의 발전과 직결되는 관건이 된다. 또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가 전통국가적 차원의 ‘통치’와 국가의 사회 전 영역에 대한 과잉확대가 청산되기 위해서는 민주주의 원리가 정치과정이나 법 절차 뿐만 아니라 사회의 내면화된 가치로 정착, 확산되어야 한다. 시민사회의 정치사회적 시민권의 확장이 이념적 지평의 개방과 조직적 활성화를 통해 실현 될 수 있다. 그리고 자본주의적 산업화에 의한 사회변동이 경제적 근대화만이 아니라 새로운 가치와 규범체계로서 정치사회를 재구성하고, 대외관계적 제약이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의 구조적 제약요소로 기능하지 못할 때 국가는 본질적으로 재형성될 것이다. 시민사회의 성장을 저해한 국가에 대한 저항 경험의 역사적 축적이 바로 시민사회 발전의 자원으로 기능한다고 볼 때 국가권력의 과잉확대를 제어해온 시민사회의 성장이야말로 사회 전 영역에 걸친 민주주의 강화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