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수연-
dc.creator이수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12:08:44Z-
dc.date.available2016-08-26T12:08:44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7156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096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71565-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한국근대사에 있어서 1866년부터 1876년까지의 기간에 걸쳐 전개되었던 "개방사회에로의 전환", 즉 開國을 박규수의 사상을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고 있다. 지금까지 開國論의 연구는 대체적으로 그 연구대상의 시기를 개방사회에로의 전환이 본격화되는 1876년 「강화도 조약」이후로 한정함으로써, 「서양의 충격」과 관련하여 개국이 전개되기 시작하는 1866년 「丙寅洋擾」이후부터 1876년 이전까지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빈곤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開國의 연구현황 및 한계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1866년 이후 전개되기 시작하는 開國論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박규수(1807-1876)의 논의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특별히 박규수를 주목하게 된 이유로는 그에 대하여 人脈的인 차원에서 「開化思想의 선구자」혹은 「北學派와 開化派를 결절시킨 중심인물」라고까지 평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그의 사상에 대한 연구는 빈곤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19세기 중엽의 정치사상적 상황을 검토하고 있다. 여기에는 「서양의 충격」에 직면하여 한편으로는 朱子學的인 문화이념적 지향에 의거함으로써 외부에 세계에 대하여 철저히 鎖國을 표방하는 尊華攘夷論과, 다른 한편으로는 이와 같은 문화이념적인 지향으로부터 점차 벗어나 현실주의적·상황주의적 사고에 기초하여 외부의 세계에 대한 개방을 주장하는 開國論이 전개되고 있었다. 먼저 執權派 및 衛正斥邪派가 중심이 된 尊華攘夷論의 경우, 理氣論的 가치체계 및 尊華論的 세계질서관념에 의거하여 서양을 평가함에 있어서 힘으로서가 아니라 「華夷內外의 分辨」이라는 문화이념에 기초해 있을 뿐 아니라, 그 대응책에 있어서도 군주의 도덕적 실천을 강조하는 正學主義에 의거함으로써 인식과 실천의 양 차원에서 돋보이리만큼 문화이념적 지향에 입각해 있었다. 한편 開國論의 경우에는 현실지향적인 사고에 기초하여 외부세계에 대한 개방이 전개되고 있었는데, 여기에는 中華的 국제질서로부터 서구적국제질서로의 편입이라는 대외적 차원과 함께 서구문물의 수용과 관련한 대내적 차원에서 외부세계에로의 개방이 대두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開國論을 살펴보면, 여기에는 강위, 김병욱, 오경석 등의 힘과 도덕·문화로서의 서양관에 기초하여 제기되고 있는 修交論과, 김정희, 김윤식, 이근필, 민영목, 남병철, 이규경, 최한기, 김병욱, 오경석 등의 서양문물에 대한 실용적 사고에 의거하여 제기되고 있는 서양문물 수용론이 있었다. 그러나, 이 시기의 開國論이 현실지향적인 발상에 기초해 있다고는 하지만, 대내외적인 차원에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먼저, 대외적 차원의 開國論을 살펴보면, 이들 開國論者들이 전개하고 있는 修交論은 결과적으로 國家平等관념에 입각한 근대적 국제질서로의 편입을 주장하고 있는 것이었으나, 사상적 내용으로서는 근대적 국제질서관념을 수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대내적 차원에서의 開國論인 서양문물 수용론의 경우에는, 김정희, 김윤식, 이근필, 민영목의 경우, 대외적 위기의식 및 서양문물에 대한 실용적 가치인식의 빈곤함과 관련하여 적극적인 차원에서의 서양문물 수용론으로 제기되지 못했으며, 이규경, 최한기, 오경석의 경우, 적극적인 차원에서 서양문물 수용론을 제기하고 있었지만, 대외적 위기 극복을 위한 富國·强兵에 대한 인식은 빈곤했다는 점이 그 한계로서 지적될 수 있다. 이제, 본 논문의 주제가 되는 박규수의 開國論을 살펴보면, 먼저 대외적 차원에서의 開國論, 즉 修交論에 있어서는 대외적인 위기상황에 직면하여 대외적 독립을 추구하는 가운데 힘 및 도덕·문화로서의 서양관에 의거하여 제기되고 있었다는 점에서 다른 開國論者들의 경우와 같았으나, 對日修交論의 경우에는 대외적 독립의 차원 뿐 아니라 民의 경제적 안정이라는 목표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實學의 保民論的 통치론에 의거하여 제기함으로써, 다른 開國論者들에 비해 보다 현실지향적인 발상을 견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박규수의 修交論이 다른 開國論者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종래의 事大관념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과 관련하여, 國家平等관념에 기초한 근대적 국제관계를 지향하지 않았다는 점은 그 한계로서 지적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대내적 차원에서의 開國論의 경우에는, 실용적 가치의 차원에서 서구문물을 인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수용을 제기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박규수의 개국론은 대외적인 차원에서는 다른 개국론자들에 비하여 높은 수준의 발상을 전개하고 있으나, 대내적인 차원에서는 다른 開國論者들에 비해 수준이 낮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바로 이와 같은 견지에서 지금까지 학계에서 박규수가 實學의 利用厚生的 발상에 의거하여 通商論을 전개하였다거나, 혹은 박제가의 海外通商論을 계승하였다거나, 혹은 東道西器論의 초기형태를 제시하였다는 논의들은 시정되어야 할 것이다.;This thesis is about "A conversion to open societies" in Korean morden history from 1866 to 1876. It is inquiring into the opening of a country focused on the idea of Park Gyu-Sue(朴珪壽, 1807-1876). Presently, these studies of theory of the opening of a country have been defined as being after the treaty of Kangwhado(江華島條約) in 1876. This study is not enough the openess of Korean society from 1866 (when Byunginyangyo丙寅洋擾 started the opening of a country with "western impact") to 1876. For this reason, this thesis is dealing with the idea of Park Gyu-Sue by observing the open country theory(開國論). The special reason which I chose him is because the study of his ideas are lacking, even though he is considered to be a pioneer for the thoughts of civilized enlightenment(開化思想) that linked "Bukhakpa"(北學派) and "Gaehwapa"(開化派). First, this thesis is examining the situation of political ideas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There were two different ideologies regarding how Korea should relate to the West. First, one was the respective-Chinese ideology(尊華論), based on the inclination of cultural ideas from neo-confucianism(朱子學). It was in favor of national isolation from the exterior world. The other ideology is the open country theory based on realism and opportunism, which countered the present day cultural ideas. In the case of the respective-Chinese