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0 Download: 0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 예측모형

Title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 예측모형
Other Titles
Fall Prediction Model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Authors
윤은숙
Issue Date
201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덕유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을 예방하고, 건강하고 안전한 일상생활을 위해 노인의 낙상 위험요인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노인의 낙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를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축한 후, 모형의 적합도와 가설을 검증하는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포함된 외생변수에는 성별, 연령, 운동, 지각된 건강상태, 신체화 증상, 우울, 균형감과 인지기능이 있고, 내생변수에는 낙상 두려움과 일상생활 수행능력이 있으며, 최종 내생변수는 낙상으로 구성되어졌고 총 27개의 가설경로를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도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지역사회 노인 460명을 편의 표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 (SPSS 18)을 통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연구변수에 대한 서술적 통계, 도구의 신뢰도와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고 Mplus Version 6.12(64-bit).msi for 64-bit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가설적 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1. 낙상은 일상생활 수행능력, 신체화 증상, 우울, 낙상 두려움 순으로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지각된 건강상태와 균형감과는 부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2. 연구 모형의 적합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 모형과 경쟁 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연구 모형이 경쟁 모형에 비해서 본 자료를 잘 설명하는 모형으로 판단되어 채택하였다. 3. 가설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ZIP Regression)을 적용하여 경로 분석(Path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낙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변수는 일상생활 수행능력(β=0.782, p<.01)으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변수는 신체화 증상(γ=0.226, p<.05), 우울(γ=0.324, p<.001), 균형감(γ=-0.027, p<.001), 인지기능(γ=-0.710, p<.001)과 낙상 두려움(β=0.040, p<.001)으로 이 변수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는 47.3%이다. 낙상 두려움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변수는 성별(γ=1.048, p<.001)과 지각된 건강상태(γ=-0.273, p<.01), 신체화 증상(γ=0.744, p<.01), 균형감(γ=-0.068, p<.01)으로 이 변수들에 의해 설명되는 정도는 30.4%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지역사회 노인의 낙상 예측모형은 간명하면서도 포괄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낙상 예측요인으로 나타난 예측변수들을 활용하여 노인의 낙상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factors related to number of fall, and to develop a fall prediction model which explains factors influencing number of fall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Subjects in the study, were 460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ged 60 years or older who lived in the area of Seoul and Busa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20, 2010 to January 31, 2011, using the questionaries to measur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gender, age, exercise, perceived health status, somatization, depression, balance, cognitive state, fear of fall and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Subjects were also asked about the number of fall during the past one year. For the study, path analysis using Zero-Inflated Poisson regression was used to conduct the data analysis. In the study, 11 variables were identified as predictive factors of fall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supporting the pervious studies; gender, age, exercise, perceived health status, somatization, depression, balance, and cognitive state were included as exogenous variables, while fear of fall, activities of daily living, fall frequency, were included as endogenous variables. After examining the fitness of the hypothetical model, the fitness indices of the hypothetical model came out to be AIC 2,628.527, BIC 2,764.858.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β=0.782, p<.01)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number of fall. Gender(γ=1.048, p<.001), perceived health status(γ=-0.273, p<.01), somatization(γ=0.744, p<.01) and balance(γ=-0.068, p<.01) were associated with fear of fall, directly accounting for 30.4% of the variance in the fear of fall. Somatization(γ=0.226, p<.05), depression(γ=0.324, p<.001), balance(γ=-0.027, p<.001), cognitive state(γ=-0.710, p<.001) and fear of fall(β=0.040, p<.001)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ccounting for 47.3% of the variance in the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fall prediction model was believed to be clarified and comprehensive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Using the fall prediction model, it is useful to more effectively develop fall prediction and fall intervention programs in the future study.
Description
☞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