ideology which has been spear-headed by “party of regent”(執權派) and "neo-confucianist"(衛正斥邪派), the cultural ideas of division, the interior from the exterior, was based on the viewpoint that all country, except China, were somewhat barbaric. Also, Western society was judged according to the value system of this viewpoint. This ideology rested on basis of the intention of cultural ideas following the "doctrine of right knowledge"(正學主義), which was based on the moral practice of the king. Meanwhile, in the case of the open country theory, there was an evolution in ideas about the outside world based on the intention of opportunism. The open country theory had two dimensions. The external dimension focused on the acceptance of international view, regarding foreign policy and therefore loss of Chinese ideas. The internal dimension emphasized that the incorporation of westernization into the Korean culture would be needed. Therefore, the open country theory could be divided into "the theory of amity"(修交論) and "the theory of western civilization acceptance"(西歐文物 受用論). The theory of amity was put to practice by Kang Wi(姜瑋), Kim Byung-Uk(金炳昱), and Oh Kyung-Sok(吳慶錫). It was based on the acknowledgement of western power, morals and culture. And the theory of western civilization acceptance was estabalished by Kim Jung-Hee(金正喜), Kim Yun-Sik(金允植), Lee Geun-Pil(李根弼), Nam Byung-Cheol(南秉哲), Lee Gyn-Kyung(李圭景), Kim Byung-Wok, Oh Kyung-Sok etc. It was based on practical idea about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the open country theory has limitation. Firstly,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open country theory reaches the conclusion to enter into the idea of country equality. But, those behind this theory couldn't themselves accept this notion of equality. As well, the theory of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is not suggested as being actively followed by Kim Jung-Hee, Kim Yoon-Sik, Lee Geun-Pil, Min Young-Mok(閔泳穆) because there was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benefit of it. Even it was suggested to actively accept western civilization by Lee Gyn-Kyung, Choi Han-Ki(崔漢綺), Oh Kyung-Sok, still there was not enough thinking about the benefit to the countries with regards to wealth and power to overcome the external crises. Now, if observing the open country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Park Gyu-Sue, which is this thesis' topic we can say that he supported on the opening of a country toward western civilization. However, in case of the theory of amity toward Japan, his viewpoint was different. Not only did he pursue external independence from Japan, but he wanted to create a balanced economy in Korea that would protect the Korean people from financial crisis. This viewpoint was different from his colleagues. However, he still worshipped countries that he viewed as superior. This was a limitation of his theory, because he still failed to incorporate the idea of country equality. This meaning that he still viewed other countries (namely China) as superior to his own. Also, in the case of the internal dimension of the open country theory, he didn't suggest the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even though he could perceive practical value. So, Park Gyu-Sue idea could be considered enlightened with regards to the external dimension of the open country theory. However, in the case of internal dimension, his thinking would be evaluated as less enlightened than his peers. In this point of view, Park Gyu-Sue was suggesting that the "Yiyeunghoosang"(利用厚生) concept from “practical science”(實學) be corrected. Alternatively, the discussion that inherited the theory of international trade intercourse by Park Je-Ga(朴齊家) and suggested the first stage form of the "Dongdoseogi"(東道西器) should be correct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A.「開國」·「開港」 : 개념적 함의 = 1 B.「박규수」論 :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 = 7 II. 19세기 중엽의 정치사상적 상황 = 13 A. 「鎖國」論 : 「尊華洋夷」論 = 15 1.「尊華」論的 국제질서관념 = 16 2.「理氣」論 = 19 3. 西洋「禽獸」觀 = 20 4. 正學主義 = 22 B. 「開國」論 = 26 1.「修交」論 = 28 2.「서양문물 수용」論 = 34 3. 對內·外的 차원에서의 「開國」論 = 45 III. 박규수의 「開國」論 = 53 A. 박규수의 정치적 위치 = 53 B.「春秋列國」的 국제사회 인식 = 59 C. 西洋觀 = 63 1. 「힘」으로서의 서양 = 63 2. 「도덕·문화」로서의 서양 = 65 3. 西洋文物觀 : 「光怪之奇珍」에서 「實用」으로 = 67 D. 「對美·對日 修交」論 = 71 IV. 결론 : 「開國」論을 중심으로 = 78 참고문헌 = 83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91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19세기 중엽의 '개국'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박규수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i, 9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정치외교학과-
dc.date.awarded2002.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정치외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